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3-004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Links
 
#Links
 
S2023-004b 김방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김방 hasContextualElement
 +
S2023-004b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경양방죽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경양방죽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증심사오백전_연기설화 hasContextualElement
+
S2023-004b 증심사_중창전설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6.25전쟁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6.25전쟁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증심사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증심사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증심사오백전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증심사오백전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광주_배고픈다리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광주_배고픈다리 hasContextualElement
 +
S2023-004b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무등산_장원봉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무등산_장원봉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광산읍지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
 
-->
16번째 줄: 17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S2023-004 | 다양한 설화 속 광주목사 김방을 통해 보는 현재의 광주]] 》 다양한 설화를 남긴 김방'''=
+
='''[[S2023-004 | 다양한 설화 속 김방을 통해 보는 현재의 광주]] 》 다양한 설화를 남긴 김방'''=
* 수정중
 
  
 
==Story==
 
==Story==
  
* '''[[광산읍지|『광산읍지(光山邑誌)』]]'''에는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경양방죽|경양방죽(경양지)]]이라는 저수지를 [[김방]]이 만들었다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김방]]의 [[경양방죽]] 축조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동물보은담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가 있다. 해마다 가뭄이 들어 흉년이 계속되자 김방은 무등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끌어모아 광주를 비옥한 토양으로 만들고자 [[경양방죽]]을 파게 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가뭄으로 일꾼들의 식량도 부족하게 되어 김방의 걱정이 깊었던 어느날, 김방은 경양방죽 공사 중 무너진 [[무등산|무등산 장원봉]]에 개미집을 옮겨 주었다. 그러자 개미 떼들이 그에 보답하려고 쌀을 가져다 주었고, 김방은 공사에 필요한 식량을 얻어 제방 축조를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
+
*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경양방죽|경양방죽(경양지)]]이라는 저수지를 [[김방]]이 만들었다고 전해져오는데, 이 [[김방]]의 [[경양방죽]] 축조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동물보은담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김방 할아버지와 개미 떼」]]가 있다. 해마다 가뭄이 들어 흉년이 계속되자 김방은 무등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끌어모아 광주를 비옥한 토양으로 만들고자 [[경양방죽]]을 파게 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가뭄으로 일꾼들의 식량도 부족하게 되어 김방의 걱정이 깊었던 어느날, 김방은 경양방죽 공사 중 무너진 [[무등산|무등산 장원봉]]에 개미집을 옮겨 주었다. 그러자 개미 떼들이 그에 보답하려고 쌀을 가져다 주었고, 김방은 공사에 필요한 식량을 얻어 제방 축조를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ref>󰡔전라남도향토사편찬위원회, 「의공보은의 경양지」, 『전라남도향토사』, 향문사, 1964, pp152-153.</ref>
* 또한 [[6.25전쟁]] 당시 [[증심사]]의 다른 전각은 불에 탔으나 [[김방]] 조성한 [[증심사오백전]]만은 불에 타지 않은 곳인데, 이 영험함과 얽힌 [[증심사]] 중수에 대한 [[증심사오백전_연기설화|증심사오백전 연기설화]]있다. 이 설화에서는 [[김방]]이 [[경양방죽]]을 지었지만, 3년간 계속 가뭄이 지속되어 굶주리는 사람들이 생기자 [[김방]]은 비가 내리기를 하늘에 기도를 했다. 기우제를 마친 날 밤에 [[김방]]의 꿈에 관음보살이 나타나 [[증심사]]를 중건하고 오백나한을 모시고 하여, [[증심사오백전]]을 짓고 오백나한(五百羅漢)과 10대 제자상(十大弟子像)을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ref>『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발행, 2011, pp25-60.</ref> 또 다른 버전은 [[경양방죽]] 축조를 완성하고 개미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증심사에 오백전을 지었다는 것이다.<ref>문화유산연구소, 『(이야기로 만나는) 무등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2020.</ref>
+
* 또한 [[6.25전쟁]] 당시 [[증심사]]의 다른 전각은 불에 탔으나 [[김방]]조성한 [[증심사오백전]]만은 불에 타지 않은 곳인데, 이 영험함과 얽힌 [[증심사]] 중수에 대한 [[증심사_중창전설|증심사 중창전설]]있다. 이 전설은 [[김방]]이 [[경양방죽]]을 지었으나 3년간 계속 가뭄이 지속되어 굶주리는 사람들이 생겨 [[김방]]이 3일간 기도를 했다. 기도 끝에 [[김방]][[증심사]]를 중창하고 [[증심사오백전]]을 지으라는 현몽을 받아, [[증심사오백전]]을 짓고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상(十大弟子像)을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ref>『(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전라남도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pp20-21.</ref> 또 다른 버전은 [[경양방죽]] 축조를 완성하고 개미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증심사에 오백전을 지었다는 것이다.<ref>문화유산연구소, 『(이야기로 만나는) 무등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2020.</ref>
* 광주 도심과 [[증심사|무등산 증심사]]를 이어주는 다리인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는 이름에 대한 여러가지 유래가 있는데, 그 중 한 이야기가 [[김방]]과 관련된 것이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김방]]은 [[증심사오백전]]을 지을 당시, 부정을 탈까 두려워서 육식을 금하고 손수 현장에서 일꾼들을 격려했다고 한다. 그렇게 반년정도 지나자 [[김방]]은 점점 쇠약해지고, 이에 감동한 마을 사람들이 매일 닭을 잡아 올렸다. 어느 날 낮에 세종의 꿈에 수백마리 닭이 찾아와 [[김방]]이 역적모의를 하니 처형해달라고 간청하였고 왕은 잡아들여 처형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자 그날 밤에는 세종의 꿈에 동자승 수백명이 나타나 [[김방]]의 억울함을 이야기하였고, 왕은 어명을 거둬들였다. 다행히 [[김방]]을 잡으려는 금부도사 일행과 그 말들이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 근처에 다다르자 처형을 거두는 명을 받은 군졸들이 오기까지 움직이지 못하고 서 있었기에 선거리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ref>『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2011, pp25-60.</ref> 다른 버전에서는 [[증심사오백전]]을 건립하던 중 [[김방]]이 알 수 없는 병에 걸리자 의원이 매일 닭똥집을 먹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여 닭똥집을 먹었다는 점, 처형을 거두는 파발을 기다리는 금부도사 군졸들이 [[증심사]] 입구의 다리에서 배고픔에 허덕이며 날을 세웠기 때문에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점이 다르다. <ref>김덕진, 위주영, 김원중, 「김방 전설, 경양방죽과 개미의 보은」,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2016, pp12-15.</ref>
+
* 광주 도심과 [[증심사|무등산 증심사]]를 이어주는 다리인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는 이름에 대한 여러가지 유래가 있는데, 그 중 한 이야기가 [[김방]]과 관련된 것이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김방]]은 [[증심사오백전]]을 지을 당시, 부정을 탈까 두려워서 육식을 금하고 손수 현장에서 일꾼들을 격려했다고 한다. 그렇게 반년정도 지나자 [[김방]]은 점점 쇠약해지고, 이에 감동한 마을 사람들이 매일 닭을 잡아 올렸다. 어느 날 낮에 세종의 꿈에 수백마리 닭이 찾아와 [[김방]]이 역적모의를 하니 처형해달라고 간청하였고 왕은 잡아들여 처형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자 그날 밤에는 세종의 꿈에 동자승 수백명이 나타나 [[김방]]의 억울함을 이야기하였고, 왕은 어명을 거둬들였다. 다행히 [[김방]]을 잡으려는 금부도사 일행과 그 말들이 [[증심사]] 입구의 다리에 다다르자, 처형을 거두는 명을 받은 군졸들이 올 때까지 움지이지 않아 이틀이나 배고픔에 허덕이며 날을 세웠기 때문에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ref>『(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전라남도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pp20-21.</ref> 이 전설은 여러 버전이 있는데, 다른 버전에서는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 근처의 지역에서 멈춰 서 있었기에 주변 지역의 이름이 선거리가 되었다는 버전<ref>『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2011, pp25-60.</ref>, 또는 [[증심사오백전]]을 건립하던 중 [[김방]]이 알 수 없는 병에 걸리자 의원이 매일 닭똥집을 먹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여 닭똥집을 먹었다는 버전이 있다.<ref>김덕진, 위주영, 김원중, 「김방 전설, 경양방죽과 개미의 보은」,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2016, pp12-15.</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39번째 줄: 39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S2023-004b]] || [[김방]] || [[isRelatedTo]] ||
 +
|-
 +
| [[S2023-004b]] ||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 [[isRelatedTo]] ||
 +
|-
 +
| [[S2023-004b]] || [[경양방죽]] || [[isRelatedTo]] ||
 +
|-
 +
| [[S2023-004b]] || [[증심사_중창전설]] || [[isRelatedTo]] ||
 +
|-
 +
| [[S2023-004b]] || [[증심사오백전]] || [[isRelatedTo]] ||
 +
|-
 +
| [[S2023-004b]] || [[광주_배고픈다리]] || [[isRelatedTo]] ||
 +
|-
 +
| [[S2023-004b]] ||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 [[isRelatedTo]] ||
 +
|-
 +
|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 [[경양방죽]] || [[depicts]] ||
 +
|-
 +
|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 [[김방]] || [[depicts]] ||
 +
|-
 +
| [[무등산_장원봉]] ||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 [[isMentionedIn]] ||
 +
|-
 +
|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 [[isInfluencedBy]] ||
 +
|-
 +
|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 [[경양방죽]] || [[isRelatedTo]] ||
 +
|-
 +
| [[증심사오백전]] || [[김방]] || [[founder]] ||
 +
|-
 +
| [[증심사]] || [[증심사오백전]] || [[hasPart]] ||
 +
|-
 +
| [[증심사_중창전설]] || [[증심사오백전]] || [[depicts]] ||
 +
|-
 +
| [[증심사_중창전설]] || [[김방]] || [[depicts]] ||
 +
|-
 +
| [[증심사_중창전설]] || [[6.25전쟁]] || [[isInfluencedBy]] || 미전소
 +
|-
 +
|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 [[광주_배고픈다리]] || [[depicts]] ||
 +
|-
 +
|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 [[김방]] || [[depicts]] ||
 +
|-
 +
| [[조선_세종]] ||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 [[isMentionedIn]]
 
|-
 
|-
 
|}
 
|}
60번째 줄: 100번째 줄:
 
|-
 
|-
 
| 참고 || 시민의 소리 || 멀리 가는 다리 2. 광주의 이야기 담은 배고픈다리와 부동교(2011.09.07, 윤영숙 기자) ||  ||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5933
 
| 참고 || 시민의 소리 || 멀리 가는 다리 2. 광주의 이야기 담은 배고픈다리와 부동교(2011.09.07, 윤영숙 기자) ||  ||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5933
 +
|-
 +
| 참고 || 광주일보 || 경양방죽 설화는 어떻게 전승돼 왔는가(2019.03.05, 박성천 기자) ||  ||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51711600655602007
 
|-
 
|-
 
| 동영상 || 광주MBC || #남도는깊다 ; 김방(金倣) #경양방죽 || 경양방죽과 관련된 김방의 동물보은담 || https://www.youtube.com/watch?v=WkJNafcR0As
 
| 동영상 || 광주MBC || #남도는깊다 ; 김방(金倣) #경양방죽 || 경양방죽과 관련된 김방의 동물보은담 || https://www.youtube.com/watch?v=WkJNafcR0As
70번째 줄: 112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width:98%"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전라남도향토사편찬위원회:1964:전라남도향토사 || 단행본 || 전라남도향토사편찬위원회, 『전라남도향토사』, 향문사, 1964, pp152-153.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CNTS-00047851700&viewType=C
 +
|-
 +
| 전라남도문화공보담당관실:1987: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 단행본 || 『(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전라남도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pp20-21.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162808&viewType=AH1
 
|-
 
|-
 
| ISBN:9788963258515 || 단행본 || 『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발행, 2011, pp25-60. || 문화재청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4075&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 ISBN:9788963258515 || 단행본 || 『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발행, 2011, pp25-60. || 문화재청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4075&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76번째 줄: 122번째 줄:
 
|-
 
|-
 
| ISBN:9788963813448 || 단행본 || 문화유산연구소, 『(이야기로 만나는) 무등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2020. || 국립공원국단 ||  https://www.knps.or.kr/front/portal/research/researchDtl.do?menuNo=7020067&refId=REFM000537
 
| ISBN:9788963813448 || 단행본 || 문화유산연구소, 『(이야기로 만나는) 무등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2020. || 국립공원국단 ||  https://www.knps.or.kr/front/portal/research/researchDtl.do?menuNo=7020067&refId=REFM000537
|-
 
| 무등벌옛이야기:광주문화원 || 단행본 || 『무등벌 옛이야기』, 광주문화원, 1991, pp50-54. ||  || https://www.nl.go.kr/kolisnet/search/searchResultEditonList.do?tab=ALL&author=광주문화원&ufKey=24144345
 
 
|-
 
|-
 
| KCI:ART002422017 || 논문 || 이옥희, 「경양방죽 설화의 전승 담론과 서사 전략」, 『호남학』 64,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pp121-14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2017
 
| KCI:ART002422017 || 논문 || 이옥희, 「경양방죽 설화의 전승 담론과 서사 전략」, 『호남학』 64,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pp121-14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2017
 
|-
 
|-
| || || || ||
+
| KCI:ART002358086 || 논문 || 변동명, 「조선시기 광주 경양방죽의 수축과 운영」, 『국학연구론총』 21, 택민국학연구원, 2018, pp307-33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58086
 
|-
 
|-
 
|}
 
|}
95번째 줄: 139번째 줄:
 
==Story Network Graph==
 
==Story Network Graph==
  
 +
{{EpisodeLoader | db=gwangju | project=storyteam | title=S2023-004b}}
  
{{StoryGraph | key=S2023-004b}}
 
  
  
 
[[분류:Story]] [[분류:Story/2023]] [[분류:이효림]]
 
[[분류:Story]] [[분류:Story/2023]] [[분류:이효림]]

2024년 2월 7일 (수) 21:42 기준 최신판



다양한 설화 속 김방을 통해 보는 현재의 광주 》 다양한 설화를 남긴 김방

Story

  •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경양방죽(경양지)이라는 저수지를 김방이 만들었다고 전해져오는데, 이 김방경양방죽 축조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동물보은담 「김방 할아버지와 개미 떼」가 있다. 해마다 가뭄이 들어 흉년이 계속되자 김방은 무등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끌어모아 광주를 비옥한 토양으로 만들고자 경양방죽을 파게 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가뭄으로 일꾼들의 식량도 부족하게 되어 김방의 걱정이 깊었던 어느날, 김방은 경양방죽 공사 중 무너진 무등산 장원봉에 개미집을 옮겨 주었다. 그러자 개미 떼들이 그에 보답하려고 쌀을 가져다 주었고, 김방은 공사에 필요한 식량을 얻어 제방 축조를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1]
  • 또한 6.25전쟁 당시 증심사의 다른 전각은 불에 탔으나 김방이 조성한 증심사오백전만은 불에 타지 않은 곳인데, 이 영험함과 얽힌 증심사 중수에 대한 증심사 중창전설이 있다. 이 전설은 김방경양방죽을 지었으나 3년간 계속 가뭄이 지속되어 굶주리는 사람들이 생겨 김방이 3일간 기도를 했다. 기도 끝에 김방증심사를 중창하고 증심사오백전을 지으라는 현몽을 받아, 증심사오백전을 짓고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상(十大弟子像)을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2] 또 다른 버전은 경양방죽 축조를 완성하고 개미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증심사에 오백전을 지었다는 것이다.[3]
  • 광주 도심과 무등산 증심사를 이어주는 다리인 배고픈 다리는 이름에 대한 여러가지 유래가 있는데, 그 중 한 이야기가 김방과 관련된 것이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김방증심사오백전을 지을 당시, 부정을 탈까 두려워서 육식을 금하고 손수 현장에서 일꾼들을 격려했다고 한다. 그렇게 반년정도 지나자 김방은 점점 쇠약해지고, 이에 감동한 마을 사람들이 매일 닭을 잡아 올렸다. 어느 날 낮에 세종의 꿈에 수백마리 닭이 찾아와 김방이 역적모의를 하니 처형해달라고 간청하였고 왕은 잡아들여 처형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자 그날 밤에는 세종의 꿈에 동자승 수백명이 나타나 김방의 억울함을 이야기하였고, 왕은 어명을 거둬들였다. 다행히 김방을 잡으려는 금부도사 일행과 그 말들이 증심사 입구의 다리에 다다르자, 처형을 거두는 명을 받은 군졸들이 올 때까지 움지이지 않아 이틀이나 배고픔에 허덕이며 날을 세웠기 때문에 배고픈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4] 이 전설은 여러 버전이 있는데, 다른 버전에서는 배고픈 다리 근처의 지역에서 멈춰 서 있었기에 주변 지역의 이름이 선거리가 되었다는 버전[5], 또는 증심사오백전을 건립하던 중 김방이 알 수 없는 병에 걸리자 의원이 매일 닭똥집을 먹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여 닭똥집을 먹었다는 버전이 있다.[6]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S2023-004b Story Episode 다양한 설화를 남긴 김방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S2023-004b http://dh.aks.ac.kr/~gwangju/icon/episode.pn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S2023-004b 김방 isRelatedTo
S2023-004b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isRelatedTo
S2023-004b 경양방죽 isRelatedTo
S2023-004b 증심사_중창전설 isRelatedTo
S2023-004b 증심사오백전 isRelatedTo
S2023-004b 광주_배고픈다리 isRelatedTo
S2023-004b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isRelatedTo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경양방죽 depicts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김방 depicts
무등산_장원봉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isMentionedIn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isInfluencedBy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경양방죽 isRelatedTo
증심사오백전 김방 founder
증심사 증심사오백전 hasPart
증심사_중창전설 증심사오백전 depicts
증심사_중창전설 김방 depicts
증심사_중창전설 6.25전쟁 isInfluencedBy 미전소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광주_배고픈다리 depicts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김방 depicts
조선_세종 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isMentioned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설화 http://aks.ai/GC60004464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김방 할아버지와 개미 떼」 http://aks.ai/GC60004476
해설 광주광역시 무등산웹생태박물관 경양호 https://geopark.gwangju.go.kr/gallery.do?S=S03&M=020100000000&b_code=0000000011&v_type=SK1&b_list=16&mod=view&list_no=90&cg_code=MUD04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무등산과 함께한 증심사 http://aks.ai/GC60005053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증심사오백전 http://aks.ai/GC60001063
참고 남도일보 김성식 조선이공대 교수의 남도일보 '월요아침'(2018.05.20, 김성식 교수 글, 김경태 기자)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4942
참고 시민의 소리 멀리 가는 다리 2. 광주의 이야기 담은 배고픈다리와 부동교(2011.09.07, 윤영숙 기자)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5933
참고 광주일보 경양방죽 설화는 어떻게 전승돼 왔는가(2019.03.05, 박성천 기자)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51711600655602007
동영상 광주MBC #남도는깊다 ; 김방(金倣) #경양방죽 경양방죽과 관련된 김방의 동물보은담 https://www.youtube.com/watch?v=WkJNafcR0As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전라남도향토사편찬위원회:1964:전라남도향토사 단행본 전라남도향토사편찬위원회, 『전라남도향토사』, 향문사, 1964, pp152-153.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CNTS-00047851700&viewType=C
전라남도문화공보담당관실:1987: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단행본 『(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전라남도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pp20-21.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162808&viewType=AH1
ISBN:9788963258515 단행본 『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발행, 2011, pp25-60. 문화재청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4075&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ISBN:9788963811963 단행본 김덕진, 위주영, 김원중, 「김방 전설, 경양방죽과 개미의 보은」,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2016, pp12-15.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65
ISBN:9788963813448 단행본 문화유산연구소, 『(이야기로 만나는) 무등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2020. 국립공원국단 https://www.knps.or.kr/front/portal/research/researchDtl.do?menuNo=7020067&refId=REFM000537
KCI:ART002422017 논문 이옥희, 「경양방죽 설화의 전승 담론과 서사 전략」, 『호남학』 64,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pp121-14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2017
KCI:ART002358086 논문 변동명, 「조선시기 광주 경양방죽의 수축과 운영」, 『국학연구론총』 21, 택민국학연구원, 2018, pp307-33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58086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전라남도향토사편찬위원회, 「의공보은의 경양지」, 『전라남도향토사』, 향문사, 1964, pp152-153.
  2. 『(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전라남도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pp20-21.
  3. 문화유산연구소, 『(이야기로 만나는) 무등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2020.
  4. 『(향토사대계)명소지명유래지』, 전라남도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pp20-21.
  5. 『호남 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이야기 소스 발굴 연구』, 문화재청, 2011, pp25-60.
  6. 김덕진, 위주영, 김원중, 「김방 전설, 경양방죽과 개미의 보은」,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2016, pp12-15.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