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보자기|보자기]]가 계층의 구분 없이 유용하게 널리 쓰인 이유는 사람을 정성껏 대하고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한국 예절의 습성, 전통 민간 신앙적 측면에서 보자기에 복을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 + | *[[보자기|보자기]]가 계층의 구분 없이 유용하게 널리 쓰인 이유는 사람을 정성껏 대하고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한국 예절의 습성, 전통 민간 신앙적 측면에서 보자기에 복을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속설이 있다. |
− | *보자기가 우리나라에서 발달하게 된 주된 원인은 주거공간의 협소를 들 수 있다. 보자기는 개패에 따라 | + | *보자기가 우리나라에서 발달하게 된 주된 원인은 주거공간의 협소를 들 수 있다. 보자기는 개패에 따라 용적의 신축이 자유로워 보관 혹은 운반 용구로 사용할 때는 용적을 최대한 이용하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작게 접어둘 수 있으므로 그런 가재도구로서 적격이었다. 이런 편의 때문에 자연히 보자기가 널리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복(福)이 보자기를 이르는 말로 쓰였다. 복을 싸둔다는 뜻으로 쓰였다고도 한다.<ref>위키백과, 인용일 2022-07-13, https://ko.wikipedia.org/wiki/보자기</ref> |
− | *언제부터 어떤 용도로 처음 쓰이기 시작하였는지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사람들이 물건을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하여 둘 때, 물건을 | + | *언제부터 어떤 용도로 처음 쓰이기 시작하였는지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사람들이 물건을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하여 둘 때, 물건을 좀 더 안전하고 간편하게 챙겨두고자 하는 필요에서 마들어진 것 같다. |
− | *보자기는 선조들의 생활 속에서 책가방을 대신하는 책보, 아기를 | + | *보자기는 선조들의 생활 속에서 책가방을 대신하는 책보, 아기를 싸매는 [[포대기]], 물건을 포장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
− | *현존하는 최고의 보자기로 알려진 것은 전주시립박물관에 소장된 | + | *현존하는 최고의 보자기로 알려진 것은 전주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수보(繡褓)로 그 제작 연대는 고려 말로 추정된다.<ref>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07-1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보자기&ridx=0&tot=12</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보자기]] || | + | | [[보자기]] || Concept || 개념 || 물품 || || 보자기 || 褓자기 || bozagi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보자기 || https://bojagiflower.co.kr/web/upload/NNEditor/20200131/EC9E91ED9288EC82ACECA7841.jpg |
|- | |- | ||
|} | |}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보자기]] || [[전통포장법]] || || 보자기는 우리나라의 전통 포장법이다. | | [[보자기]] || [[전통포장법]] || || 보자기는 우리나라의 전통 포장법이다.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보자기]]||[[광주_온담]]||isRelatedTo | ||
+ | |- | ||
+ | |[[보자기]]||[[광주보자기아트협회]]||isRelatedTo | ||
+ | |- | ||
+ | |[[캠페인_보자기장]]||[[보자기]]||isNamedAfter | ||
+ | |- | ||
+ | |[[광주_청소년삶디자인센터]]||[[캠페인_보자기장]]||administrates | ||
+ | |- | ||
+ | |[[광주보자기아트협회]]||[[광주보자기아트협회_보자기꽃]]||isRelatedTo | ||
|- | |- | ||
|} | |} | ||
54번째 줄: | 69번째 줄: | ||
|- | |- | ||
| 참고 || 광주청소년 삶디자인센터 || 보자기장터 || || https://samdi.or.kr/archives/12198 | | 참고 || 광주청소년 삶디자인센터 || 보자기장터 || || https://samdi.or.kr/archives/12198 | ||
+ | |- | ||
+ |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보자기 || 작품[美] || https://app-storage-edge-008.cafe24.com/bannermanage2/bf2015/2022/08/31/fa250f2b1b6e949be4c27b22abf008ff.jpg | ||
+ | |- | ||
+ |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보자기 || 22FW || https://app-storage-edge-008.cafe24.com/bannermanage2/bf2015/2022/08/31/5ba47f5db632329826117c684dedb8ba.jpg | ||
+ | |- | ||
+ |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광주 광산 보자기아트 공방 || || https://bojagiflower.co.kr/web/upload/NNEditor/20200131/EC9E91ED9288EC82ACECA7843.jpg | ||
+ | |- | ||
+ |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광주 광산 보자기아트 공방 || || https://bojagiflower.co.kr/web/upload/NNEditor/20200131/EC9E91ED9288EC82ACECA7841.jpg | ||
+ | |- | ||
+ |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흥미로운가] || 흥미로 쇼츠(shorts) - 보자기 || || https://www.youtube.com/embed/_DJCIrWim2g | ||
|- | |- | ||
|} | |} | ||
78번째 줄: | 103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분류: | + | {{SemanticGraph | key=보자기}} |
+ | |||
+ | [[분류:Concept]] [[분류:김희련]][[분류:미]] |
2024년 5월 31일 (금) 11:14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보자기가 계층의 구분 없이 유용하게 널리 쓰인 이유는 사람을 정성껏 대하고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한국 예절의 습성, 전통 민간 신앙적 측면에서 보자기에 복을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속설이 있다.
- 보자기가 우리나라에서 발달하게 된 주된 원인은 주거공간의 협소를 들 수 있다. 보자기는 개패에 따라 용적의 신축이 자유로워 보관 혹은 운반 용구로 사용할 때는 용적을 최대한 이용하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작게 접어둘 수 있으므로 그런 가재도구로서 적격이었다. 이런 편의 때문에 자연히 보자기가 널리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복(福)이 보자기를 이르는 말로 쓰였다. 복을 싸둔다는 뜻으로 쓰였다고도 한다.[1]
- 언제부터 어떤 용도로 처음 쓰이기 시작하였는지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사람들이 물건을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하여 둘 때, 물건을 좀 더 안전하고 간편하게 챙겨두고자 하는 필요에서 마들어진 것 같다.
- 보자기는 선조들의 생활 속에서 책가방을 대신하는 책보, 아기를 싸매는 포대기, 물건을 포장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 현존하는 최고의 보자기로 알려진 것은 전주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수보(繡褓)로 그 제작 연대는 고려 말로 추정된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보자기 | Concept | 개념 | 물품 | 보자기 | 褓자기 | bozagi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보자기 | https://bojagiflower.co.kr/web/upload/NNEditor/20200131/EC9E91ED9288EC82ACECA7841.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보자기 | 보자기장 | 도시농부와 청소년 요리사 등 사회를 바꾸는 작은 캠페인의 장 | |
보자기장 | 광주_청소년삶디자인센터 | 주최기관 | |
보자기 | 광주보자기아트협회 | 보자기 관련 협회 | |
광주보자기아트협회 | 광주보자기아트협회_보자기꽃 | 보자기꽃이 대표적이다. | |
보자기 | 광주_온담 | 보자기 포장 전문점, 공방 | |
보자기 | 책보 | ~는 ~로도 사용하였다. | |
보자기 | 포대기 | ~는 ~로도 사용하였다. | |
보자기 | 전통포장법 | 보자기는 우리나라의 전통 포장법이다. |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보자기 | 광주_온담 | isRelatedTo |
보자기 | 광주보자기아트협회 | isRelatedTo |
캠페인_보자기장 | 보자기 | isNamedAfter |
광주_청소년삶디자인센터 | 캠페인_보자기장 | administrates |
광주보자기아트협회 | 광주보자기아트협회_보자기꽃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백과 | 보자기 | https://ko.wikipedia.org/wiki/보자기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보자기 | http://encykorea.aks.ac.kr/Search/List | |
참고 | 대구축제닷컴 | 보자기축제 | http://daegufestival.com/동아시아대구보자기축제/ | |
참고 | 광주청소년 삶디자인센터 | 보자기장터 | https://samdi.or.kr/archives/12198 |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보자기 | 작품[美] | https://app-storage-edge-008.cafe24.com/bannermanage2/bf2015/2022/08/31/fa250f2b1b6e949be4c27b22abf008ff.jpg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보자기 | 22FW | https://app-storage-edge-008.cafe24.com/bannermanage2/bf2015/2022/08/31/5ba47f5db632329826117c684dedb8ba.jpg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광주 광산 보자기아트 공방 | https://bojagiflower.co.kr/web/upload/NNEditor/20200131/EC9E91ED9288EC82ACECA7843.jpg | |
사진 | 한국보자기아트협회 | 광주 광산 보자기아트 공방 | https://bojagiflower.co.kr/web/upload/NNEditor/20200131/EC9E91ED9288EC82ACECA7841.jpg | |
동영상 | 흥미로운가 | 흥미로 쇼츠(shorts) - 보자기 | https://www.youtube.com/embed/_DJCIrWim2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박진숙/제이홈저,『날마다 보자기 포장 : 소소한 물건에 특별함을 입히다』, 서울:재증, 2020. | http://www.riss.kr/link?id=M15628000 | |
단행본 | 김현희, 『보자기 만들기』, 미진사, 2011.07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40804100 | |
단행본 | 이경옥, 김수정, 김영선, 『일상에서 즐기는 보자기 패치워크』, 서울 : 참돌, 2014 | http://www.riss.kr/link?id=M13533419 | |
논문 | 강서영, 『조선말 궁중 보자기 연구』, 「古宮文化」Vol.- No.5, 국립고궁박물관, 2012. | KISS | http://www.riss.kr/link?id=A103205344 |
연구보고서 | 박윤미,『수착직물의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 직물의 유형과 제직기법 고찰』,한국연구재단, 2008. | http://www.riss.kr/link?id=G3791150 |
Notes
- ↑ 위키백과, 인용일 2022-07-13, https://ko.wikipedia.org/wiki/보자기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07-1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보자기&ridx=0&tot=12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