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배고픈다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잔글 (→Definition) |
잔글 (→Definition)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배고픈다리' 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 *'배고픈다리' 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 ||
*첫째 예전의 다리 모양이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여서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둘째 다리를 처음 만들 때 임시로 만들어 놓은 드럼통 다리를 건너다가 할머니가 배고픔에 기력이 없어서 사망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다. 셋째 홍수로 떠내려간 다리를 다시 만들기 위해 주민들이 모았던 돈이 '백오푼'이었기 때문에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넷째 세종 때 전라관찰사였던 김방이 역적모의의 오해를 받아 처형당할 뻔하였는데, 금부도사 일행들이 그를 잡기 위해 이 다리를 건널 때 이틀동안 꼼짝못하고 다리 위에서 발이 묶였다. 개미들이 착한 김방을 위해 병사들의 발을 붙잡았다는 말도 있다. 결국 금부도사 일행들이 다리 위에서 배고픔에 지쳐있는 동안 김방에 대한 오해가 풀려서 처형을 취소하는 어명이 다시 전달되었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무등산에 가서 나무를 해 등짐을 지고 내려올때 이곳만 지나면 나무꾼들이 지쳐서 배가 고팠었다는, 그래서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설이다. | *첫째 예전의 다리 모양이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여서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둘째 다리를 처음 만들 때 임시로 만들어 놓은 드럼통 다리를 건너다가 할머니가 배고픔에 기력이 없어서 사망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다. 셋째 홍수로 떠내려간 다리를 다시 만들기 위해 주민들이 모았던 돈이 '백오푼'이었기 때문에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넷째 세종 때 전라관찰사였던 김방이 역적모의의 오해를 받아 처형당할 뻔하였는데, 금부도사 일행들이 그를 잡기 위해 이 다리를 건널 때 이틀동안 꼼짝못하고 다리 위에서 발이 묶였다. 개미들이 착한 김방을 위해 병사들의 발을 붙잡았다는 말도 있다. 결국 금부도사 일행들이 다리 위에서 배고픔에 지쳐있는 동안 김방에 대한 오해가 풀려서 처형을 취소하는 어명이 다시 전달되었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무등산에 가서 나무를 해 등짐을 지고 내려올때 이곳만 지나면 나무꾼들이 지쳐서 배가 고팠었다는, 그래서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설이다. | ||
− | *이곳은 [[ | + | *이곳은 [[광주5.18민주항쟁]]의 사적지(13호)이기도 하다. 1980년 5월 21일 시내에서 퇴각했던 계엄군을 막기 위해 80~100여 명의 시민군들이 나무와 돌 등으로 바리케이트를 치고 자체적으로 지역 방어를 했던 곳이다. 다음날 다리를 통해 다시 시내 진입을 시도하는 계엄군에 맞서 시민군들은 약 30여분간 총격전을 벌여 모범적으로 방위에 성공했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2년 10월 12일 (수) 09:20 판
Definition
- 광주_배고픈다리는 광주시 동구 운림동에 위치하며, 광주 도심과 무등산 증심사 방향을 이어주는 다리이다. 현재의 다리는 2002년에 새로 만든 것으로 길이 22m, 폭 31m의 시멘트 다리이다.
- 원래 이름은 '세월교'였으며 배고픈다리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는 '홍림교'(무지개가 뜨는 다리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 '배고픈다리' 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 첫째 예전의 다리 모양이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여서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둘째 다리를 처음 만들 때 임시로 만들어 놓은 드럼통 다리를 건너다가 할머니가 배고픔에 기력이 없어서 사망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다. 셋째 홍수로 떠내려간 다리를 다시 만들기 위해 주민들이 모았던 돈이 '백오푼'이었기 때문에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넷째 세종 때 전라관찰사였던 김방이 역적모의의 오해를 받아 처형당할 뻔하였는데, 금부도사 일행들이 그를 잡기 위해 이 다리를 건널 때 이틀동안 꼼짝못하고 다리 위에서 발이 묶였다. 개미들이 착한 김방을 위해 병사들의 발을 붙잡았다는 말도 있다. 결국 금부도사 일행들이 다리 위에서 배고픔에 지쳐있는 동안 김방에 대한 오해가 풀려서 처형을 취소하는 어명이 다시 전달되었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무등산에 가서 나무를 해 등짐을 지고 내려올때 이곳만 지나면 나무꾼들이 지쳐서 배가 고팠었다는, 그래서 배고픈다리가 되었다는 설이다.
- 이곳은 광주5.18민주항쟁의 사적지(13호)이기도 하다. 1980년 5월 21일 시내에서 퇴각했던 계엄군을 막기 위해 80~100여 명의 시민군들이 나무와 돌 등으로 바리케이트를 치고 자체적으로 지역 방어를 했던 곳이다. 다음날 다리를 통해 다시 시내 진입을 시도하는 계엄군에 맞서 시민군들은 약 30여분간 총격전을 벌여 모범적으로 방위에 성공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_배고픈다리 | Place | 교통 | 광주 배고픈다리 | 광주 배고픈다리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배고픈다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천_독서실 | 광주폴리 | 광주천변에 있는 광주폴리 작품 | |
광주천_독서실 | 두물머리나루 | 위치 | |
광주천_독서실 | 석서정 | 폴리 디자인에 영감을 준 정자 | |
광주천_독서실 | 치마만다 은고지 아디치에 | 독서실 책꽂이에 꽂혀있는 소설 작가 | |
광주천_독서실 | 에밀졸라 | 독서실 책꽂이에 진열된 책의 작가 | |
광주천_독서실 | 데이비드 아자예 | 광주천 독서실 폴리를 만든 건축가 | |
광주천_독서실 | 타이에 셀라시 | 광주천 독서실 폴리 제작에 참여한 소설가 | |
광주폴리Ⅱ | 니콜라우스 히르쉬 | 총감독 | |
광주천_독서실 | 일일시민관장 프로그램 | 예술가들과 시민들과의 소통 무대 |
Spatial Data
id | 위도 | 경도 | 고도 | 주소 |
---|---|---|---|---|
광주천_독서실 | 35.166947 | 126.885828 |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627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 | url |
---|---|---|---|---|
참고 | 광주폴리 | 광주천 독서실 | https://gwangjufolly.org/bbs/board.php?bo_table=ko_folly2_fo&wr_id=2 | |
참고 | 시민의 소리 | 광주 폴리 들여다보기14. 광주천 독서실(2015-11-15, 김다이 기자) |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1114 | |
참고 | 월간 디자인 | 건축물로 도시를 재생한다 광주 폴리2 프로젝트(2013년 12월호, 최명환) |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6/64908?per_page=51&sch_txt= | |
참고 | 무등일보 | [공간탐구자와 걷는 도시건축 산책⑫] 광주천 독서실(2021-04-29, 강동영 건축가) | http://m.mdilbo.com/detail/jAMSuz/646386 | |
참고 | 광남일보 | 생활 속 예술작품 지향 ‘문화·힐링 공간’ 지속될까, 폴리Ⅱ '광주천 독서실’ 가보니…(2020-09-17, 고선주 기자) | http://m.gwangnam.co.kr/article.php?aid=1600336186366341027#_enliple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광주천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20 | |
참고 | 광주광역시 동구, 주민과 함께하는 도시재생 | 광주폴리(2차폴리) | https://www.donggu.kr/menu.es?mid=b20302000000 | |
사진 | 광주천 독서실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최정오,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의 상관성 : “광주폴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대학원, 2020.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678896 |
논문 | 박용관, 길종현, 박정현, 강호성, 「광주폴리의 인식 및 이용에 관한 조사 연구 」, 『공학기술논문지5권3호』, 조선대학교공학기술연구원, 2012.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28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