"광주트라우마센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Node Description)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기관으로 [[5.18민주화운동]] 등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2012년 광주광역시에 문을 열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기관으로 [[5.18민주화운동]] 등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2012년 광주광역시에 문을 열었다. | ||
*2015년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기관으로 승인되었다. 2020년까지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된 기관은 세계적으로 75개국, 150개 단체에 이르며 아시아에는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네팔 등 10개국에 19개 센터가 있다. | *2015년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기관으로 승인되었다. 2020년까지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된 기관은 세계적으로 75개국, 150개 단체에 이르며 아시아에는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네팔 등 10개국에 19개 센터가 있다. |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고 이들이 일상으로 돌아가 회복될 수 있도록 피해자 심리치유, 공동체 치유, 국가폭력 예방 사업 및 교육, 고문방지 및 인권 옹호 활동 등을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고 이들이 일상으로 돌아가 회복될 수 있도록 피해자 심리치유, 공동체 치유, 국가폭력 예방 사업 및 교육, 고문방지 및 인권 옹호 활동 등을 진행하였다. |
− |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우리나라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설립된 것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그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5.18기념재단]]이 | + |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우리나라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설립된 것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그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자살실태를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이 있었던 1980년에는 25명이 자살하였고 1990년대는 3명이, 그리고 2000년에서 2012년까지는 18명이 자살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상이 후 자살률이 10.4%로 일반인의 500배에 이른다.<ref>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9456 남도일보</ref>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뿐 아니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의 경험자와 그 가족을 비롯해 [[여순사건]], 조작 간첩사건, [[부마항쟁]], [[아람회사건]], [[삼청교육대]], [[사북사태]], [[형제복지원]], [[선감학원]], 민족민주열사, 민주화운동 관련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뿐 아니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의 경험자와 그 가족을 비롯해 [[여순사건]], 조작 간첩사건, [[부마항쟁]], [[아람회사건]], [[삼청교육대]], [[사북사태]], [[형제복지원]], [[선감학원]], 민족민주열사, 민주화운동 관련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하였다. 2023년 11월 현재 등록 회원 수는 1,133명에 달하였다.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2024년부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해 새롭게 출발하였다. 본원을 광주광역시에 두고 제주특별자치도에 분원을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2024년부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해 새롭게 출발하였다. 본원을 광주광역시에 두고 제주특별자치도에 분원을 설치하였다. 광주광역시 본원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179번길 63 [[구_국군광주병원|구 국군광주병원]] 터에 새 사옥을 건립하였다. |
== Semantic Data == | == Semantic Data ==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광주트라우마센터 || Place || | + | | 광주트라우마센터 || Place || 복지의료 || || 광주트라우마센터 || 광주트라우마센터 || 光州-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트라우마센터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트라우마센터.jpg |
|} | |}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광주트라우마센터]] || [[삼청교육대]]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삼청교육대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 [[광주트라우마센터]] || [[삼청교육대]]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삼청교육대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
|- | |- | ||
− | | [[광주트라우마센터 ]] ||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되었다. | + | | [[광주트라우마센터]] ||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 ||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되었다. |
|- | |- | ||
|} | |}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 |- | ||
| 참고 || 전남일보 || 광주트라우마센터, 여순사건 유족 트라우마 치유(2022-11-29, 도선인 기자) || || https://www.jnilbo.com/69116677067 | | 참고 || 전남일보 || 광주트라우마센터, 여순사건 유족 트라우마 치유(2022-11-29, 도선인 기자) || || https://www.jnilbo.com/69116677067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트라우마센터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트라우마센터/광주트라우마센터.jpg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트라우마센터 소개글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트라우마센터/광주트라우마센터_소개글.jpg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트라우마센터 입구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트라우마센터/광주트라우마센터_입구.jpg | ||
|- | |- | ||
|} | |} | ||
66번째 줄: | 72번째 줄: | ||
| 단행본 || 진중권 외,『치유의 인문학-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 10인의 광주트라우마센터 강의』, 위즈덤하우스. 2016. || || | | 단행본 || 진중권 외,『치유의 인문학-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 10인의 광주트라우마센터 강의』, 위즈덤하우스. 2016. || || | ||
|- | |- | ||
− | | 논문 || 박영주·정혜경,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와정책연구 | + | | 논문 || 박영주·정혜경,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와정책연구 Vol.33 No.33, 2017. || 국회전자도서관 || |
− | |||
|- | |- | ||
− | | 논문 || 진영은·김명희, 「5․18 트라우마와 사회적 치유 - 광주트라우마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 + | | 논문 || 진영은·김명희, 「5․18 트라우마와 사회적 치유 - 광주트라우마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No.37. 참여연대, 2020. || 국회전자도서관 || |
|- | |- | ||
|} | |} |
2024년 4월 29일 (월) 11:2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기관으로 5.18민주화운동 등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2012년 광주광역시에 문을 열었다.
- 2015년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기관으로 승인되었다. 2020년까지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된 기관은 세계적으로 75개국, 150개 단체에 이르며 아시아에는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네팔 등 10개국에 19개 센터가 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고 이들이 일상으로 돌아가 회복될 수 있도록 피해자 심리치유, 공동체 치유, 국가폭력 예방 사업 및 교육, 고문방지 및 인권 옹호 활동 등을 진행하였다.
-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우리나라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설립된 것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그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자살실태를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이 있었던 1980년에는 25명이 자살하였고 1990년대는 3명이, 그리고 2000년에서 2012년까지는 18명이 자살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상이 후 자살률이 10.4%로 일반인의 500배에 이른다.[1]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뿐 아니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의 경험자와 그 가족을 비롯해 여순사건, 조작 간첩사건, 부마항쟁, 아람회사건, 삼청교육대, 사북사태, 형제복지원, 선감학원, 민족민주열사, 민주화운동 관련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하였다. 2023년 11월 현재 등록 회원 수는 1,133명에 달하였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2024년부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해 새롭게 출발하였다. 본원을 광주광역시에 두고 제주특별자치도에 분원을 설치하였다. 광주광역시 본원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179번길 63 구 국군광주병원 터에 새 사옥을 건립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트라우마센터 | Place | 복지의료 | 광주트라우마센터 | 광주트라우마센터 | 光州-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트라우마센터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트라우마센터.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광주트라우마센터 | 5.18민주화운동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
광주트라우마센터 |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 가입기관이다. | ||
광주트라우마센터 | 여순사건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여순사건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
광주트라우마센터 | 부마항쟁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부마항쟁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
광주트라우마센터 | 삼청교육대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삼청교육대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
광주트라우마센터 |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되었다.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트라우마센터 | 35.150636 | 126.8521817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 26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광주트라우마센터 공식 홈페이지 | 광주트라우마센터 소개, 사업 소개 | https://tnt.gwangju.go.kr/index.do?S=S01 | |
참고 | 남도일보 | 광주트라우마센터의 내년 국립 전환에 대한 소원( 2023-11-29, 김명권 광주트라우마센터장) |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9456 | |
참고 | 무등일보 | 광주트라우마센터 '고문 생존자 지원의 날' 기념행사 성료( 2023-06-29, 김혜진 기자) | http://www.mdilbo.com/detail/SexeuZ/697918 | |
참고 | 전남일보 | 광주트라우마센터, 여순사건 유족 트라우마 치유(2022-11-29, 도선인 기자) | https://www.jnilbo.com/69116677067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트라우마센터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트라우마센터/광주트라우마센터.jpg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트라우마센터 소개글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트라우마센터/광주트라우마센터_소개글.jpg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트라우마센터 입구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트라우마센터/광주트라우마센터_입구.jp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고혜경·광주트라우마센터, 『꿈에게 길을 묻다 : 트라우마를 넘어선 인간 내면의 가능성을 찾아서』, 광주트라우마센터. 나무연필. 2016. | ||
단행본 | 진중권 외,『치유의 인문학-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 10인의 광주트라우마센터 강의』, 위즈덤하우스. 2016. | ||
논문 | 박영주·정혜경,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와정책연구 Vol.33 No.33, 2017. | 국회전자도서관 | |
논문 | 진영은·김명희, 「5․18 트라우마와 사회적 치유 - 광주트라우마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No.37. 참여연대, 2020. | 국회전자도서관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