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Web Resource) |
(→Node Description)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거시기]] || Concept || || || 거시기 || 거시기 ||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거시기 || | + | | [[거시기]] || Concept || || || 거시기 || 거시기 ||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거시기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d/d3/역서사소_굿즈.jpg |
|- | |- | ||
|} | |} |
2022년 11월 23일 (수) 05:56 판
Definition
- 거시기는 호남 지방의 대표 사투리로 통하는 단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거시기는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수록되어 있는 표준어이며, 비슷한 단어인 머시기는 거시기의 전라도 방언이다.
- 거시기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단어나, 잘 생각이 나지 않는 단어를 말할 때 사용되는 쉽게 설명하기 어려운 단어를 나타내는 말이다. 수, 인칭, 사람, 사물 구분 없이 명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로도 쓰일 수 있는 단어이다. '어색하고 난처하다'를 뜻하는 전라도와 경상도의 말인 '거석하다'과 '머석하다'에서 '~이'가 붙으며, 변형되었다는 설도 있고, 단어 '것'에서 파생되었다는 말도 있으나 어원이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다만 남도에서 주로 사용하는 말이 되어 많은 이들이 전라도 사투리로 알고 있다.
- 머시기는 거시기의 방언으로 전라도 말로 무엇을 뜻하는 '므슥'에서 변형된 어형이라는 설명이 지배적이다. 일반적으로 호남지방에서 거시기와 머시기는 거의 비슷한 상황에 사용된다.
- 2013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는 '거시기와 머시기'를 주제로 광주의 지역성과 정서적 감성을 표현하는 전시가 펼쳐졌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를 통해 '거시기와 머시기'에 '소통'과 '화합'이라는 의미를 담아냈다.
- 이어령 작가는 자신의 저서 '거시기와 머시기'를 통해 거시기와 머시기라는 두 단어가 가진 의미를 재조명하기도 하였다.
"거시기 머시기는 탈경계를 나타내는 애매어 가운데 하나다. 동시에 그것은 언어적 소통과 비언어적 소통의 아슬아슬한 경계선에서 줄타기를 하는 곡예의 언어이기도 하다. 이미 알고 있는 말로는 설명할 수 없을 때 그 답답함을 나타내는 주어가 '거시기'이고 언어로는 줄 긋기 어려운 삶의 의미를 횡단하는 행위의 술어가 '머시기'다. 그래서 한국인들은 단지 이 두 마디 말만 가지고서도 서로의 복잡한 심정과 신기한 사건들을 교환할 줄 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거시기 | Concept | 거시기 | 거시기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거시기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d/d3/역서사소_굿즈.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거시기 | 광주디자인비엔날레 | 2013년도 주제 | |
거시기 | 광주비엔날레_거시기홀 | 이름을 딴 공연장 | |
거시기 | 머시기 | 거시기의 방언 | |
머시기 | 머시기쪽갈비 | 이름을 딴 식당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헤럴드경제 | ‘거시기 머시기’ 주제 2013광주디자인비엔날레, 로고와 포스터 확정(2013-05-19, 이영란 기자)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30519000092 | |
참고 | 국민일보 | 거시기? 머시기? 이제 당당히 예술 주제로 나서다 (2013-09-08, 이광형 기자) |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7539999 | |
참고 | 전남일보 |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너도 알고 나도 아는 '거시기'의 연대는 계속된다(2022-03-17, 이윤선 기자) | https://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2031708561427222 | |
해설 | 국립국어원 | 표준국어대사전 | 거시기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역서사소 굿즈 | 전라도 방언을 활용한 '역서사소'의 굿즈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d/d3/역서사소_굿즈.jpg |
동영상 | 크레파스 | [사투리]전라도에서는 '거시기'라는 단어를 자주 쓸까? | https://www.youtube.com/watch?v=8IB4vvk8ZlQ | |
동영상 | tvN | [선공개] #유노윤호 사투리특강 "거시기하는디~거시기하다" 겁나 거시기한 광주편ㅋㅋㅋ | 서울촌놈 Hometown Flex EP.3 | https://www.youtube.com/watch?v=9HvkxqfUVaQ |
동영상 | 김영사 | 《거시기 머시기》, 이어령이 80년 독서와 글쓰기 인생에서 발견한 말과 글과 책의 힘 | https://www.youtube.com/watch?v=FJ9GKGfYMik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박근영, 「‘거시기’의 문법화」, 『한국어 의미학』, 한국어의미학회, 2000. | DB 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17903 |
논문 | 김영철, 「우리말 담화표지의 기능 고찰−‘거시기’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 』, 한국언어문학회, 2000. | DB 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996003 |
논문 | 이봉선, 「국어 담화표지 ‘거시기’의 의미분석」, 『현대문법연구』, 현대문법학회, 1998. | 교보문고 | https://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5966010 |
논문 | 허정주, 「이야기꾼 ‘거시기 담론’의 미학, 구조, 가치에 관한 구비문학적 시론 -전라도 이야기꾼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 연구』, 실천민속학회, 199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69207 |
단행본 | 조항범,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 예담, 2009.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59134014 | |
단행본 | 이어령, 『거시기 머시기』, 김영사, 2022.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34961628 |
Notes
- ↑ 이어령, 『거시기 머시기』,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