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손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이기손(李起巽, 1877~1957)은 대한제국기 광주, 나주 일대 한말 호남 의병의 의병장으로 용진산 전투에서 활약하였다.
  • 이기손의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금재(錦齋), 광주 출신이다. 이기손은 장성의 기삼연 의진의 부장인 전해산, 김태원과 모의해 광산·나주·함평 일대의 상본장(相本將)이 되어 일본군으로부터 노획한 총 500정을 가지고 의병대를 편성하여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 군량미 조달이 쉬운 성문산으로 본진을 옮겨 담양 등지로 원정, 일본군 수십 명을 사살하였다.
  • 1909년 9월 일제가 의병 말살을 위한 남한폭도대토벌작전을 전개하자, 이기손은 해병문(解兵文)을 발표하고 의병부대를 해산하였다.
  • 이기손은 국내 의병 활동이 어렵게 되자, 1915년 함경도 청진을 거쳐 만주와 러시아로 이동하여 국외에서 항일 활동을 모색하였다. 1941년 이기손은 충청남도 금산으로 잠입하여 후진을 양성하며 은거하던 중 8.15광복을 맞이하였다. 1957년 11월 27일 사망하였다.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광산구 송정공원에 1975년에 건립한 이기손장군 의적비가 있다.
  • 이기손의 호 금재를 딴 도로명 금재로가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이기손 Actor 인물-사회언론 의병장 이기손(李起巽, 1877~1957) 이기손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이기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이기손.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이기손 한말_호남_의병 이기손은 한말 호남 의병부대의 의병장이다.
이기손 용진산 이기손은 용진산에서 전투하였다.
이기손 전해산 이기손은 전해산과 함께 의병활동을 하였다.
이기손 김태원 이기손은 김태원과 함께 의병활동을 하였다.
이기손 성문산 이기손은 성문산에서 전투하였다.
이기손 남한폭도대토벌작전 이기손은 일제의 남한폭도대토벌작전으로, 부대를 해산하였다.
송정공원 송정공원_이기손장군_의적비 송정공원에 1975년 건립한 이기손장군 의적비가 있다.
이기손 송정공원_이기손장군_의적비 한말의병장 이기손을 기념한 비이다.
이기손 금재로 금재로는 이기손의 호를 딴 도로명이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이기손 http://aks.ai/GC60002197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기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861
사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의병대장 금재 이기손장군 의적비 h://www.gjsgcc.or.kr/__files/tmp/3024163253_d6ad51cf.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이기손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이기손/이기손.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이기손 장군 의적비1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이기손/이기손_장군_의적비1.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이기손 장군 의적비2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이기손/이기손_장군_의적비2.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광산문화원,『광산의 인물』, 광산문화원, 2018. 광주광역시광산문화원 http://gjgwangsan.kccf.or.kr/wp-content/uploads/2023/01/gjg_ebook_2018.pdf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