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동장고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Node Description)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월계동장고분|월계동 장고분(月溪洞長鼓墳)]]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2기의 무덤을 | + | *[[월계동장고분|월계동 장고분(月溪洞長鼓墳)]]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2기의 무덤을 말하며 앞은 사다리꼴의 네모형, 뒷부분은 원형으로 장고의 형상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영산강 상류에 위치한 장구촌마을 북쪽 변두리, 서쪽에서 내려오는 구릉 말단 부에 있으며 주위에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장구모양의 언덕 때문에 장구촌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길 정도로 이곳에서 장고분의 존재는 알려져 있었으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제시대부터 도굴이 진행되어 많은 부분이 유실되었으나 1994년 2월 18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
*장고분은 현재 공식적으로 [[전방후원분]]으로 분류된다. 일본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태이며 한반도에서의 발굴 조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1980년대에는 장고분이 전방후원분과 동일한 것인가 하는 논쟁도 있었다. 전남 대학교박물관에 의해 1993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도굴로 인해 유실된 유물이 많긴 하지만 [[원통형토기|원통형 토기]]와 나팔형 토기, 금귀고리 ·쇠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 특히 바닥이 뚫린 원통형토기는 월계동 장고분에서만 발견되며 일본 전방후원분에서 출토된 하니와(埴輪·봉분 주변을 장식하는 토기)를 재현한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다. 일본과의 교류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이 유물들로 보아 [[월계동장고분]]을 비롯한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매장자가 일본에서 온 인물들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 *장고분은 현재 공식적으로 [[전방후원분]]으로 분류된다. 일본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태이며 한반도에서의 발굴 조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1980년대에는 장고분이 전방후원분과 동일한 것인가 하는 논쟁도 있었다. 전남 대학교박물관에 의해 1993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도굴로 인해 유실된 유물이 많긴 하지만 [[원통형토기|원통형 토기]]와 나팔형 토기, 금귀고리 ·쇠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 특히 바닥이 뚫린 원통형토기는 월계동 장고분에서만 발견되며 일본 전방후원분에서 출토된 하니와(埴輪·봉분 주변을 장식하는 토기)를 재현한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다. 일본과의 교류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이 유물들로 보아 [[월계동장고분]]을 비롯한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매장자가 일본에서 온 인물들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월계동장고분 ]]|| | + | |[[월계동장고분]]|| Place || 유적지 || 고분 ||월계동장고분(月溪洞長鼓墳)||월계동장고분||月溪洞長鼓墳||||||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월계동장고분_전경.jpg |
|} | |}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 |- | ||
|[[월계동장고분_2호분]]||[[월계동장고분]]||||~의 일부이다 | |[[월계동장고분_2호분]]||[[월계동장고분]]||||~의 일부이다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월계동장고분]]||[[월계동장고분_1호분]]||hasPart | ||
+ | |- | ||
+ | |[[월계동장고분]]||[[월계동장고분_2호분]]||hasPart | ||
+ | |- | ||
+ | |[[광주_장고분]]||[[월계동장고분]]||includes | ||
+ | |- | ||
+ | |[[광주역사민속박물관]]||[[월계동장고분]]||administrates | ||
+ | |- | ||
+ | |[[월계동장고분_원통형토기]]||[[월계동장고분]]||isRelatedTo | ||
+ | |- | ||
+ | |[[광주_장고분]]||[[명화동장고분]]||includes | ||
+ | |- | ||
+ | |[[광주_장고분]]||[[전방후원분]]||type | ||
+ | |- | ||
+ | |[[월계동장고분_원통형토기]]||[[원통형토기]]||isKindOf | ||
|- | |- | ||
|} | |} | ||
62번째 줄: | 83번째 줄: | ||
|- |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월계동장고분 전경||월계동장고분 전경||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월계동장고분_전경.jpg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월계동장고분 전경||월계동장고분 전경||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월계동장고분_전경.jpg | ||
+ | |- | ||
+ | | VR36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흥미로운가] || 월계동장고분 || || https://www.youtube.com/embed/Aku_AwltWtk | ||
|- | |- | ||
|} | |} | ||
73번째 줄: | 96번째 줄: | ||
|논문||김규운, 「고분으로 본 6세기 전후 백제와 왜 관계」, 『한일관계사연구』 no.58, 통권 58호, 한일관계사학회, 2017.||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0095 | |논문||김규운, 「고분으로 본 6세기 전후 백제와 왜 관계」, 『한일관계사연구』 no.58, 통권 58호, 한일관계사학회, 2017.||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0095 | ||
|- | |- | ||
− | |논문||정기진, 「전남 서부지역 전방후원형분 축조세력 검토」, 『야외고고학』 | + | |논문||정기진, 「전남 서부지역 전방후원형분 축조세력 검토」, 『야외고고학』 제19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4.||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14140890&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 |
|- | |- | ||
− | |논문||林永珍, 「光州 月桂洞의 長鼓墳 2基 」, 『韓國考古學報』 | + | |논문||林永珍, 「光州 月桂洞의 長鼓墳 2基 」, 『韓國考古學報』 31, 韓國考古學會, 1994.||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01017751 |
|- | |- | ||
− | |논문||우재병, 「5~6세기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와 왜의 관계」, | + | |논문||우재병, 「5~6세기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와 왜의 관계」, 『선사와 고대』 no.50, 한국고대학회, 2016.||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5987 |
|- | |- | ||
|논문||문동석, 「고고자료로 본 백제와 왜(倭) 교섭」, 『일본어문학』 no.82, 일본어문학회, 2018.||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5502 | |논문||문동석, 「고고자료로 본 백제와 왜(倭) 교섭」, 『일본어문학』 no.82, 일본어문학회, 2018.||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5502 | ||
89번째 줄: | 112번째 줄: | ||
== Notes == | == Notes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월계동장고분"></iframe> | ||
+ | <br/>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월계동장고분'"> | ||
+ | </html> | ||
+ | |||
+ | [[분류:Place]][[분류: 이재열]][[분류:가]] |
2024년 1월 12일 (금) 09:1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월계동 장고분(月溪洞長鼓墳)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2기의 무덤을 말하며 앞은 사다리꼴의 네모형, 뒷부분은 원형으로 장고의 형상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영산강 상류에 위치한 장구촌마을 북쪽 변두리, 서쪽에서 내려오는 구릉 말단 부에 있으며 주위에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장구모양의 언덕 때문에 장구촌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길 정도로 이곳에서 장고분의 존재는 알려져 있었으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제시대부터 도굴이 진행되어 많은 부분이 유실되었으나 1994년 2월 18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 장고분은 현재 공식적으로 전방후원분으로 분류된다. 일본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태이며 한반도에서의 발굴 조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1980년대에는 장고분이 전방후원분과 동일한 것인가 하는 논쟁도 있었다. 전남 대학교박물관에 의해 1993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도굴로 인해 유실된 유물이 많긴 하지만 원통형 토기와 나팔형 토기, 금귀고리 ·쇠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 특히 바닥이 뚫린 원통형토기는 월계동 장고분에서만 발견되며 일본 전방후원분에서 출토된 하니와(埴輪·봉분 주변을 장식하는 토기)를 재현한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다. 일본과의 교류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이 유물들로 보아 월계동장고분을 비롯한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매장자가 일본에서 온 인물들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월계동장고분 | Place | 유적지 | 고분 | 월계동장고분(月溪洞長鼓墳) | 월계동장고분 | 月溪洞長鼓墳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월계동장고분_전경.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월계동장고분 | ~을 관리하다 | |
원통형토기 | 월계동장고분 | ~에서 발굴되다 | |
월계동장고분 | 전방후원분 | ~으로 분류된다 | |
월계동장고분_1호분 | 월계동장고분 | ~의 일부이다 | |
월계동장고분_2호분 | 월계동장고분 | ~의 일부이다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월계동장고분 | 월계동장고분_1호분 | hasPart |
월계동장고분 | 월계동장고분_2호분 | hasPart |
광주_장고분 | 월계동장고분 | includes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월계동장고분 | administrates |
월계동장고분_원통형토기 | 월계동장고분 | isRelatedTo |
광주_장고분 | 명화동장고분 | includes |
광주_장고분 | 전방후원분 | type |
월계동장고분_원통형토기 | 원통형토기 | isKindOf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월계동장고분 | 35.2135664 | 126.842572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2동 월계로 155 |
Web Resource
Bibliography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