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권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Contextual Relations) |
(→Web Resource)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1917년 광주 지역에서 설립되어 운영된 기생들의 조합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단체이다. | * 1917년 광주 지역에서 설립되어 운영된 기생들의 조합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단체이다. | ||
− | * | + | * [[광주권번]]의 전신은 1917년 기생 50명으로 출발한 ‘[[광주예기조합]]’이다. 이후 [[광산권번]]과 [[광주권번]]으로 분화되었다가 일제에 의해 1928년 [[광주권번]]으로 통합되어 정식화되었다. |
− | * | + | * [[광주권번]]에서 활동한 강사로는 거문고 강사 박석기가 있으며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던 강사 정광수, [[박동실]], [[공대일]]등이 있다. |
− | * 해방 이후 1951년에는 | + | * [[광주권번]]에서 교육을 받았던 국악인으로는 김소희, 박초월, 안채봉, 한애순, 박송희, [[이매방]] 등이 있다 |
+ | * [[광주권번]]은 1932년에 주식회사로 운영방식의 전환을 시도했으나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1938년 폐업하게 되었다. | ||
+ | * 해방 이후 1951년에는 [[광주권번]]을 계승하여 [[광주국악원]]이 창립되었다.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Node Description=== | ===Node Description=== | ||
− | {|class="wikitable" style="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광주권번 || Actor || | + | | 광주권번 || Actor || 단체-문화예술 || 예술 || 광주권번(光州券番) || 광주권번 || 光州券番 || Gwangju Gwonbeon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권번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권번.jpg |
|} | |} | ||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 | {|class="wikitable" style="word-break:break-all;"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note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note | ||
|- | |- | ||
| [[광주권번]] || [[서편제]] || || || 광주권번에서는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다. | | [[광주권번]] || [[서편제]] || || || 광주권번에서는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다. | ||
|- | |- | ||
− | | [[광주권번]] || [[광주예기조합]] || || || 광주권번의 | + | | [[광주권번]] || [[광주예기조합]] || || || 광주권번의 다른 이름은 광주예기조합이다. |
|- | |- | ||
| [[박동실]] || [[광주권번]] || || || 박동실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박동실]] || [[광주권번]] || || || 박동실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26번째 줄: | 28번째 줄: | ||
| [[공대일]] || [[광주권번]] || || || 공대일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공대일]] || [[광주권번]] || || || 공대일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 | |- | ||
− | | [[광주국악원]] || [[광주권번]] || || || 광주국악원은 | + | | [[정광수]] || [[광주권번]] || || || 정광수는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 |- | ||
+ | | [[박석기]] || [[광주권번]] || || || 박석기는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 | |- | ||
+ | | [[이매방]] || [[광주권번]] || || || 이매방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 | |- | ||
+ | | [[김소희]] || [[광주권번]] || || || 김소희는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 | |- | ||
+ | | [[박초월]] || [[광주권번]] || || || 박초월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 | |- | ||
+ | | [[한애순]] || [[광주권번]] || || || 한애순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 | |- | ||
+ | | [[박송희]] || [[광주권번]] || || || 박송희는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 | |- | ||
+ | | [[안채봉]] || [[광주권번]] || || || 안채봉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 | |- | ||
+ | | [[광주국악원]] || [[광주권번]] || || || 광주국악원은 광주권번을 계승하였다. | ||
|- | |- | ||
|} | |}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 | {|class="wikitable" style="word-break:break-all;"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caption||url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caption||url | ||
|- | |- | ||
− | | | +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광주권번 || || http://aks.ai/GC60000768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권번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권번/광주권번.jpg | ||
|- | |- | ||
|} | |} | ||
==Bibliography== | ==Bibliography== | ||
− | {|class="wikitable" style="word-break:break-all;"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
|- | |- | ||
− | | 논문 || 정경운, | + | | 논문 || 정경운, 「근대기 광주권번 운영의 변화과정 연구」, 『국학연구론총론』, Vol.0, No.18, 택민국학연구원, 2016.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488650 |
|- | |- | ||
| 논문 || 공진희, 「광주지역 교방과 권번, 광주시립국악원의 한국전통춤 교육 연구」, 제11권 제1호,영남춤학회지, 2023.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02242 | | 논문 || 공진희, 「광주지역 교방과 권번, 광주시립국악원의 한국전통춤 교육 연구」, 제11권 제1호,영남춤학회지, 2023.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02242 | ||
|- | |- | ||
− | | 논문 || 이명진, 「광주권번을 통해 본 광주지역 판소리의 전승양상」,『공연문화연구』 36,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 || | + | | 논문 || 이명진, 「광주권번을 통해 본 광주지역 판소리의 전승양상」,『공연문화연구』 36,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809960 |
+ | |- | ||
+ | |} | ||
+ | |||
+ | == Bibliography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번째 줄: | 82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 | {{SemanticGraph | key= | + | {{SemanticGraph | key=광주권번}} |
[[분류:Actor]] [[분류:Actor/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 [[분류:Actor]] [[분류:Actor/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
2024년 4월 29일 (월) 10:44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1917년 광주 지역에서 설립되어 운영된 기생들의 조합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단체이다.
- 광주권번의 전신은 1917년 기생 50명으로 출발한 ‘광주예기조합’이다. 이후 광산권번과 광주권번으로 분화되었다가 일제에 의해 1928년 광주권번으로 통합되어 정식화되었다.
- 광주권번에서 활동한 강사로는 거문고 강사 박석기가 있으며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던 강사 정광수, 박동실, 공대일등이 있다.
- 광주권번에서 교육을 받았던 국악인으로는 김소희, 박초월, 안채봉, 한애순, 박송희, 이매방 등이 있다
- 광주권번은 1932년에 주식회사로 운영방식의 전환을 시도했으나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1938년 폐업하게 되었다.
- 해방 이후 1951년에는 광주권번을 계승하여 광주국악원이 창립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권번 | Actor | 단체-문화예술 | 예술 | 광주권번(光州券番) | 광주권번 | 光州券番 | Gwangju Gwonbeon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권번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권번.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광주권번 | 서편제 | 광주권번에서는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다. | ||
광주권번 | 광주예기조합 | 광주권번의 다른 이름은 광주예기조합이다. | ||
박동실 | 광주권번 | 박동실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공대일 | 광주권번 | 공대일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정광수 | 광주권번 | 정광수는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박석기 | 광주권번 | 박석기는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 ||
이매방 | 광주권번 | 이매방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김소희 | 광주권번 | 김소희는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박초월 | 광주권번 | 박초월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한애순 | 광주권번 | 한애순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박송희 | 광주권번 | 박송희는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안채봉 | 광주권번 | 안채봉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 ||
광주국악원 | 광주권번 | 광주국악원은 광주권번을 계승하였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광주권번 | http://aks.ai/GC60000768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권번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권번/광주권번.jp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정경운, 「근대기 광주권번 운영의 변화과정 연구」, 『국학연구론총론』, Vol.0, No.18, 택민국학연구원, 2016.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488650 |
논문 | 공진희, 「광주지역 교방과 권번, 광주시립국악원의 한국전통춤 교육 연구」, 제11권 제1호,영남춤학회지, 2023.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02242 |
논문 | 이명진, 「광주권번을 통해 본 광주지역 판소리의 전승양상」,『공연문화연구』 36,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809960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