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중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김영중은 1926년 전남 장성 출신의 조각가이다.
  • 김영중은 1993년 광주문화예술회관(현 광주예술의전당) 조각공원 조성에 기여했으며, 제1회 광주비엔날레의 상징 ‘무지개다리 경계를 넘어서’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 광주광역시 중외공원(구 어린이대공원)에 있는 소파 방정환 선생상을 비롯해 광주중외공원 상징탑, 광주 연진미술원의 의재 허백련 등 저명인사들의 동상을 조각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 광주문화예술회관 광장과 로비 조각상, 광주종합터미널 유스퀘어 조형물 등 광주 도심의 미관을 장식하는 많은 조형물을 남겼다.
  • 김영중은 1946년 서울대 미대에 입학했다가 6.25전쟁으로 홍익대 조각과로 옮겨 졸업한 뒤 1958년 ‘장갑 낀 여인’으로 문교부장관상을 수상했다.
  • 대형 건물에 미술품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1972년 제정된 문화예술진흥법 제정에 앞장섰다.
  •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 큰 역할을 했다.
  • 한국미술협회 11대 이사장(80년), 국전 초대작가(81년), 미술저작권협회 회장(98년) 등을 지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김영중 Actor 단체-문화예술 조각가 김영중(金泳中, 1926~2005) 김영중 金泳中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김영중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김영중.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김영중 광주비엔날레조직위원회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김영중 무지개다리 김영중은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 상징 조형물 무지개다리 경계를 넘어를 제작, 설치하였다
김영중 광주문화예술회관_조각공원 김영중은 1993년 광주문화예술회관 조각공원 조성에 기여하였다
김영중 허백련 김영중은 광주 연진미술원에 허백련 동상을 제작하였다
김영중 유스퀘어 김영중은 광주종합터미널 유스퀘어에 조형물을 제작, 설치하였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광주미술문화연구소 김영중 http://www.gwangjuart.com/bbs/board.php?bo_table=artist02&wr_id=5
참고 위키백과 김영중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8%81%EC%A4%91
참고 동아일보 "김영중 연희조형관 관장 별세"(2005.08.22. 권재현기자) 검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312587?sid=102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조선대미술관,『광주전남미술50년』, 전일실업출판국, 1989. 국회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MONO1199001050
단행본 광주예총,『전국현대조각초대전』, 삼화문화사, 1993.
단행본 김옥조,『비엔날레리포트』, 다지리, 2001. 국회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MONO1200202686
단행본 김옥조,『회색도시의 미소』, 2003, 대동문화 2003. 국회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MONO1200401325
단행본 광주미술협회,『광주전남현대미술총서(Ⅱ』), (사)광주미술협회, 2010.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