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충신-실습2 이수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빈 문서를 만듦) |
(→Defini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문서 제목은 위처럼 해주시면 됩니다. | ||
+ | 예시: 정충신-실습2_트와이닝린지 | ||
+ | |||
+ | |||
+ | __NOTOC__ | ||
+ | ==Definition== | ||
+ | *조선의 무신.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광주목에서 아전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명장 정지(鄭地)의 9대 손이지만 태어날 때는 미천한 출신이어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부(府)에 잔심부름하던 이속을 겸하였다. | ||
+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며 공을 세우고 1593년 행재소에서 실시하는 무과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이괄(李适)의 난 때는 전부대장(前部大將)이 되어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 ||
+ |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3년 조정에서 후금과의 단교를 위하여 사신을 보내려 할 때 이를 반대하여 당진에 유배되었다. 1636년 병이 심해지자 왕이 의관에게 명해 치료에 진력하게 했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1 ]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광주 경열사(光州 景烈祠)에 제향되었다. | ||
+ | |||
+ | ==Semantic Data== | ||
+ | ===Node Description===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style="width: 100px"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 Spatial Data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id||latitude||longitude||addres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글지도 | 위도=35.151019 | 경도=126.9088749 |줌=16}} | ||
+ | |||
+ | ==Web Resource==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caption||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ibliography==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otes == | ||
+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분류:2023:Class]] [[분류:2023:작성자]] [[분류:가]] |
2023년 10월 24일 (화) 13:35 기준 최신판
문서 제목은 위처럼 해주시면 됩니다.
예시: 정충신-실습2_트와이닝린지
Definition
- 조선의 무신.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광주목에서 아전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명장 정지(鄭地)의 9대 손이지만 태어날 때는 미천한 출신이어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부(府)에 잔심부름하던 이속을 겸하였다.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며 공을 세우고 1593년 행재소에서 실시하는 무과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이괄(李适)의 난 때는 전부대장(前部大將)이 되어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3년 조정에서 후금과의 단교를 위하여 사신을 보내려 할 때 이를 반대하여 당진에 유배되었다. 1636년 병이 심해지자 왕이 의관에게 명해 치료에 진력하게 했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1 ]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광주 경열사(光州 景烈祠)에 제향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