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Node Description)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골무|골무)]]는 바느질할 때 손가락을 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엄지나 검지에 끼우는 반달모양의 물건이다.
+
*[[골무|골무]]는 바느질할 때 손가락을 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엄지나 검지에 끼우는 반달 모양의 물건이다. 영어로는 thimble, 엄지를 뜻하는 thumb에서 비롯되었다.  
영어로는 thimble, 엄지를 뜻하는 thumb에서 비롯된 단어라고 한다.
+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바느질할 때 골무를 사용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신석기 시대로 추정되는 골무가 발견되어 눈길을 끌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는 수 천 년 전부터 바느질할 때 골무를 사용해왔다.
+
*그러나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통 골무도 광복 이후 점점 그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고, 요즘엔 민속박물관에서 하나의 전통 예술 작품으로 접하게 되었다. 조선~일제강점기를 전후한 시기까지는 골무가 신부의 필수 혼수품 중의 하나여서 100개를 만들어 시댁에 가져갔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실제 생활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 앙증맞고 어여쁜 전시품이 된 것이다. 일부 공예 교실에서는 전통 골무 만들기를 주제로 수강생을 모으기도 한다. 또한 사람들 중에는 바느질과 상관없이 자수가 많고 예쁘장한 골무만 수집하는 애호가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석기 시대로 추정되는 골무가 발견되기도 하였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서양에서는 주로 도자기나 금속을 사용하여 골무를 만들었지만 우리나라는 색깔이 고운 일반 천, 비단, 가죽 등을 사용하였다.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우리나라의 전통 골무는 자수 골무, 삼베를 이용한 경상도 골무, 가죽 골무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 보존 중인 약 300여 개의 우리 전통 골무 중에서도 약 50%를 차지하는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작품들이다. 이들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기성복이 등장한 이후로는 집에서 바느질하는 모습 자체를 보기 어려워졌다. 그래도 1980년대~90년대까지는 가정에서 어머니들이 이불 커버를 바꾸시려고 종종 긴 바늘로 시침질하시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
*광주에서는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불조차도 커버를 따로 바꾸지 않고 통째로 세탁할 수 있는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어서 그나마 바느질은 단추나 후크 교체할 때나 하는 아주 드문 집안일이 되었다.
+
 
우리나라 전통 골무도 광복 이후 점점 그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고, 요즘엔 민속박물관에서 하나의 전통 예술 작품으로 접하는 일이 많다.
 
조선~일제강점기를 전후한 시기까지는 골무가 신부의 필수 혼수 중의 하나여서 100개를 만들어 시댁에 가져갔다는데, 이젠 실생활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앙증맞고 어여쁜 전시품이 된 것이다. 일부 공예 교실에서는 전통 골무 만들기를 취미의 하나로 수강생을 모으기도 한다. 또한 요즘 사람들 중에는 바느질과 상관없이 이렇게 예쁘장한 골무만 수집하는 애호가도 있다.  
 
서양에서는 주로 도자기나 금속을 사용하여 골무를 만들지만 우리나라는 주로 색깔이 고운 천과 비단, 가죽 등을 사용하였다.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우리나라의 전통골무는 자수 골무, 삼베를 이용한 경상도 골무, 가죽 골무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 보존 중인 우리 전통 골무 중에서도 약 50%를 차지하는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작품들이다. 이들은 현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주로 볼 수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7번째 줄: 15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광주_충장사]] || Place || 사당 ||  || 충장사(忠壯祠) || 충장사 || 忠壯祠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충장사 ||  
+
| [[골무]] || Object || ||  || || 골무 || || thimble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골무 || http://www.koreanstonemuseum.com/data/file/pk_b02_04/2097673637_7SBgM8pf_3.jpg
 
|-
 
|-
 
|}
 
|}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27번째 줄: 24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광주_충장사]] || [[김덕령]]  || [[enshrines]]  || 
+
| [[골무]] || [[국립중앙박물관]]  ||   ||  전통골무 소장 장소
|-
 
| [[김덕령_영정]] || [[광주_충장사]]  || [[isStoredIn]]  || 
 
|-
 
| [[김덕령_교지]] || [[광주_충장사]]  || [[isStoredIn]]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동재]]  || [[hasPart]]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서재]]  || [[hasPart]]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은륜비각]]  || [[hasPart]]  ||
 
|-
 
| [[광주_충장사_은륜비각]] || [[광주_충장사_은륜비]]  || [[protects]]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유물관]]  || [[hasPart]]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충용문]]  || [[hasPart]]  ||
 
|-
 
| [[광주_충장사]] || [[광주_충장사_익호문]]  || [[hasPart]]  ||
 
 
|-
 
|-
| [[광주_충장사_은륜비]] || [[조철영]]  || [[calligrapher]]  || 광주목사
+
| [[골무]] || [[국립민속박물관]]  ||   || 전통골무 소장 장소
 
|-
 
|-
| [[광주_충장사_은륜비]] || [[조철영]]  || [[writer]]  || 광주목사
+
| [[골무]] || [[감투할미]]  ||   || 규중칠우쟁론기 중 의인화된 골무
 
|-
 
|-
| [[김덕령_목관]] || [[광주_충장사_유물관]]  || [[currentLocation]]  ||  
+
| [[골무]] || [[자수골무]]  ||   ||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 골무
 
|-
 
|-
| [[김덕령_의복]] || [[광주_충장사_유물관]]  || [[currentLocation]]  ||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
+
| [[골무]]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 광주 지역 의식주 문화 자료 소장처
 
|-
 
|-
 
|}
 
|}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Spatial Data==
+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id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address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충장사]] || 35.1627679  || 126.9790383 || 258.54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13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골무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187
 
|-
 
|-
|}
+
| 해설 || 위키백과 || 골무 || || https://ko.wikipedia.org/wiki/골무
※ 참고: [https://latlongdata.com/elevation/ 지리 좌표 검색]
 
 
 
{{구글지도 | 위도=35.1627679| 경도=126.9790383 | 줌=16 }}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덕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
| 해설 || 한국전통지식포탈 || 골무 || || https://www.koreantk.com/ktkp2014/life/life-view.view?artNo=0010204000669
 
|-
 
|-
| 해설 || 위키백과 || 김덕령 || || https://ko.wikipedia.org/wiki/김덕령
+
| 참고 || 원불교신문 || 골무(2010-10-22,이성심 기자)|| 전통문화 둘러보기|| http://www.w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189
 
|-
 
|-
| 해설 || 지역N문화 || 충장공 김덕령의 충절을 기리는 충장사 || || https://ncms.nculture.org/righteous-army/story/3894
+
| 참고 || e뮤지엄 || 골무 || ||http://www.emuseum.go.kr/main
 
|-
 
|-
| 참고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충장사 || 김덕령의 충철이 깃든 충장사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86
+
| 사진 || 문화일보 || 전통 자수 골무 || 한 번에 다 못 볼 자수의 미 || https://imgnews.pstatic.net/image/021/2021/07/19/0002478728_001_20210719103103553.jpg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Bibliography==
92번째 줄: 60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단행본 ||김영헌,『김덕령 평전』, 향지사, 2006. ||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125867
+
| 단행본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패션큰사전』, 교문사, 1999. || 인터넷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88936305062
|-
 
| 논문 ||서지혜, 『조선시대 광주·전남지역 출토 철릭에 관한 연구 : 15-17세기 철릭의 구성과 바느질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  RISS ||  http://www.riss.kr/link?id=T8147700
 
 
|-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참고: [http://www.riss.kr/index.do RISS 논문 검색]
 
  
 
==Notes==
 
==Notes==
107번째 줄: 69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sample data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okehkim&project=gwangju&key=광주_충장사"></iframe>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okehkim&project=gwangju&key==광주_충장사'">
 
</html>
 
  
  
[[분류:Place]] [[분류:김광우]]
+
[[분류:Object]] [[분류:김윤희]]

2022년 12월 5일 (월) 11:0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골무는 바느질할 때 손가락을 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엄지나 검지에 끼우는 반달 모양의 물건이다. 영어로는 thimble, 엄지를 뜻하는 thumb에서 비롯되었다.
  •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바느질할 때 골무를 사용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신석기 시대로 추정되는 골무가 발견되어 눈길을 끌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그러나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통 골무도 광복 이후 점점 그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고, 요즘엔 민속박물관에서 하나의 전통 예술 작품으로 접하게 되었다. 조선~일제강점기를 전후한 시기까지는 골무가 신부의 필수 혼수품 중의 하나여서 100개를 만들어 시댁에 가져갔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실제 생활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 앙증맞고 어여쁜 전시품이 된 것이다. 일부 공예 교실에서는 전통 골무 만들기를 주제로 수강생을 모으기도 한다. 또한 사람들 중에는 바느질과 상관없이 자수가 많고 예쁘장한 골무만 수집하는 애호가도 있다.
  • 서양에서는 주로 도자기나 금속을 사용하여 골무를 만들었지만 우리나라는 색깔이 고운 일반 천, 비단, 가죽 등을 사용하였다.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우리나라의 전통 골무는 자수 골무, 삼베를 이용한 경상도 골무, 가죽 골무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 보존 중인 약 300여 개의 우리 전통 골무 중에서도 약 50%를 차지하는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작품들이다. 이들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주로 볼 수 있다.
  • 광주에서는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살펴볼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골무 Object 골무 thimble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골무 http://www.koreanstonemuseum.com/data/file/pk_b02_04/2097673637_7SBgM8pf_3.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골무 국립중앙박물관 전통골무 소장 장소
골무 국립민속박물관 전통골무 소장 장소
골무 감투할미 규중칠우쟁론기 중 의인화된 골무
골무 자수골무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 골무
골무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 지역 의식주 문화 자료 소장처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골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187
해설 위키백과 골무 https://ko.wikipedia.org/wiki/골무
해설 한국전통지식포탈 골무 https://www.koreantk.com/ktkp2014/life/life-view.view?artNo=0010204000669
참고 원불교신문 골무(2010-10-22,이성심 기자) 전통문화 둘러보기 http://www.w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189
참고 e뮤지엄 골무 http://www.emuseum.go.kr/main
사진 문화일보 전통 자수 골무 한 번에 다 못 볼 자수의 미 https://imgnews.pstatic.net/image/021/2021/07/19/0002478728_001_20210719103103553.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패션큰사전』, 교문사, 1999. 인터넷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8893630506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