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치21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참여자치21은 광주광역시에서 1998년 4월 16일 설립되어 참여와 자치에 기반을 둔 민주주의 운동과 행정·의정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수행하고 있는 시민단체이다.
  • 참여자치21은 정관에 주요 사업으로 지역사회·지방자치·참여민주주의에 관한 조사 및 연구 사업, 지역 문제에 대한 과학적 해명과 시민 행동 사업, 참여자치에 대한 정보 제공 교육 사업, 목적 실현을 위한 조직 사업, 문화 사업 등 다섯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 그동안 정보 공개 청구를 통해 지역사회 현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의회, 각 자치구와 자치구의회의 활동을 감시하는 일을 해왔다. 각종 성명서와 보도자료를 통해 시정과 의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개선과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 참여자치21은 2023년에는 신세계 복합쇼핑몰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는 어등산 관광단지 개발사업의 재검토를 촉구하는 성명서와 신세계백화점 확장 이전계획 관련, 광주시의 특혜 행정 규탄하는 성명서를 각각 냈다.
  • 참여자치21은 2023년 현재 50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부설 기구로 사법감시센터지역미래연구원을 두고 있으며, 5개의 분과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사무실은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 67번길 19에 두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참여자치21 Actor 단체-사회언론 사회 참여자치21 참여자치21 參與自治21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참여자치21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참여자치21.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참여자치21 광주광역시_시정_감시 참여자치21은 광주광역시의 시정을 감시하는 시민단체이다.
참여자치21 광주광역시의회_의정_감시 참여자치21은 광주광역시의회의 의정을 감시하는 시민단체이다.
참여자치21 어등산_관광단지_개발사업 참여자치21은 어등산 관광단지 개발사업 재검토를 촉구했다.
참여자치21 신세계백화점 참여자치21은 신세계백화점 확장 이전과 관련한 광주시의 특혜 행정을 규탄했다.
참여자치21_사법감시센터 참여자치21 참여자치21 사법감시센터는 참여자치21의 부설 기구이다.
참여자치21_지역미래연구원 참여자치21 참여자치21 지역미래연구원은 참여자치21의 부설 기구이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참여자치21 35.1524795 126.9265432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 67번길 19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참여자치21 http://www.grandculture.net/gwangju/toc/GC60002827
참고 블로그 [20주년] 참여자치21 창립선언문( 2023-3-20,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자치21) https://blog.naver.com/autonomy0915/223050023680
참고 광주드림 참여자치21 정책 제안, 광주광역시장 후보들 입장은?(2022-05-30, 권영웅 기자)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885
참고 블로그 참여자치21 "박미정 광주시의원 솜방망이 징계 규탄한다"(김동규의 세상사 이모저모, 2023-07-11) https://blog.naver.com/1980may18/223151615021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이중섭,「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정책과 예산을 감시한다」 광주 「참여자치21」 사회복지위원회 『복지동향』, 참여연대, 200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