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신방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Web Resource)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일신방직의 모태는 일제하 광주 북구 임동에 세워진 종연방직 전남공장으로 1961년 분사 이전의 역사는 전남방직(현 전방주식회사) | + | *일신방직의 모태는 일제하 광주 북구 임동에 세워진 종연방직 전남공장으로 1961년 분사 이전의 역사는 전남방직(현 전방주식회사)과 같다. 이에 따라 일신방직과 전방 모두 회사 출발지를 임동 공장으로 삼고 있다. 광주지역 통계에 따르면 전남방직과 일신방직은 1975년 광주지역 제조업체 종사자의 17.5%가 양 공장에서 일했을 정도로 1970년대까지 지역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가졌다. |
− | *일신방직의 창업자는 김형남이다. 평남 | + | *일신방직의 창업자는 김형남이다. 평남 강서 출신인 그는 미국 유학 경력을 배경으로 미군청에 의해 적산기업 전남방직공사 공장관리인이 되어 광주와 처음 연을 맺고, 1951년 공장을 공동 불하받았다. 공동인수인 김용주와 갈등으로 1961년 구 전남방직을 똑같이 나눠 일신방직을 출범시켰다. 김형남은 목화씨를 처음 들여온 문익점의 호를 따서 회사명을 ‘일신방직’으로 지었다고 했다. 본사는 서울 영등포구에 있으며, 광주 평동공장과 반월공장에서 면방과 사염과 포염을 생산하고 있다. 일신방직도 임동공장 부지는 전남방직과 마찬가지로 부동산개발업체에 매각한 상태다. |
− |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공장터에는 등록문화재급 근대산업유산인 물 저장 수조와 옛 화력발전소, 보일러실 등이 원형으로 남아 있어 개발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광주시, 시민단체와 주거 상업용지로 변경을 요구하는 판매자, 매입자 간의 | + |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공장터에는 등록문화재급 근대산업유산인 물 저장 수조와 옛 화력발전소, 보일러실 등이 원형으로 남아 있어 개발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광주시, 시민단체와 주거 상업용지로 변경을 요구하는 판매자, 매입자 간의 줄다리기가 계속되는 상태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일신방직 ]]|| Actor||단체|| | + | |[[일신방직]]|| Actor|| 단체-산업경제 || 방직 ||일신방직||일신방직||||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일신방직||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4/4e/114일신방직.jpg |
|} | |}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 |- | ||
|[[일신방직]]||[[개발의 공공성]]||||부지 개발 논란 | |[[일신방직]]||[[개발의 공공성]]||||부지 개발 논란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일신방직]]||[[김용주]]||isRelatedTo | ||
+ | |- | ||
+ | |[[일신방직]]||[[김형남]]||founder | ||
+ | |- | ||
+ | |[[일신방직]]||[[종연방적_광주공장]]||hasOldName | ||
+ | |- | ||
+ | |[[임동방직공장_터]]||[[임동방직공장_부지개발논란]]||isRelatedTo | ||
+ | |- | ||
+ | |[[종연방적_광주공장]]||[[임동방직공장_터]]||isPreviouslySituatedOn | ||
+ | |- | ||
+ | |[[종연방적_광주공장]]||[[종연방적]]||isPartOf | ||
|- | |- | ||
|} | |} | ||
53번째 줄: | 70번째 줄: | ||
|참고||한겨레||"일제수탈 상징 임동 방직공장 보존하자"..광주 시민대책위 출범(2021-01-20, 김용희 기자)|||| https://news.v.daum.net/v/20210120174604893 | |참고||한겨레||"일제수탈 상징 임동 방직공장 보존하자"..광주 시민대책위 출범(2021-01-20, 김용희 기자)|||| https://news.v.daum.net/v/20210120174604893 | ||
|- | |- |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임동 일신방직 정문||||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e/ee/일신방직1.jpg |
− | |||
− | |||
|- | |- | ||
|사진||시청각자료실||일신방직||일신방직 담장|| http://gjarchive.kr/cp01/22998 | |사진||시청각자료실||일신방직||일신방직 담장|| http://gjarchive.kr/cp01/22998 | ||
75번째 줄: | 90번째 줄: | ||
== Notes == | == Notes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SemanticGraph | key=일신방직}} | ||
+ | |||
[[분류:Actor]] [[분류:심재식]][[분류:로]] | [[분류:Actor]] [[분류:심재식]][[분류:로]] |
2024년 3월 15일 (금) 10:1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일신방직의 모태는 일제하 광주 북구 임동에 세워진 종연방직 전남공장으로 1961년 분사 이전의 역사는 전남방직(현 전방주식회사)과 같다. 이에 따라 일신방직과 전방 모두 회사 출발지를 임동 공장으로 삼고 있다. 광주지역 통계에 따르면 전남방직과 일신방직은 1975년 광주지역 제조업체 종사자의 17.5%가 양 공장에서 일했을 정도로 1970년대까지 지역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가졌다.
- 일신방직의 창업자는 김형남이다. 평남 강서 출신인 그는 미국 유학 경력을 배경으로 미군청에 의해 적산기업 전남방직공사 공장관리인이 되어 광주와 처음 연을 맺고, 1951년 공장을 공동 불하받았다. 공동인수인 김용주와 갈등으로 1961년 구 전남방직을 똑같이 나눠 일신방직을 출범시켰다. 김형남은 목화씨를 처음 들여온 문익점의 호를 따서 회사명을 ‘일신방직’으로 지었다고 했다. 본사는 서울 영등포구에 있으며, 광주 평동공장과 반월공장에서 면방과 사염과 포염을 생산하고 있다. 일신방직도 임동공장 부지는 전남방직과 마찬가지로 부동산개발업체에 매각한 상태다.
-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공장터에는 등록문화재급 근대산업유산인 물 저장 수조와 옛 화력발전소, 보일러실 등이 원형으로 남아 있어 개발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광주시, 시민단체와 주거 상업용지로 변경을 요구하는 판매자, 매입자 간의 줄다리기가 계속되는 상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일신방직 | Actor | 단체-산업경제 | 방직 | 일신방직 | 일신방직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일신방직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4/4e/114일신방직.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일신방직 | 전남방직 | 분사이전 기업명 | |
일신방직 | 종연방적 | 모태기업 | |
일신방직 | 김형남 | 창업주 | |
일신방직 | 김용주 | 공동 인수자 | |
일신방직 | 개발의 공공성 | 부지 개발 논란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일신방직 | 김용주 | isRelatedTo |
일신방직 | 김형남 | founder |
일신방직 | 종연방적_광주공장 | hasOldName |
임동방직공장_터 | 임동방직공장_부지개발논란 | isRelatedTo |
종연방적_광주공장 | 임동방직공장_터 | isPreviouslySituatedOn |
종연방적_광주공장 | 종연방적 | isPartOf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일신방직 임동공장 | 35.164063525229835 | 126.89374967426373 | 광주 북구 서림로 60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 | url |
---|---|---|---|---|
해설 | 일신방직 | 홈페이지 | http://www.ilshin.kr/front/kor/main.do | |
해설 | 나무위키 | 일신방직 | https://namu.wiki/w/일신방직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형남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5991 | |
참고 | 연합뉴스 | '방직산업 메카' 전방·일신방직 광주 공장 역사 뒤안길로(2019-12-02, 손상원 기자) | https://www.yna.co.kr/view/AKR20191202047400054 | |
참고 | KBS | 광주 임동 방직공장 부지 매각…공익개발 가능하나?(2020-07-27, 류성호 기자)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503656 | |
참고 | 한겨레 | "일제수탈 상징 임동 방직공장 보존하자"..광주 시민대책위 출범(2021-01-20, 김용희 기자) | https://news.v.daum.net/v/20210120174604893 | |
사진 |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 임동 일신방직 정문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e/ee/일신방직1.jpg | |
사진 | 시청각자료실 | 일신방직 | 일신방직 담장 | http://gjarchive.kr/cp01/22998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박경섭, 「방직공장의 상상력 -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부지 개발과 보존 논란을 넘어서」, 『문학들』Vol.- No.65, 심미안 ,2021, | http://www.riss.kr/link?id=A107842301 | |
단행본 | 편집국, 『전남일신방직 근대산업유산의 미래』, 대동문화, 2021. | http://www.riss.kr/link?id=A108003931 | |
단행본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임동방직공장』, 광주역사민속박물관, 2022. | https://www.gwangju.go.kr/gjhfm/boardView.do?pageId=gjhfm22&boardId=BD_0000000036&seq=100&movePage=1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