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심사 십경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증심사 십경은 일제강점기의 서화가이자 교육자인 염재 송태회(念齋 宋泰會‧1872~1941)가 지은 한시의 제목이다.
  • 염재는 1921년 8월 무등산 증심사에서 며칠 묵으면서 칠언절구의 한시로 ‘증심사 십경’을 지었다. 이 자리에는 선암사 승려 야운, 대구 변호사 이규연, 서른을 갓 넘긴 의재 허백련, 열여섯 살의 동강 정운면 등이 함께하면서 서화를 합작하고 시를 지었다.
  • 염재가 한시에서 명명한 ‘증심사 십경’은 서석의 떠오르는 해(瑞石初日), 무등산_새인봉의 개인 달빛(印峯霽月), 천제단의 때 맞는 비(天壇喜雨), 약사암의 신령스런 지초(藥師靈芝), 차밭의 향기론 이슬(茶田香露), 용추의 나는 듯한 폭포(龍湫飛瀑), 운림에서 비롯한 물줄기(雲林水源), 석문의 아름다운 길(石門指路), 초경의 오랜된 빗돌(艸逕古碑), 취백루의 새벽 종소리(栢樓曉鍾) 등이다.
  • 송태회 후손이 소장한 필사본 염재유고(念齋遺稿)에 내용이 전한다.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증심사_십경 Work 문학 한시 한시) 증심사 십경 증심사 십경 證心寺十景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증심사_십경 송태회 creator 한시 증심사 십경의 작가는 송태희이다
증심사 증심사_십경 isRelatedTo 증심사 십경은 증심사에서 바라본 경관을 묘사하고 있다.
증심사_취백루 증심사_십경 isDepictedIn 증심사 십경에 묘사된 경치 중에는 취백루도 있다
증심사 증심사_취백루 hasPart 송태회가 증심사 십경으로 꼽은 취백루는 증심사에 있다.
송태회 허백련 isRelatedTo 송태회는 허백련과 증심사에서 서화를 합작했다.
염재유고 송태회 creator 염재유고는 송태회의 필사본 유고집이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뉴시스 염재 송태회 재조명 전시회 10월 11일 화순서 개최(2010-9-28, 구길용 기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453807?sid=103
참고 연합뉴스 한말 서화가 송태회 선생 삶 조명(2010-9-24, 형민우 기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669446?sid=103
참고 프라임경제 박종석 화백 ‘歲寒을 기약하고’ 화순 전시회(2010-10-12, 장철호 기자)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166425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 십경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_십경/증심사_십경.pn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 십경2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_십경/증심사_십경2.pn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 십경3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_십경/증심사_십경3.pn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고서 『염재유고(念齋遺稿)』
단행본 박종석, 『세한(歲寒)을 기약하고-염재 송태회의 삶과 예술-』, 굿디커뮤니케이션스, 2010.
단행본 황호균, 김희태, 『광주학 :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20. RISS https://www.riss.kr/link?id=M1573995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