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재의 유래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현재는 자취를 찾아볼 수 없는 용기재를 둘러싼 광주의 지명전설.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의 박뫼마을 입구에 자리한 양씨삼강문(梁氏三綱門) 뒤에는 용기(龍起)재라 불리는 장소가 있었다. 당시 마을 앞에 흐르던 황룡강의 수심이 깊어 이무기가 살다 승천했다는 전설이다.
  • 이무기의 몸통 굵기는 어른 다리만 하고 길이는 3~6m까지 된다. 물속에 둥지를 틀고 수십 년의 시간을 보내면서 승천할 때를 기다린다. 이무기는 좋은 날을 잡아 승천하는데, 이때 사람들의 눈에 뜨여서는 안 된다. 물고기나 자라, 개구리 등 물속 동물들의 호위를 받아 승천하는데, 하늘에 도착해서 용이 되면 호위하던 동물들은 다시 땅으로 떨어진다. 사람들은 비 오는 날 땅 위에 떨어진 것처럼 보이는 물고기나 자라, 개구리를 두고 승천에 실패한 이무기라고 생각했다.
  • 지명전설은 마을 및 마을 내의 여러 장소의 지명유래를 설명한다. 용기재는 이무기가 승천하기 위해 몸을 일으켜 세운 장소라는 뜻이다. 광주 광산구 선동에 위치한 어등산(魚登山)또한 이무기의 승천을 위해 수많은 물고기가 이 산의 기슭을 타고 올라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처럼 ‘용’이 주요 모티프인 지명전설은 전국에 분포돼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용기재의_유래 Work 구비문학 설화 설화) 용기재의 유래 용기재의 유래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용기재의_유래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용기재의_유래.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용기재의_유래 용기재 용기재의 유래는 용기재를 배경으로 한다
용기재 양씨삼강문 용기재는 양씨삼강문과 관련이 있다
양씨삼강문 박뫼마을 양씨삼강문은 박뫼마을 입구에 있다
용기재 황룡강 용기재는 황룡강과 관련이 있다
황룡강 박뫼마을 황룡강은 박뫼마을과 관련이 있다
어등산 선동 어등산은 광산구 선동에 있다
어등산 용기재 어등산은 용기재와 관련이 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용기재의 유래」 http://aks.ai/GC60004603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용기재의 유래 일러스트 : 이미지투데이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