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의 선정 실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초대 교장으로 엄언라(Miss Ella Graham) 선교사가 취임하였지만 한동안 정식 건물이 없는 상태에서 선교 건물의 앞뜰에서 모이는 등 모임으로서만 학교가 유지되었다. | 초대 교장으로 엄언라(Miss Ella Graham) 선교사가 취임하였지만 한동안 정식 건물이 없는 상태에서 선교 건물의 앞뜰에서 모이는 등 모임으로서만 학교가 유지되었다. | ||
1911년 미국인 스턴스(Stearns,M.L.)가 여동생 스피어(Speer)를 기념하기 위해 기부금으로 3층 교사 <span style="background:Yellow">수피아 홀(Speer Hall)([[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span>를 건립하여, 이때부터 교명을 <span style="background:Yellow">[[수피아여학교]]</span>라고 정하게 되었다. | 1911년 미국인 스턴스(Stearns,M.L.)가 여동생 스피어(Speer)를 기념하기 위해 기부금으로 3층 교사 <span style="background:Yellow">수피아 홀(Speer Hall)([[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span>를 건립하여, 이때부터 교명을 <span style="background:Yellow">[[수피아여학교]]</span>라고 정하게 되었다. | ||
− | 1919년 <span style="background:Yellow">[[ | + | 1919년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_3.1운동]]</span> 때 대대적인 만세 시위를 벌여 22명이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1929년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학생운동]]</span> 때도 '<span style="background:Yellow">[[백청단_사건|백청단 사건]]</span>'으로 불리는 독서회 등을 통해 항일독립운동에 큰 활약을 하였다. |
그 뒤 1937년에는 유화례 교장이 <span style="background:Yellow">[[신사참배]]</span>를 강행한 일제에 맞서 스스로 학교를 닫게 되었다. 광복 후 선배들의 노력으로 12월 5일 6년제 수피아여자중학교로 복교하였다. | 그 뒤 1937년에는 유화례 교장이 <span style="background:Yellow">[[신사참배]]</span>를 강행한 일제에 맞서 스스로 학교를 닫게 되었다. 광복 후 선배들의 노력으로 12월 5일 6년제 수피아여자중학교로 복교하였다. | ||
1951년「교육법」에 따라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span>와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span>로 분리되었다. | 1951년「교육법」에 따라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span>와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span>로 분리되었다. | ||
− | 유명한 졸업생으로는 <span style="background:Yellow">[[ | + | 유명한 졸업생으로는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_3.1운동]]</span> 때 시위를 주도했던 <span style="background:Yellow">[[박애순]]</span>교사와 당시 2학년생 <span style="background:Yellow">[[윤형숙]]</span>, <span style="background:Yellow">[[백청단_사건|백청단 사건]]</span>'과 <span style="background:Yellow">[[5.18민주화운동|5.18 민주화운동]]</span>으로 옥고를 치렀던 <span style="background:Yellow">[[조아라]]</span> 등이 있다. |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 || [[등록유산]] || || || #국가등록유산 | |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 || [[등록유산]] || || || #국가등록유산 | ||
|- | |- | ||
− | | [[수피아여학교]] || [[ | + | | [[수피아여학교]] || [[광주_3.1운동]] || || || #학생들의 참여, 22명 옥고 |
|- | |- | ||
− | | [[수피아여학교]] || [[ | + | | [[수피아여학교]] || [[광주학생운동]] || || || #학생들의 참여 |
|- | |- | ||
| [[수피아여학교]] || [[백청단_사건]] || || || #관련사건, 백청단은 수피아여학교의 독서 모임이다. | | [[수피아여학교]] || [[백청단_사건]] || || || #관련사건, 백청단은 수피아여학교의 독서 모임이다. | ||
|- | |- | ||
− | | [[ | + | | [[광주학생운동]] || [[백청단_사건]] || || || #관련사건 |
|- | |- | ||
| [[수피아여학교]] || [[신사참배]] || || || #신사참배 거부, 1937년 폐교 | | [[수피아여학교]] || [[신사참배]] || || || #신사참배 거부, 1937년 폐교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 [[수피아여학교]] || [[조아라]] || || || #졸업생 | | [[수피아여학교]] || [[조아라]] || || || #졸업생 | ||
|- | |- | ||
− | | [[박애순]] || [[ | + | | [[박애순]] || [[광주_3.1운동]] || || || #시위 주도자 |
|- | |- | ||
− | | [[윤형숙]] || [[ | + | | [[윤형숙]] || [[광주_3.1운동]] || || || #시위 주도자 |
|- | |- | ||
| [[조아라]] || [[백청단_사건]] || || || #관련자로 투옥 | | [[조아라]] || [[백청단_사건]] || || || #관련자로 투옥 | ||
74번째 줄: | 74번째 줄: | ||
처음에는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의 고향인 전라도 광주 절골마을[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의 <span style="background:Yellow">[[송호영당]]</span>에 있었으나, | 처음에는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의 고향인 전라도 광주 절골마을[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의 <span style="background:Yellow">[[송호영당]]</span>에 있었으나, | ||
1728년 송호영당을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으로 옮기면서 같이 옮겨졌으며, 지금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역사민속박물관]]</span>에 소장되어 있다. | 1728년 송호영당을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으로 옮기면서 같이 옮겨졌으며, 지금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span style="background:Yellow">[[광주역사민속박물관]]</span>에 소장되어 있다. | ||
− | 1990년 11월 15일 | + | 1990년 11월 15일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span style="background:Yellow">[[지정문화재]]</span>)로 지정되었다. |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2024년 4월 5일 (금) 01:02 기준 최신판
목차
공통 / 수피아여학교
- 참조 : 광주수피아여학교 / 2022년 핵심 항목
- 핵심항목
- 문맥항목
Definition
수피아여학교는 1908년에 설립된 광주의 명문 여학교이다. 1907년 전라남도 기독교 선교의 선도자인 배유지(Eugene Bell, 유진 벨) 선교사의 사택에서 어린이 선교부 직원의 자녀 4명을 모아놓고 공부를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설립의 계기였다. 이 중 3명의 여학생을 최초 입학생으로 하여 1908년 4월 정식으로 개교하였고 초기 학교명은 광주여학교이다. 초대 교장으로 엄언라(Miss Ella Graham) 선교사가 취임하였지만 한동안 정식 건물이 없는 상태에서 선교 건물의 앞뜰에서 모이는 등 모임으로서만 학교가 유지되었다. 1911년 미국인 스턴스(Stearns,M.L.)가 여동생 스피어(Speer)를 기념하기 위해 기부금으로 3층 교사 수피아 홀(Speer Hall)(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를 건립하여, 이때부터 교명을 수피아여학교라고 정하게 되었다. 1919년 광주_3.1운동 때 대대적인 만세 시위를 벌여 22명이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1929년 광주학생운동 때도 '백청단 사건'으로 불리는 독서회 등을 통해 항일독립운동에 큰 활약을 하였다. 그 뒤 1937년에는 유화례 교장이 신사참배를 강행한 일제에 맞서 스스로 학교를 닫게 되었다. 광복 후 선배들의 노력으로 12월 5일 6년제 수피아여자중학교로 복교하였다. 1951년「교육법」에 따라 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와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유명한 졸업생으로는 광주_3.1운동 때 시위를 주도했던 박애순교사와 당시 2학년생 윤형숙, 백청단 사건'과 5.18 민주화운동으로 옥고를 치렀던 조아라 등이 있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수피아여학교 | 배유지 | #건립자 | ||
수피아여학교 | 광주여학교 | #수피아여학교의 옛이름 | ||
수피아여학교 |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 | #수피아여학교의 이름 유래 | ||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수피아_홀 | 등록유산 | #국가등록유산 | ||
수피아여학교 | 광주_3.1운동 | #학생들의 참여, 22명 옥고 | ||
수피아여학교 | 광주학생운동 | #학생들의 참여 | ||
수피아여학교 | 백청단_사건 | #관련사건, 백청단은 수피아여학교의 독서 모임이다. | ||
광주학생운동 | 백청단_사건 | #관련사건 | ||
수피아여학교 | 신사참배 | #신사참배 거부, 1937년 폐교 | ||
수피아여학교 | 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 | #1951년 교육법에 의해 여중과 여고로분리되었다. | ||
수피아여학교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1951년 교육법에 의해 여중과 여고로분리되었다. | ||
수피아여학교 | 박애순 | #졸업생 | ||
수피아여학교 | 윤형숙 | #졸업생 | ||
수피아여학교 | 조아라 | #졸업생 | ||
박애순 | 광주_3.1운동 | #시위 주도자 | ||
윤형숙 | 광주_3.1운동 | #시위 주도자 | ||
조아라 | 백청단_사건 | #관련자로 투옥 | ||
조아라 | 5.18민주화운동 | #관련자로 투옥 |
- <source>와 <target>의 순서는 큐레이터가 임의로 정하되, 이 둘의 관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note>에 한글로 기록
공통 / 눌재집목판각
- 참조 : 눌재집목판각/디지털광주문화대전, 눌재집목판각/2022년 문맥 항목
- 핵심항목
- 문맥항목
Definition
눌재집목판각(訥齋集木版刻)은 조선 시대 문신 눌재 박상의 문집인 『눌재집(訥齋集)』을 발행하기 위한 만든 목판이다. 1547년(명종 2) 임억령(林億齡)[1486~1568]이 처음으로 목판을 만들었으며, 1684년(숙종 20) 이사명(李師命)[1647~1689]이 다시 판각을 시작하여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중단되었다가, 1694년(숙종 20) 최규서(崔奎瑞)[1650~1734]가 완성하였다. 이후 1795년(정조 19) 서정수(徐鼎修)가 보수 중간하였고, 1843년(헌종 9)에 조철영(趙徹永)[1777~1853]이 다시 중간하였다. 처음에는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의 고향인 전라도 광주 절골마을[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의 송호영당에 있었으나, 1728년 송호영당을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으로 옮기면서 같이 옮겨졌으며, 지금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90년 11월 15일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눌재집목판각 | 눌재집 | #관련 목판 | ||
눌재집 | 박상 | #저자 | ||
눌재집목판각 | 임억령 | #1547년 처음 제작 | ||
눌재집목판각 | 이사명 | #1684년 재판각 시작 | ||
눌재집목판각 | 최규서 | #1694년 재판각 완성 | ||
눌재집목판각 | 서정수 | #1795년 보수 중간 | ||
눌재집목판각 | 조철영 | #1843년 재중간 | ||
눌재집목판각 | 송호영당 | #첫 소장처 | ||
눌재집목판각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현재 소장처 | ||
눌재집목판각 | 지정유산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
- <source>와 <target>의 순서는 큐레이터가 임의로 정하되, 이 둘의 관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note>에 한글로 기록
문화 / 인문학공간 소피움
※ 참조링크 : 인문학, 같이 할까요?/광주드림 인문학공간 소피움/광주디지털문화대전
Definition
- 인문학공간 소피움은 동네 주민들과 함께하는 생활 밀착형 인문학을 지향하는 문화 예술 소통 공간으로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위치한다.
- 경력 단절 젊은 어머니들과 맺은 작은 인문학 모임이 모태가 되어 2013년에 김시인, 조미나에 의해 설립되었다.
- <우생우존>, <심부름꾼>, <광주역 100년의 서사 아카이빙> 등 다양한 인문학 동아리와 강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항목 선정
구분 | ID | Class | note |
---|---|---|---|
핵심항목 | 인문학공간_소피움 | 장소 | http://aks.ai/GC60004138 |
문맥항목 | 김시인 | 인물 | |
조미나 | 인물 | ||
우생우존 | 단체 | 책 속의 인문학, 길 위의 인문학을 지향하는 <인문학공간 소피움>의 여성인문학모임 | |
심부름꾼 | 단체 | <인문학공간 소피움>의 명상과 경전을 통한 인문학 공부모임 | |
광주역_100년의_서사_아카이빙 | 행사 | 2021년에 광주역에서 <인문학공간 소피움>이 진행한 행사 |
예술 / 광주협률사
※ 참조링크 : 광주협률사/광주디지털문화대전
Definition
- 1912년에 설립되어 1920년대 중반까지 활동한 국악 공연 단체로 속골명창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 어전광대로 활동하던 명창 김채만이 낙향하여 광주 속골에 머물며 제자들을 키웠는데 이때 배운 김채만의 제자들을 속골명창이라 한다.
- 속골명창으로는 김억순, 안영환, 공창식, 박화섭, 한성태, 박종원, 신용주, 박종섭, 전일도, 성용태, 박동실 등이 있다.
- 광주협률사는 김채만의 사후에 제자들 중심으로 설립되었기에 김채만협률사로도 불린다.
항목 선정
구분 | ID | Class | note |
---|---|---|---|
핵심항목 | 광주협률사 | 단체 | http://aks.ai/GC60003595 |
문맥항목 | 김채만_협률사 | 단체 | 광주협률사의 이칭 |
김채만 | 인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729 | |
한성태 | 인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525 | |
김정문 | 인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390 | |
박동실 | 인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519 |
문학 / 목요시
※ 참조링크 : 목요시/광주디지털문화대전
Definition
- 1979년 결성되어 광주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시문학 동인으로 목요시 동인회로도 불린다.
- 회원으로는 강인한, 고정희, 국효문, 김종, 허형만, 김준태, 송수권등이 있다.
- 1979년 가을 『목요시』 창간호를 발행한 이래로 1986년까지 총 6권을 발행하였다.
- 5.18민주화운동 이전은 상업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작품을 쓰는 것에 지향점을 두었으며, 5.18민주화운동 이후에는 광주 민중 항쟁의 충격이 문학의 도구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 선정
구분 | ID | Class | note |
---|---|---|---|
핵심항목 | 목요시 | 문집,단체 | http://aks.ai/GC60004808 |
문맥항목 | 목요시_동인회 | 단체 | 목요시의 이칭 |
고정희 | 인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069 | |
김종 | 인물 | 시인 | |
허형만 | 인물 | 시인 | |
김준태 | 인물 | 시인 | |
송수권 | 인물 | 시인 |
역사 / 지도군총쇄록
※ 참조링크 : 지도군총쇄록/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Definition
- 개항기 문신 · 학자 오횡묵이 전라남도 지도군(현 신안군 지도읍)에 관하여 1897년에 편찬한 지리서.
- 개인적인 생활은 물론, 공무(公務)와 관련된 각종 자료, 직접 보거나 전해 들은 여러 소식 및 지형·기후, 전라도 관찰사영인 광주 및 인근 지역과 오간 문서 등을 모두 수록해 놓아, 이 시대의 각종 제도와 지방 사회의 모습과 그 변화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광주읍성과 편액, 비석 등에 관한 기록이 있다.
항목 선정
구분 | ID | Class | note |
---|---|---|---|
핵심항목 | 지도군총쇄록 | 지리지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4125 |
문맥항목 | 오횡묵 | 인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8630 |
광주읍성 | 장소 | http://aks.ai/GC60005060 | |
광명석 | 건조물 | 비석 |
철학 / 성촌마을 돌벅수
※ 참조링크 : 성촌마을 돌벅수/디지털광주문화대전
Definition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성촌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는 2기의 돌벅수로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형상을 하고 있다.
- 성촌마을 돌벅수는 1981년 학운초등학교 교내로 이동되기 전까지는 마을 어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서 있었지만, 2017년 현재의 자리로 다시 이동하면서 마을 표지석을 사이에 두고 양옆으로 나란히 서 있다.
- 벅수는 마을 어귀나 다리 길가에 수호신으로 세운 사람의 모양의 형상을 가리키며,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당산제와 관련이 있다.
- 운림동 성촌마을 당산제는 모두 7곳의 당산에서 치러졌으나 광복 이후 사라져 구전으로 전하고 있다. 성촌마을 돌벅수는 제4당산이다.
항목 선정
구분 | ID | Class | note |
---|---|---|---|
핵심항목 | 성촌마을_돌벅수 | 건조물 | http://aks.ai/GC60004398 |
문맥항목 | 운림동_성촌마을_당산제 | 행사 | http://aks.ai/GC60004389 |
광주학운초등학교 | 장소 | https://ko.wikipedia.org/wiki/광주학운초등학교 |
참조
- 참조링크 : 2023년 핵심 항목과 문맥 항목의 템플릿 예시
- 국가유산의 분류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