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봉동 왕자대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과거 광주 용봉마을(오늘날 광산구 용봉동)에 존재했다고 전해지는 왕자대(王子臺)에 관한 두 가지의 지명설화.
  • 용봉동 왕자대의 유래는 두 가지로 전해진다. 하나는 태조 왕건이 즉위한 자리라서 왕자대가 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왕건견훤군과 싸웠던 장소라서 왕자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는 저서 『대동지지』에서 왕자대왕조대(王祖臺)를 구별해 설명하고 있다. 왕자대는 신라의 신무왕이 장보고에게 의지하며 반정을 도모한 곳이고, 왕건이 뜻을 세운 곳은 왕조대라는 것이다.
  • 김정호에 따르면 왕자대신무왕, 왕조대왕건의 유적이다. 왕건은 왕이 되었음에도 본디 왕자가 아니었고, 신무왕은 본디 경주의 왕족이었음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 현재까지도 왕자대의 위치나 유래에 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역사적 기록과 현장의 구전자료로 보아, 학계에서는 김정호의 『대동지지』 속 왕자대왕자대가 뒤바뀌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 1911년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에서 출간한 『조선지지자료』에서 왕자산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데, 위치가 마곡면 용동리(龍洞里)로 표기되어 있다.
  • 일제강점기 때 광주군 동각면과 마곡면이 합쳐져 동곡면(東谷面)이 되었다. 용봉마을은 마곡면 평산리에 위치했는데, 용동리와 합쳐져 지금의 용봉동(龍鳳洞)이 되었다고 한다.
  • 용봉동 왕자대」의 주요 모티프는 '인물에 의한 지명유래'이다. 왕건견훤이 나주의 노안면과 광주의 동곡면(오늘날 광산구 동곡동) 사이의 지역에서 싸웠다는 구전설화는 주로 배를 이용했던 왕건이 노안과 동곡 사이의 강변에서 활동했을 것이라는 예측을 뒷받침한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용봉동_왕자대 Work 구비문학 설화 설화) 용봉동 왕자대 용봉동 왕자대 龍峯洞王子臺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용봉동_왕자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용봉동_왕자대.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용봉동_왕자대 왕자대 용봉동 왕자대는 용봉동에 위치한 왕자대에 관한 설화이다
용봉동_왕자대 조선지지자료 용봉동 왕자대는 『조선지지자료』에 언급되어 있다
용봉동_왕자대 대동지지 용봉동 왕자대는 『대동지지』에 언급되어 있다
용봉동_왕자대 용봉동 용봉동 왕자대는 광주 광산구 용봉동에 위치했다고 추측된다
용봉동_왕자대 견훤 용봉동 왕자대는 견훤과 관련이 있다
용봉동_왕자대 왕건 용봉동 왕자대는 태조 왕건과 관련이 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용봉동 왕자대」 http://aks.ai/GC60004548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용봉동 왕자대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용봉동_왕자대/용봉동_왕자대.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용봉동 왕자대 대동여지도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용봉동_왕자대/용봉동_왕자대_대동여지도.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용봉동 왕자대 왕조대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용봉동_왕자대/용봉동_왕자대_왕조대.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 편 『조선지지자료』, 조선총독부, 1919.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Class=S&controlNo=MONO319802029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