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소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Contextual Relations) |
(→Definition)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1949년 《[[동광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조개_줍는_노파|조개 줍는 노파]](老婆)」가 제이석(第二席)으로 선정, 195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설매사]](雪梅詞)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 * 1949년 《[[동광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조개_줍는_노파|조개 줍는 노파]](老婆)」가 제이석(第二席)으로 선정, 195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설매사]](雪梅詞)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 ||
* 1957년 10월 본명 [[정현민]]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최된 정부 주최 범문단(汎文壇) 제1회 전국백일장에서 대통령 [[이승만]]이 출제한 '[[독임란사유감]](讀壬亂史有感)'이라는 제목으로 시조 부문 장원을 수상했다. | * 1957년 10월 본명 [[정현민]]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최된 정부 주최 범문단(汎文壇) 제1회 전국백일장에서 대통령 [[이승만]]이 출제한 '[[독임란사유감]](讀壬亂史有感)'이라는 제목으로 시조 부문 장원을 수상했다. | ||
− | * 1969년 [[호남시조시인협회]] 기관지 《[[시조문예]]時調文藝》를 창간했다 | + | * 1969년 [[호남시조시인협회]] 기관지 《[[시조문예]]時調文藝》를 창간했다. |
* [[호남시조문학회]]장과 고문, [[한국시조시인협회]] 고문, [[한국문인협회_전남지부|한국문인협회전남지부]]장 등을 역임했다. | * [[호남시조문학회]]장과 고문, [[한국시조시인협회]] 고문, [[한국문인협회_전남지부|한국문인협회전남지부]]장 등을 역임했다. | ||
* 시집과 시조집을 포함해 『[[시집_마을|마을]]』(전남일보사, 1955), 『산창일기』(천일출판사, 1957), 『[[슬픈_조각달|슬픈 조각달]]』(세운문화사, 1974), 『[[잔조]](殘照)』(에덴문화사, 1979), 『[[고독의_창|고독의 창]]』(규장각, 1987), 『[[달여울의_소리무늬|달여울의 소리무늬]]』(태학사, 2001)가 있다. 수필집으로 『[[그리움과_사랑의_앙금:_정소파수필전집|그리움과 사랑의 앙금: 정소파수필전집]]』(동성출판사, 1995) 등이 있다. | * 시집과 시조집을 포함해 『[[시집_마을|마을]]』(전남일보사, 1955), 『산창일기』(천일출판사, 1957), 『[[슬픈_조각달|슬픈 조각달]]』(세운문화사, 1974), 『[[잔조]](殘照)』(에덴문화사, 1979), 『[[고독의_창|고독의 창]]』(규장각, 1987), 『[[달여울의_소리무늬|달여울의 소리무늬]]』(태학사, 2001)가 있다. 수필집으로 『[[그리움과_사랑의_앙금:_정소파수필전집|그리움과 사랑의 앙금: 정소파수필전집]]』(동성출판사, 1995) 등이 있다. | ||
* 1957년 [[전라남도_문화상|전라남도 문화상]], 1970년 [[가람시조문학상]], 1980년 [[중앙시조대상]], 2002년 [[대한민국르네상스향토문학상]], 2002년 [[한림문학상]], 2006년 [[매천황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가 공동 개최한 2012년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 [[백석]], [[설정식]], [[이호우]], [[김용호]] 등과 함께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1957년 [[전라남도_문화상|전라남도 문화상]], 1970년 [[가람시조문학상]], 1980년 [[중앙시조대상]], 2002년 [[대한민국르네상스향토문학상]], 2002년 [[한림문학상]], 2006년 [[매천황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가 공동 개최한 2012년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 [[백석]], [[설정식]], [[이호우]], [[김용호]] 등과 함께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 1988년 [[광주전남문인협회]]와 [[호남시조시인협회]]에서 [[광주문화예술회관]] 조각공원에 「[[설매사]]」 시비를 건립했다. | * 1988년 [[광주전남문인협회]]와 [[호남시조시인협회]]에서 [[광주문화예술회관]] 조각공원에 「[[설매사]]」 시비를 건립했다. | ||
− | * 2013년, 향년 101세로 별세했다. 2013년부터 광주광역시는 [[정소파_문학상|정소파 문학상]]을 제정하여 [[정소파]]의 문학적 성취와 공적을 기리고 있다. <ref> [http://gwangju.grandculture.net/gwangju/search/GC60002061?keyword=%EC%A0%95%EC%86%8C%ED%8C%8C&page=1 「정소파」, 디지털광주문화대전] </ref> | + | * 2013년, 향년 101세로 별세했다. 2013년부터 광주광역시는 [[정소파_문학상|정소파 문학상]]을 제정하여 [[정소파]]의 문학적 성취와 공적을 기리고 있다. <ref> [http://gwangju.grandculture.net/gwangju/search/GC60002061?keyword=%EC%A0%95%EC%86%8C%ED%8C%8C&page=1 「정소파」, 디지털광주문화대전] </ref> |
== Semantic Data == | == Semantic Data == |
2024년 2월 20일 (화) 17:21 판
Definition
- 광주에서 교직 생활을 하며 문단 활동을 펼친 시인.
- 정소파(鄭昭坡, 1912~2013)는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교사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 출생으로, 본명은 정현민(鄭顯珉), 호는 설월당(雪月堂)이다.
- 광주공립보통학교(지금의 광주서석초등학교)와 송정공업학교(지금의 전남제일고등학교)를 거쳐 와세다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하였다.
- 여수중학교와 여수상업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북성중학교 등에서 교직 생활을 하였다.
- 1930년, 동인지 《개벽》에 시조 「별건곤(別乾坤)」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어린이》, 《소년》, 《새벗》, 《학생》, 《신천지》, 《신여성》, 《신동아》, 《월간문예》, 《조광(朝光)》, 《사해공론(四海公論)》 등 다양한 잡지에 작품을 발표했다.
- 1949년 《동광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조개 줍는 노파(老婆)」가 제이석(第二席)으로 선정, 195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설매사(雪梅詞)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 1957년 10월 본명 정현민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최된 정부 주최 범문단(汎文壇) 제1회 전국백일장에서 대통령 이승만이 출제한 '독임란사유감(讀壬亂史有感)'이라는 제목으로 시조 부문 장원을 수상했다.
- 1969년 호남시조시인협회 기관지 《시조문예時調文藝》를 창간했다.
- 호남시조문학회장과 고문, 한국시조시인협회 고문, 한국문인협회전남지부장 등을 역임했다.
- 시집과 시조집을 포함해 『마을』(전남일보사, 1955), 『산창일기』(천일출판사, 1957), 『슬픈 조각달』(세운문화사, 1974), 『잔조(殘照)』(에덴문화사, 1979), 『고독의 창』(규장각, 1987), 『달여울의 소리무늬』(태학사, 2001)가 있다. 수필집으로 『그리움과 사랑의 앙금: 정소파수필전집』(동성출판사, 1995) 등이 있다.
- 1957년 전라남도 문화상, 1970년 가람시조문학상, 1980년 중앙시조대상, 2002년 대한민국르네상스향토문학상, 2002년 한림문학상, 2006년 매천황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가 공동 개최한 2012년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 백석, 설정식, 이호우, 김용호 등과 함께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1988년 광주전남문인협회와 호남시조시인협회에서 광주문화예술회관 조각공원에 「설매사」 시비를 건립했다.
- 2013년, 향년 101세로 별세했다. 2013년부터 광주광역시는 정소파 문학상을 제정하여 정소파의 문학적 성취와 공적을 기리고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정소파 | Actor | 인물-문화예술 | 시인 | 정소파(鄭韶坡, 1912~2013) | 정소파 | Jung So-pa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정소파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정소파 | 정현민 | 정소파의 본명은 정현민이다 | |||
정소파 | 설월당 | 정소파의 호는 설월당이다 | |||
정소파 | 광주서석초등학교 | 정소파는 광주서석초등학교를 졸업했다 | |||
정소파 | 전남제일고등학교 | 정소파는 전남제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
정소파 | 와세다대학교 | 정소파는 와세다대학교를 졸업했다 | |||
정소파 | 전남여자고등학교 | 정소파는 전남여자고등학교에 재직했다 | |||
정소파 |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 정소파는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에 재직했다 | |||
정소파 | 광주북성중학교 | 퇴직 | 정소파는 광주북성중학교에 재직했다 | ||
정소파 | 별건곤 | 정소파 「별건곤」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
별건곤 | 개벽 | 「별건곤」은 동인지 《개벽》에 발표되었다 | |||
정소파 | 동광신문 | 정소파는 동광신문 신춘문예에서 제이석으로 선정되었다 | |||
동광신문 | 조개_줍는_노파 | 《동광신문》 신춘문예의 제이석작은 「조개 줍는 노파」이다 | |||
정소파 | 동아일보 | 정소파는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 |||
동아일보 | 설매사 | 등단작 | 《동아일보》 신춘문예의 당선작은 「설매사」이다 | ||
정소파 | 독임란사유감 | 정부 주최 범문단 제1회 전국백일장 장원작 | 정소파는 시조 「독임란사유감’의 창작자이다 | ||
독임란사유감 | 이승만 | ‘독임란사유감’의 출제자는 이승만 초대대통령이다 | |||
정소파 | 시조문예 | 창간인 | 정소파는 《시조문예》의 멤버이다 | ||
시조문예 | 호남시조문학회 | 《시조문예》는 호남시조문학회의 기관지이다 | |||
정소파 | 호남시조문학회 | 회장, 고문 | 정소파는 호남시조문학회의 멤버이다 | ||
정소파 | 정소파 | 한국시조시인협회 | 고문 | 정소파는 한국시조시인협회의 멤버이다 | |
정소파 | 시집_마을 | 시집 | 정소파는 『마을』의 창작자이다 | ||
시집_마을 | 전남일보사 | 『마을』은 출판사 전남일보사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산창일기 | 시집 | 정소파는 『산창일기』의 창작자이다 | ||
산창일기 | 천일출판사 | 『산창일기』는 출판사 천일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슬픈_조각달 | 시집 | 정소파는 『슬픈 조각달』의 창작자이다 | ||
슬픈_조각달 | 세운문화사 | 『슬픈 조각달』은 출판사 세운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잔조 | 시집 | 정소파는 『잔조』의 창작자이다 | ||
잔조 | 에덴문화사 | 『잔조』는 출판사 에덴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고독의_창 | 시집 | 정소파는 『고독의 창』의 창작자이다 | ||
고독의_창 | 규장각 | 『고독의 창』은 출판사 규장각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달여울의_소리무늬 | 시집 | 정소파는 『달여울의 소리무늬』의 창작자이다 | ||
달여울의_소리무늬 | 태학사 | 『달여울의 소리무늬』은 출판사 태학사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그리움과_사랑의_앙금:_정소파수필전집 | 수필집 | 정소파는 『그리움과 사랑의 앙금: 정소파수필전집』의 창작자이다 | ||
그리움과_사랑의_앙금:_정소파수필전집 | 동성출판사 | 『그리움과 사랑의 앙금: 정소파수필전집』은 출판사 동성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 |||
정소파 | 전라남도_문화상 | 정소파는 전라남도 문화상을 수상했다 | |||
정소파 | 가람시조문학상 | 정소파는 가람시조문학상을 수상했다 | |||
정소파 | 중앙시조대상 | 정소파는 중앙시조대상을 수상했다 | |||
정소파 | 대한민국르네상스향토문학상 | 정소파는 대한민국르네상스향토문학상을 수상했다 | |||
정소파 | 한림문학상 | 정소파는 한림문학상을 수상했다 | |||
정소파 | 매천황현문학상 | 정소파는 매천황현문학상을 수상했다 | |||
정소파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정소파는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서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백석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백석은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서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설정식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설정식은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서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이호우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이호우는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서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김용호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김용호는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에서 한국 대표 문인으로 선정되었다 |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대산문화재단 | 공동주관 |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는 대산문화재단이 개최했다 | ||
탄생_100주년_문학인_기념_문학제 | 한국작가회의 | 공동주관 |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 문학제’는 한국작가회의가 개최했다 | ||
정소파_시비 | 광주문화예술회관 | 정소파 시비는 광주문화예술회관 내에 건립되었다 | |||
정소파_시비 | 광주전남문인협회 | 공동건립 | 정소파 시비는 광주전남문인협회가 건립했다 | ||
정소파_시비 | 호남시조시인협회 | 공동건립 | 정소파 시비는 호남시조시인협회가 건립했다 | ||
정소파_시비 | 설매사 | 정소파 시비에는 「설매사」가 새겨져 있다 | |||
정소파_문학상 | 정소파 | 정소파 문학상은 정소파와 관련이 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정소파 | http://aks.ai/GC60002061 | |
참고 | 대산문화재단 웹진 | 특별기획_2012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ㅣ 문학제 참관기 (정수자 시인) | http://www.daesan.org/webzine/sub.html?uid=2150&ho=51 | |
참고 |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 | 100세에도 글쓰기/ 신문기사를 보다가-‘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생존 작가 첫 정소파 시조시인 선정 (2012-04-25, 황인찬 기자) | https://www.acc.go.kr/main/contents.do?PID=03110401 | |
참고 | 채널코리아뉴스 | 한국 대표하는 시조시인 정소파 선생 귀천-시조시인 정소파(鄭韶坡) 1세기를 관통한 시조 문학 평가 과제로 남겨져 (2016-05-10, 백승현 기자) | https://www.acc.go.kr/main/contents.do?PID=03110104 | |
참고 | 광주일보 | 호남시조시인협회 기관지 ‘時調文藝’ 48호 발간-정소파 시인 특집으로 다뤄 (2019-04-11, 박성천 기자) | http://kwangju.co.kr/article.php?aid=1554908400658869026 | |
참고 | 파이낸셜 | 백세노인이 연필로 눌러적은 다짐 "주어진 삶, 바른대로 살으리" ['장수 박사' 박상철의 홀리 에이징] (2023-03-16, 박상철 교수) | https://www.fnnews.com/news/202303161826239793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정소파, 『마을』, 전남일보사, 1955.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CNTS-00068694587&viewType=C | |
단행본 | 정소파, 『그리움과 사랑의 앙금: 정소파수필전집. 상』, 동성출판사, 1995.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CNTS-00106617349&viewType=C | |
단행본 | 정소파, 『달여울의 소리무늬-우리시대현대시조100인선 17』, 태학사,
2001. || || https://www.google.co.kr/search?q=%099788976266019 | ||
단행본 | 오재동, 『베틀노래-광주문화예술 정소파 기념시집』, 현대문예, 2019. | https://www.google.co.kr/search?q=9788994028736 | |
논문 | 최혜경, 「둔감(鈍感)의 사회와 민감성 회복의 시 독해-정소파 시조의 정조 구성 전략을 중심으로」, 『감성연구』no.9,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16867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