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성지 사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함성지 사건은 1972년 12월 전남대학교 학생 김남주이강의 주도로 전라남도 광주 시내의 여러 학교에 유신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함성지를 배포하고, 이로 인해 15명이 구속된 사건이다. 전국 최초의 유신 저항 운동이다.
  • 1972년 10월유신으로 박정희의 1인 집권을 영구화하기 위한 유신체제가 출범하자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4학년 김남주와 법학과 1학년 이강은 박정희 정부의 폭거에 반대하는 유인물 제작·배포에 합의하고, 이강의 자취방에서 이강의 동생들의 도움을 받아 등사기로 인쇄를 했다.
  • 이들은 1972년 12월 9일 밤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상과대학, 문리과대학, 광주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여자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등에 ‘한국민권협의회’ 이름으로 ‘함성’지를 배포하였다.
  • 이 사건으로 김남주와 이강을 비롯해 전남대학교 학생 이평의, 김정길, 이정호, 윤영훈, 김용래 등과 중학교 교사 박석무 등 15명이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다. 1973년 12월 항소심 판결에서 광주고등법원 제1형사부는 박석무에게 무죄, 김남주와 이강에게는 징역 2년에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 함성지 사건은 재판 과정에서 홍남순 변호사와 함석헌 등 재야인사들이 대거 관여하고, 국제사면위원회가 수감 중이던 피고인들에게 영치금을 보내주는 등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제대로 배포되지 못했던 ‘함성’, ‘고발’, ‘녹두’의 내용이 전국적으로 알려지는 등 전국 최초의 유신 저항 운동으로 반유신운동 확산의 계기가 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함성지_사건 Event 사건 역사 함성지 사건(1972) 함성지 사건 喊聲紙事件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id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id.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함성지_사건 김남주 함성지 사건은 전남대생 김남주가 주도했다.
함성지_사건 이강 함성지 사건은 전남대생 이강이 주도했다.
신문_함성 10월유신 함성지는 10월유신 비판 유인물이다.
10월유신 함성지_사건 10월유신은 함성지 사건의 배경이다.
국제사면위원회 함성지_사건 국제사면위원회는 함성지 사건 수감 피고인들에게 영치금을 보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함성지 사건 http://www.grandculture.net/gwangju/toc/GC60000830?requestBy=%ec%a0%84%ea%b5%ad
참고 브런치 스토리(김동규) 전국 최초의 유신 저항 운동 함성지 사건 上.下 https://brunch.co.kr/@1980may18/34
참고 한겨레 ‘친구이자 동지’ 김남주와 이강, 그림으로 만난다(2023-09-21, 정대하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109477.html
참고 한겨레 박정희 유신 비판 ‘함성지’ 사건 고문 피해 고교생 유족 손배 승소( 2023-12-10, 정대하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119756.html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함성지 사건 일러스트 : 이미지투데이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