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3-706:스토리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광주의 석탑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국가유산 표지판 소개글)

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로 실제 유골이 없더라도 상징적으로 모셨다고 한다.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은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

  • 과거에는 광주의 동쪽에 있는 탑이라서 광주동오층석탑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 2층 바닥돌위에 몸돌부를 5층으로 쌓고, 그 위에는 머리장식을 올렸다.
  •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돌은 여러 개의 돌로 되어 있고, 몸돌부와 지붕돌은 모두 하나의 돌로 이어져 있다.
  • 특히 1층 지붕돌받침만 다섯 단이고, 2층 부터는 각 단이 네 단으로 되어 있어서 통일 신라 시대 후기 양식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 1955년 해체 보수 공사를 하면서 4층 지붕돌 아래에서 사리장치[1]가 발견되었고, 1961년에 다시 보수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각주

  1. 참된 수행의 결과로 생겨나는 구슬모양의 유골을 보관하는 함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국가유산 표지판 소개글)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광주공원 안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이다.
  • 광주공원은 원래 성거산이라고 불렀는데, 예전에는 산의 모양이 거북같아서 조상들은 이 거북이 광주의 정기를 안고 있다고 믿었다.
  • 거북이 멀리 떠나 버린다면 광주는 발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거북이 떠나지 못하도록 거북의 등에 해당하는 자리에 성거사를 세우고 목덜미 자리에 오층석탑을 세웠다고 한다.
  • 탑의 높이는 7M로 전체적인 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다. 1층 기단위에 탑을 세웠는데, 이는 통일 신라 시대의 2층 기단 양식과는 다른 고려 시대의 양식이다.
  • 지붕돌과 몸돌의 크기가 적절하고 위층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비율이 크지 않아 안정감을 준다.
    • 광주 동오층석탑으로 불리던 지산동 오층석탑과 비교하여, 광주 서오층석탑으로 불리다가 2010년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 1961년에 탑을 보수할 때, 2층 몸돌 안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으며, 현재 이 유물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