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자배기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Web Resource) |
|||
60번째 줄: | 60번째 줄: | ||
|- | |- | ||
| 해설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 표준국어대사전 || 거시기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 | 해설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 표준국어대사전 || 거시기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 ||
+ | |- | ||
+ | | 사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육자배기토리 || || https://folkency.nfm.go.kr/upload/img/20170206/20170206053749_t_.jpg | ||
+ | |- | ||
+ | | 사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육자배기 || || https://folkency.nfm.go.kr/upload/img/20170206/20170206053503_t_.jpg | ||
|- | |- | ||
| 동영상 ||경기평생교육학습관 번데기학교 || [얼씨구 좋다] 쉽게 배우는 국악이론 8강 육자배기토리를 알아보자 || || https://www.youtube.com/watch?v=bPYBb_33-jk | | 동영상 ||경기평생교육학습관 번데기학교 || [얼씨구 좋다] 쉽게 배우는 국악이론 8강 육자배기토리를 알아보자 || || https://www.youtube.com/watch?v=bPYBb_33-jk | ||
66번째 줄: | 70번째 줄: | ||
|- | |- | ||
| 동영상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 [안녕, 처음 만난 민요] #7 남도민요와 육자배기 토리 || || https://academy.gugak.go.kr/open/open/lecture/detail.do?openLectureSeq=1211 | | 동영상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 [안녕, 처음 만난 민요] #7 남도민요와 육자배기 토리 || || https://academy.gugak.go.kr/open/open/lecture/detail.do?openLectureSeq=1211 | ||
− | |||
|- | |- | ||
| 음악 || 국립국악원 || 2012 토요명품공연: 종합 ’다’형[07.21.] - 05. 남도민요 - 육자배기 || || http://archive.gugak.go.kr/portal/detail/searchVideoDetail?clipid=9267 | | 음악 || 국립국악원 || 2012 토요명품공연: 종합 ’다’형[07.21.] - 05. 남도민요 - 육자배기 || || http://archive.gugak.go.kr/portal/detail/searchVideoDetail?clipid=9267 |
2022년 11월 9일 (수) 09:44 판
Definition
- 육자배기토리는 전라도 지역에서 전승된 민요, 무가, 기악 등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토리이다. 육자배기토리로 된 대표적인 민요와 잡가는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긴 농부가, 자진농부가, 개구리타령, 까투리타령, 진도아리랑, 남도잡가 등이 있다.
- 육자배기토리는 전라도 지역뿐만 아니라 한반도 서남부 전역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어법이다. 한국 음악 중에서 유일하게 반음을 사용하고 있으며, 굵고 폭넓은 요성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육자배기토리의 어원이 되는 음악인 육자배기는 6박 진양조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대표적인 전라도의 민요이다. 본래 논매기소리로 향토민요에서 시작된 육자배기는, 남도잡가로 발전하여 널리 유행하면서 다시 향토민요로 수용되었다. 그리고 다시 잡가를 흉내내어 부르는 향도민요 육자배기가 등장한다. 이 세 가지 형태의 육자배기는 한 시대에 함께 공존하고 있으며, 살아있는 남도 민요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
- '미'는 굵게 떠는 소리, '라'는 평으로 내는 소리 '시'는 꺾는 소리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소리를 깊게 떠는 시김새를 가지고 있어 구성지고 슬픈 분위기가 특징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육자배기토리 | Concept | 개념 | 육자배기토리 | 육자배기토리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육자배기토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육자배기토리 | 육자배기 | 어원이 되는 음악 | |
육자배기토리 | 자진육자배기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 | 자진육자배기 | 본래 음악의 변형된 형태 | |
육자배기토리 | 흥타령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토리 | 긴_농부가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토리 | 자진농부가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토리 | 개구리타령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토리 | 까투리타령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토리 | 진도아리랑 | 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진 음악 | |
육자배기 | 남도잡가 | 육자배기를 모티브로 다듬어진 음악 종류 |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조묘구, 「남도민요 가창 지도 연구-육자배기토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한국국악교육학회, 2001. | DB pia | https://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799634 |
논문 | 서정민,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판소리의 진양조 비교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 DB 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996003 |
논문 | 이보형, 「동남(東南)토리 음구조 유형 생성과 변이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한국국악학회, 2008. | earticle | https://www.earticle.net/Article/A298828 |
논문 | 이용식, 「육자배기토리권 굿음악의 음계와 선법」, 『한국음악연구』, 한국국악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9325 |
논문 | 김혜정, 「초등 음악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민요 기보와 수록내용 개선방안」, 『음악교육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31055 |
논문 | 정경조, 「남도민요의 음계 및 음정 연구 - 육자배기와 성주풀이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연구』, 한국국악학회2017. | earticle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7343 |
논문 | 김혜정, 「육자배기 토리 민요의 정서 표출과 음악적 표현 원리」, 『국악원논문집』, 국립국악원 , 2017. | KCI |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5073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