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다리붓"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5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진다리붓|진다리붓]]은 광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제4호)중 하나이다.  
+
*[[진다리붓|진다리붓]]은 광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제4호) 중 하나이다. 1930년대 이후 현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지역에 안재환 씨가 정착하여 붓을 만들었고, 이후 다른 제작자들이 모여들게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 약 20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이후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는 [[필장]] 안씨 가문과 필장 문상호 씨만 제작을 계속하고 있다. 광주 진다리붓은 의재 [[허백련]] 등 유명 서예가와 문인 화가들에게 최고의 붓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약 30여  종의 붓이 연간 6천여 개 제작되는데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되고 있다.
*1930년대 이후 현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지역에 안재환씨가 정착하여 붓을 만들고, 이후 다른 제작자들이 모여들게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면서 20 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수요 감소로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는 필장 안씨 가문과 필장 문상호씨만 제작을 계속하고 있다.
+
*'진다리’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백운동의 옛 지명이라는 말도 있으나, 4대째 진다리붓 가업을 계승하고 있는 안명환 필장의 설명에 의하면 '진다리'는 1985년에 자신이 등록한 특허 상표명이라고 한다. 1980년대에 안 필장의 가족은 한 친척이 운영하던 [[진교필방]]붓을 팔 수 있도록 물건을 납품해주었다. 붓이 명성을 얻으면서 판매량이 급증했는데, 정작 붓 자체나 붓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판매처인 [[진교필방]]만 유명해졌단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한 안 필장이 진교의 교(橋)를 우리말인 다리로 바꾸고 '진다리붓'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특허 등록을 한 것이다. 현재는 안 필장이 운영하는 '진다리붓' 제작소에서만 붓을 판매한다. 그래서 [[진다리붓]]의 좁은 의미로는 안명환 필장의 가문에서 만든 붓을 칭하고, 넓은 의미로는 백운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붓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옛날부터 좋은 붓은 [[‘침제원건’]]이라는 4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끝이 뾰족하고 가지런하며, 물에 적신 털의 모양이 원형을 이루고, 한 획을 그은 후 붓털이 다시 힘 있게 일어나는 탄력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붓을 만들기 위해서는 약 100 여 개의 세밀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진다리붓이 바로 이렇게 잘 만들어진 대표적인 붓이었다. 이는 [[의재 허백련]] 등 유명 서예가와 문인화가들이 인정하고 있다.
 
*‘진다리’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백운동의 옛 지명이라는 말도 있으나, 4대째 진다리붓 가업을 계승하고 있는 [[안명환]] 필장의 설명에 의하면 진다리는 1985년에 자신이 등록한 특허 상표명이라고 한다. 안 필장의 조부 때부터 [[진교필방]]에서 붓을 팔았는데, 붓 자체나 붓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판매처인 진교필방만 유명해졌단다. 그래서 진교의 교를 우리말인 다리로 바꾸고 진다리붓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특허 등록을 한 것이다.  
 
*그래서 [[진다리붓]]의 좁은 의미로는 안명환 필장의 가문에서 만든 붓을 칭하고, 넓은 의미로는 백운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붓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현재 약 30 여 종의 붓이 연간 6천 여 개 제작되는데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5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광주_충장사]] || Place || 사당 || || 충장사(忠壯祠) || 충장사 || 忠壯祠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충장사 ||  
+
| [[진다리붓]] || Concept || 개념 || 물품 || 진다리붓 || 진다리붓 ||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진다리붓 || http://gjstory.or.kr/__upload/user/uu9e08c23/size_1513129243_4315.jpg
 
|-
 
|-
 
|}
 
|}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25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광주_충장사]] || [[김덕령]]  || [[enshrines]] ||
+
| [[진다리붓]] || [[백운동]]  ||  || 1930년대 이후 붓 제작 지역
 
|-
 
|-
| [[김덕령_영정]] || [[광주_충장사]]  || [[isStoredIn]]  ||   
+
| [[진다리붓]] || [[침제원건(尖齊圓健)]]  ||   ||  좋은 붓의 조건 4가지
 
|-
 
|-
| [[김덕령_교지]] || [[광주_충장사]]  || [[isStoredIn]] ||
+
| [[진다리붓]] || [[안재환]]  ||  || 1930년대 백운동 붓 제작 1세대.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동재]]  || [[hasPart]]  ||
+
| [[진다리붓]] || [[진교필방]]  ||   || 붓 예전 판매처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서재]]  || [[hasPart]] ||
+
| [[진다리붓]] || [[허백련]]  ||  || 붓의 가치를 인정한 남종화의 대가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은륜비각]]  || [[hasPart]] ||
+
| [[안명환]] || [[진다리붓]]  ||  || 1985년에 특허냄.
 
|-
 
|-
| [[광주_충장사_은륜비각]] || [[광주_충장사_은륜비]]  || [[protects]]  ||
+
| [[진다리붓]] || [[필장]]  ||   || 붓 만드는 사람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유물관]]  || [[hasPart]]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충용문]]  || [[hasPart]]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익호문]] || [[hasPart]]  ||
+
|[[진다리붓]]||[[백운동]]||isProducedIn
 
|-
 
|-
| [[광주_충장사_은륜비]] || [[조철영]] || [[calligrapher]]  || 광주목사
+
|[[진다리붓]]||[[안재환]]||isRelatedTo
 
|-
 
|-
| [[광주_충장사_은륜비]] || [[조철영]] || [[writer]]  || 광주목사
+
|[[진다리붓]]||[[진교필방]]||isRelatedTo
 
|-
 
|-
| [[김덕령_목관]] || [[광주_충장사_유물관]] || [[currentLocation]]  ||  
+
|[[진다리붓]]||[[허백련]]||isRelatedTo
 
|-
 
|-
| [[김덕령_의복]] || [[광주_충장사_유물관]] || [[currentLocation]]  ||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
+
|[[안명환]]||[[진다리붓]]||isRelatedTo
 
|-
 
|-
|}
+
|[[광주광역시무형문화재]]||[[광주광역시_무형유산_필장]]||includes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Spatial Data==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id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address
 
 
|-
 
|-
| [[충장사]] || 35.1627679  || 126.9790383  || 258.54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13
+
|[[안명환]]||[[광주광역시_무형유산_필장]]||isRelatedTo
 
|-
 
|-
 
|}
 
|}
※ 참고: [https://latlongdata.com/elevation/ 지리 좌표 검색]
 
 
{{구글지도 | 위도=35.1627679| 경도=126.9790383 | 줌=16 }}
 
  
 
==Web Resource==
 
==Web Resource==
73번째 줄: 61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덕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진다리붓 ||  || http://encykorea.aks.ac.kr/Search/List
 +
|-
 +
| 해설 || 위키백과 || 붓 || || https://ko.wikipedia.org/wiki/붓
 +
|-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진다리붓 || || http://gjstory.or.kr/sub.html?pid=48&searchType=total&keyword=진다리붓
 +
|-
 +
| 참고 || 시민의 소리 || 한국의 명물 진다리붓, 광주의 자랑(2014-10-30,신문식 기자) ||  ||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8003
 +
|-
 +
| 참고 || 투데이광주전남 || 진다리붓(2021-12-5,정성환 기자) || 예향 광주의 문화 역사가 살아 숨쉬는 광주전통문화관을 찾아서|| http://www.todaygwang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337
 
|-
 
|-
| 해설 || 위키백과 || 김덕령 || || https://ko.wikipedia.org/wiki/김덕령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진다리붓||백운동 진다리붓1||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진다리붓-백운동_진다리붓1.JPG
 
|-
 
|-
| 해설 || 지역N문화 || 충장공 김덕령의 충절을 기리는 충장사 || || https://ncms.nculture.org/righteous-army/story/3894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진다리붓||백운동 진다리붓2||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진다리붓-백운동_진다리붓2.JPG
 
|-
 
|-
| 참고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충장사 || 김덕령의 충철이 깃든 충장사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86
+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유튜브 채널] || 인문스토리쇼츠-보림필방 || || https://www.youtube.com/embed/ADYAQY9q2FQ?si=y2Y_NTQr3YDx1y8Z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Bibliography==
90번째 줄: 84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단행본 ||김영헌,『김덕령 평전』, 향지사, 2006. ||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125867
+
| 논문 ||박창선, 「한국 전통 붓의 종류와 제작 기법」,『무형유산 』,국립무형유산원, 2020.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6915631
|-
 
| 논문 ||서지혜, 『조선시대 광주·전남지역 출토 철릭에 관한 연구 : 15-17세기 철릭의 구성과 바느질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  RISS ||  http://www.riss.kr/link?id=T8147700
 
 
|-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참고: [http://www.riss.kr/index.do RISS 논문 검색]
 
  
 
==Notes==
 
==Notes==
105번째 줄: 93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sample data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okehkim&project=gwangju&key=광주_충장사"></iframe>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okehkim&project=gwangju&key==광주_충장사'">
 
</html>
 
  
 +
{{SemanticGraph | key=진다리붓}}
  
[[분류:Place]] [[분류:김윤희]]
+
[[분류:Concept]] [[분류:김윤희]][[분류:흥]]

2024년 5월 31일 (금) 11:1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진다리붓은 광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제4호) 중 하나이다. 1930년대 이후 현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지역에 안재환 씨가 정착하여 붓을 만들었고, 이후 다른 제작자들이 모여들게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 약 20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이후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는 필장 안씨 가문과 필장 문상호 씨만 제작을 계속하고 있다. 광주 진다리붓은 의재 허백련 등 유명 서예가와 문인 화가들에게 최고의 붓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약 30여 종의 붓이 연간 6천여 개 제작되는데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되고 있다.
  • '진다리’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백운동의 옛 지명이라는 말도 있으나, 4대째 진다리붓 가업을 계승하고 있는 안명환 필장의 설명에 의하면 '진다리'는 1985년에 자신이 등록한 특허 상표명이라고 한다. 1980년대에 안 필장의 가족은 한 친척이 운영하던 진교필방에 붓을 팔 수 있도록 물건을 납품해주었다. 붓이 명성을 얻으면서 판매량이 급증했는데, 정작 붓 자체나 붓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판매처인 진교필방만 유명해졌단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한 안 필장이 진교의 교(橋)를 우리말인 다리로 바꾸고 '진다리붓'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특허 등록을 한 것이다. 현재는 안 필장이 운영하는 '진다리붓' 제작소에서만 붓을 판매한다. 그래서 진다리붓의 좁은 의미로는 안명환 필장의 가문에서 만든 붓을 칭하고, 넓은 의미로는 백운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붓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진다리붓 Concept 개념 물품 진다리붓 진다리붓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진다리붓 http://gjstory.or.kr/__upload/user/uu9e08c23/size_1513129243_4315.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진다리붓 백운동 1930년대 이후 붓 제작 지역
진다리붓 침제원건(尖齊圓健) 좋은 붓의 조건 4가지
진다리붓 안재환 1930년대 백운동 붓 제작 1세대.
진다리붓 진교필방 붓 예전 판매처
진다리붓 허백련 붓의 가치를 인정한 남종화의 대가
안명환 진다리붓 1985년에 특허냄.
진다리붓 필장 붓 만드는 사람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진다리붓 백운동 isProducedIn
진다리붓 안재환 isRelatedTo
진다리붓 진교필방 isRelatedTo
진다리붓 허백련 isRelatedTo
안명환 진다리붓 isRelatedTo
광주광역시무형문화재 광주광역시_무형유산_필장 includes
안명환 광주광역시_무형유산_필장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진다리붓 http://encykorea.aks.ac.kr/Search/List
해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붓
해설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진다리붓 http://gjstory.or.kr/sub.html?pid=48&searchType=total&keyword=진다리붓
참고 시민의 소리 한국의 명물 진다리붓, 광주의 자랑(2014-10-30,신문식 기자)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8003
참고 투데이광주전남 진다리붓(2021-12-5,정성환 기자) 예향 광주의 문화 역사가 살아 숨쉬는 광주전통문화관을 찾아서 http://www.todaygwang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337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진다리붓 백운동 진다리붓1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진다리붓-백운동_진다리붓1.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진다리붓 백운동 진다리붓2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진다리붓-백운동_진다리붓2.JPG
동영상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유튜브 채널 인문스토리쇼츠-보림필방 https://www.youtube.com/embed/ADYAQY9q2FQ?si=y2Y_NTQr3YDx1y8Z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박창선, 「한국 전통 붓의 종류와 제작 기법」,『무형유산 』,국립무형유산원, 2020. RISS http://www.riss.kr/link?id=A106915631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