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Node Description)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 | *[[고경명|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조선 전기의 문인이자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의병장으로,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
+ | *1533년 광주 압보촌(鴨保村)에서 태어났다. 155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에 임명되었고 공조좌랑,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를 하다가 1563년에 이량(李樑)사건으로 울산군수로 좌천된 후 파직되었다. 이후 고향에 돌아와 18년간 지내다가 1581년(선조 14) 영암군수로 임명되었고, 종계변무주청사 김계휘(金繼輝)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서 서산군수, 한산군수,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순창군수(1588년), 승문원판교(1590년)을 하였고, 1591년에 동래부사를 하다가 서인(西人)이 실각하자 파직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 ||
+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에서 6,0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북상하다가 7월 10일에 충남 금산(錦山)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둘째 아들 고인후(高因厚), 부장 [[유팽로]]·[[안영]]과 함께 전사하였다.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큰 아들 고종후(高從厚)도 사망하여 3부자가 의병으로 순절하였다.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광주의 [[포충사|포충사(褒忠祠)]],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종용사(從容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배향되었다. | ||
+ |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으며, 특히 그의 시는 높은 문학적 평가를 받으며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저서로는 시문집 『[[제봉집]]』, [[무등산]] 기행문 [[유서석록|「유서석록(遊瑞石錄)]]」, 각처에 보낸 격문을 모은 『정기록(正氣錄)』 등이 있다.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8번째 줄: | 11번째 줄: |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고경명 ]]|| Actor||인물||||고경명(高敬命, 1533~1592)||고경명||高敬命||||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고경명|| http:// | + | |[[고경명 ]]|| Actor|| 인물-사회언론 || 의병장 ||고경명(高敬命, 1533~1592)||고경명||高敬命||||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고경명||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e/고경명_초상.jpg |
|} | |} | ||
21번째 줄: | 24번째 줄: | ||
| [[고경명]] || [[고용후]] || hasSon || 막내 아들 | | [[고경명]] || [[고용후]] || hasSon || 막내 아들 | ||
|- | |- | ||
− | | [[고경명]] || [[ | + | | [[고경명]] || [[포충사]] || isEnshrinedIn || |
|- | |- | ||
| [[고경명]] || [[금산전투]] || isVictimOf || | | [[고경명]] || [[금산전투]] || isVictimOf || | ||
51번째 줄: | 54번째 줄: | ||
| [[김성원]] || [[성산_사선]] || || ~은 ~으로 불렸다. | | [[김성원]] || [[성산_사선]] || || ~은 ~으로 불렸다. | ||
|- | |- | ||
− | | [[고경명]] || [[ | + | | [[고경명]] || [[임진왜란_호남_의병]] || leads || |
|- | |- | ||
| [[고경명]] || [[호남_의병]] || || ~은 ~의 의병장이었다. | | [[고경명]] || [[호남_의병]] || || ~은 ~의 의병장이었다. | ||
61번째 줄: | 64번째 줄: | ||
| [[금산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 | [[금산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 ||
|- | |- | ||
− | | [[고용후]] || [[ | + | | [[고용후]] || [[제봉집]] || || ~는 고경명의 유고 시문집 ~를 간행했다. |
|- | |- | ||
| [[정기록]] || [[고용후]] || || ~은 ~가 간행하다. | | [[정기록]] || [[고용후]] || || ~은 ~가 간행하다. | ||
|- | |- | ||
− | | [[정기록]] || [[ | + | | [[정기록]] || [[제봉집]] || || ~은 ~중 하나이다. |
|- | |- | ||
| [[유서석록]] || [[고경명]] || creator || | | [[유서석록]] || [[고경명]] || creator || | ||
89번째 줄: | 92번째 줄: | ||
| [[제봉문집목판]] || [[제봉집]] || isRelatedTo || 목판 | | [[제봉문집목판]] || [[제봉집]] || isRelatedTo || 목판 | ||
|- | |- | ||
− | | [[제봉문집목판]] || [[ | + | | [[제봉문집목판]] || [[포충사]] || currentLocation || |
|- | |- | ||
| [[제봉집]] || [[고경명]] || creator || | | [[제봉집]] || [[고경명]] || creator || | ||
|- | |- | ||
| [[진주성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 | [[진주성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고경명]]||[[고경명_옛_집터]]||livesIn | ||
+ | |- | ||
+ | |[[고경명]]||[[고용후]]||hasSon | ||
+ | |- | ||
+ | |[[고경명]]||[[고원희]]||hasDescendant | ||
+ | |- | ||
+ | |[[고경명]]||[[고인후]]||hasSon | ||
+ | |- | ||
+ | |[[고경명]]||[[고종후]]||hasSon | ||
+ | |- | ||
+ | |[[고경명]]||[[포충사]]||isEnshrinedIn | ||
+ | |- | ||
+ | |[[고경명]]||[[금산전투]]||isVictimOf | ||
+ | |- | ||
+ | |[[고경명]]||[[기대승]]||isFellowOf | ||
+ | |- | ||
+ | |[[고경명]]||[[마상격문]]||creator | ||
+ | |- | ||
+ | |[[고경명]]||[[임진왜란_호남_의병]]||leads | ||
+ | |- | ||
+ | |[[고경명]]||[[제봉로]]||isRelatedTo | ||
+ | |- | ||
+ | |[[면앙정_삼십영_고경명]]||[[고경명]]||creator | ||
+ | |- | ||
+ | |[[성산_사선]]||[[고경명]]||includes | ||
+ | |- | ||
+ | |[[양과동정]]||[[고경명]]||isRelatedTo | ||
+ | |- | ||
+ | |[[유서석록]]||[[고경명]]||creator | ||
+ | |- | ||
+ | |[[제봉숲]]||[[고경명]]||isNamedAfter | ||
+ | |- | ||
+ | |[[황백국]]||[[고경명]]||creator | ||
+ | |- | ||
+ | |[[고원희가옥]]||[[고경명_옛_집터]]||isCurrentlySituatedOn | ||
+ | |- | ||
+ | |[[고인후]]||[[금산전투]]||isVictimOf | ||
+ | |- | ||
+ | |[[고종후]]||[[진주성전투]]||isVictimOf | ||
+ | |- | ||
+ |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제봉문집목판]]||includes | ||
+ | |- | ||
+ | |[[금산전투]]||[[임진왜란]]||isPartOf | ||
+ | |- | ||
+ | |[[면앙정_삼십영]]||[[면앙정_삼십영_고경명]]||includes | ||
+ | |- | ||
+ | |[[면앙정_삼십영]]||[[면앙정_삼십영_김인후]]||includes | ||
+ | |- | ||
+ | |[[면앙정_삼십영]]||[[면앙정_삼십영_임억령]]||includes | ||
+ | |- | ||
+ | |[[면앙정_삼십영_김인후]]||[[김인후]]||creator | ||
+ | |- | ||
+ | |[[면앙정_삼십영_임억령]]||[[임억령]]||creator | ||
+ | |- | ||
+ | |[[성산_사선]]||[[김성원]]||includes | ||
+ | |- | ||
+ | |[[성산_사선]]||[[임억령]]||includes | ||
+ | |- | ||
+ | |[[성산_사선]]||[[정철]]||includes | ||
+ | |- | ||
+ | |[[유서석록]]||[[무등산]]||depicts | ||
+ | |- | ||
+ | |[[유서석록]]||[[제봉집]]||isPartOf | ||
+ | |- | ||
+ | |[[정기록]]||[[고용후]]||publisher | ||
+ | |- | ||
+ | |[[정기록]]||[[마상격문]]||hasPart | ||
+ | |- | ||
+ | |[[정기록]]||[[제봉집]]||isPartOf | ||
+ | |- | ||
+ | |[[제봉문집목판]]||[[포충사]]||currentLocation | ||
+ | |- | ||
+ | |[[제봉문집목판]]||[[제봉집]]||isRelatedTo | ||
+ | |- | ||
+ | |[[제봉집]]||[[고용후]]||publisher | ||
+ | |- | ||
+ | |[[제봉집]]||[[정기록]]||hasPart | ||
+ | |- | ||
+ | |[[진주성전투]]||[[임진왜란]]||isPartOf | ||
+ | |- | ||
+ | |[[호남_의병]]||[[임진왜란_호남_의병]]||hasPart | ||
+ | |- | ||
|} | |} | ||
124번째 줄: | 214번째 줄: | ||
|논문||김미선,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 『동아인문학』 52, 동아인문학회, 2020.||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0310 | |논문||김미선,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 『동아인문학』 52, 동아인문학회, 2020.||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0310 | ||
|- | |- | ||
− | |논문||권순열, 「霽峯 高敬命의 使行詩 硏究」, 『한국시가문화연구』 26, | + | |논문||권순열, 「霽峯 高敬命의 使行詩 硏究」, 『한국시가문화연구』 26, 한국시가문화학회, 2010.||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8467 |
|- | |- | ||
|논문||황수정, 「고경명 제화시의 의경과 미적 특질」, 『한국한시연구』 20, 한국한시학회, 2012.||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06670 | |논문||황수정, 「고경명 제화시의 의경과 미적 특질」, 『한국한시연구』 20, 한국한시학회, 2012.||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06670 | ||
146번째 줄: | 236번째 줄: | ||
== Notes == | == Notes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SemanticGraph | key=고경명}} | ||
+ | |||
[[분류:Actor]][[분류: 이재열]][[분류:운]] | [[분류:Actor]][[분류: 이재열]][[분류:운]] |
2024년 3월 30일 (토) 11:0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조선 전기의 문인이자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의병장으로,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 1533년 광주 압보촌(鴨保村)에서 태어났다. 155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에 임명되었고 공조좌랑,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를 하다가 1563년에 이량(李樑)사건으로 울산군수로 좌천된 후 파직되었다. 이후 고향에 돌아와 18년간 지내다가 1581년(선조 14) 영암군수로 임명되었고, 종계변무주청사 김계휘(金繼輝)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서 서산군수, 한산군수,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순창군수(1588년), 승문원판교(1590년)을 하였고, 1591년에 동래부사를 하다가 서인(西人)이 실각하자 파직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에서 6,0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북상하다가 7월 10일에 충남 금산(錦山)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둘째 아들 고인후(高因厚), 부장 유팽로·안영과 함께 전사하였다.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큰 아들 고종후(高從厚)도 사망하여 3부자가 의병으로 순절하였다.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광주의 포충사(褒忠祠),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종용사(從容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배향되었다.
-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으며, 특히 그의 시는 높은 문학적 평가를 받으며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저서로는 시문집 『제봉집』, 무등산 기행문 「유서석록(遊瑞石錄)」, 각처에 보낸 격문을 모은 『정기록(正氣錄)』 등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고경명 | Actor | 인물-사회언론 | 의병장 | 고경명(高敬命, 1533~1592) | 고경명 | 高敬命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고경명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e/고경명_초상.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고경명 | 고인후 | hasSon | 차남 |
고경명 | 고종후 | hasSon | 장남 |
고경명 | 고용후 | hasSon | 막내 아들 |
고경명 | 포충사 | isEnshrinedIn | |
고경명 | 금산전투 | isVictimOf | |
고경명 | 마상격문 | ~은 ~을 지어 의병을 모았다. 마상격문은 최지원의 황소격문, 제갈량의 출사표와 더불어 3대 격문으로 평가받는다. | |
양과동정 | 고경명 | ~은 ~의 별서이다. | |
고경명 | 고원희가옥 | isRelatedTo | ~의 옛집 터에 ~을 지었다. |
고원희 | 고경명 | ~은 ~의 17대 후손이다. | |
고경명 | 제봉로 | isRelatedTo | 제봉 고경명을 기리기 위해 고경명의 호로 도로명 주소를 짓다. |
제봉숲 | 고경명 | ~은 고경명의 호 제봉에서 따왔다. 유아숲 체험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
면앙정_삼십영 | 고경명 | contributor | ~은 ~ 김인후, 임억령가 함께 지었다. |
면앙정_삼십영 | 김인후 | contributor | ~은 ~ 고경명, 임억령가 함께 지었다. |
면앙정_삼십영 | 임억령 | contributor | ~은 ~ 고경명, 김인후가 함께 지었다. |
고경명 | 성산_사선 | ~은 ~이다. | |
정철 | 성산_사선 | ~은 ~으로 불렸다. | |
임억령 | 성산_사선 | ~은 ~으로 불렸다. | |
김성원 | 성산_사선 | ~은 ~으로 불렸다. | |
고경명 | 임진왜란_호남_의병 | leads | |
고경명 | 호남_의병 | ~은 ~의 의병장이었다. | |
고인후 | 금산전투 | isVictimOf | |
고종후 | 진주성전투 | isVictimOf | |
금산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
고용후 | 제봉집 | ~는 고경명의 유고 시문집 ~를 간행했다. | |
정기록 | 고용후 | ~은 ~가 간행하다. | |
정기록 | 제봉집 | ~은 ~중 하나이다. | |
유서석록 | 고경명 | creator | |
유서석록 | 무등산 | depicts | |
유서석록 | 제봉집 | isPartOf | |
정기록 | 고용후 | ~를 ~가 간행하다. | |
마상격문 | 정기록 | ~은 ~에 실려있다. | |
정기록 | 제봉집 | isPartOf | |
고경명 | 황백국 | ~은 한시 ~를 짓다. | |
황백국 | 기대승 | 한시 ~를 ~이 받다. | |
고경명 | 기대승 | ~은 ~과 교유하다. | |
고경명 | 황백국_사설 | ~은 ~의 주인공이다. | |
제봉문집목판 | 제봉집 | isRelatedTo | 목판 |
제봉문집목판 | 포충사 | currentLocation | |
제봉집 | 고경명 | creator | |
진주성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고경명 | 고경명_옛_집터 | livesIn |
고경명 | 고용후 | hasSon |
고경명 | 고원희 | hasDescendant |
고경명 | 고인후 | hasSon |
고경명 | 고종후 | hasSon |
고경명 | 포충사 | isEnshrinedIn |
고경명 | 금산전투 | isVictimOf |
고경명 | 기대승 | isFellowOf |
고경명 | 마상격문 | creator |
고경명 | 임진왜란_호남_의병 | leads |
고경명 | 제봉로 | isRelatedTo |
면앙정_삼십영_고경명 | 고경명 | creator |
성산_사선 | 고경명 | includes |
양과동정 | 고경명 | isRelatedTo |
유서석록 | 고경명 | creator |
제봉숲 | 고경명 | isNamedAfter |
황백국 | 고경명 | creator |
고원희가옥 | 고경명_옛_집터 | isCurrentlySituatedOn |
고인후 | 금산전투 | isVictimOf |
고종후 | 진주성전투 | isVictimOf |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 | 제봉문집목판 | includes |
금산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면앙정_삼십영 | 면앙정_삼십영_고경명 | includes |
면앙정_삼십영 | 면앙정_삼십영_김인후 | includes |
면앙정_삼십영 | 면앙정_삼십영_임억령 | includes |
면앙정_삼십영_김인후 | 김인후 | creator |
면앙정_삼십영_임억령 | 임억령 | creator |
성산_사선 | 김성원 | includes |
성산_사선 | 임억령 | includes |
성산_사선 | 정철 | includes |
유서석록 | 무등산 | depicts |
유서석록 | 제봉집 | isPartOf |
정기록 | 고용후 | publisher |
정기록 | 마상격문 | hasPart |
정기록 | 제봉집 | isPartOf |
제봉문집목판 | 포충사 | currentLocation |
제봉문집목판 | 제봉집 | isRelatedTo |
제봉집 | 고용후 | publisher |
제봉집 | 정기록 | hasPart |
진주성전투 | 임진왜란 | isPartOf |
호남_의병 | 임진왜란_호남_의병 | hasPart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경명(高敬命)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297 | |
해설 | 두산백과 | 고경명[高敬命,1533~1592]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5423 | |
참고 | 한국일보 | 외앗날 혹은 붕어섬… 구름바위 마을의 추억을 더듬는 길 (2022-07-06, 최흥수 기자)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70510590000868?did=NA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유서석록 |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전시된 고경명의 저서 유서석록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유서석록.jpg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정기록과 제봉수초격문 |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전시된 고경명의 저서 정기록과 격문 제봉수초격문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정기록과_제봉수초격문.jpg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포충사 사당 | 고경명을 배향하고 있는 포충사 사당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포충사_사당.jpg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제봉유묵 |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전시된 고경명의 필적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제봉유묵.jpg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고경명 초상 | 포충사에 모셔진 고경명의 초상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고경명_초상.jpg |
Bibliography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