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진위대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광주_진위대는 1900년(光武 4年) 7월 20일, 대한제국 원수부(元帥府)에서, 지방대 호칭을 진위대로 통일 개편할 때 제2연대(본부: 수원) 제3대대(전주진위대) 소속의 1개 중대 규모로 설치된 근대식 지방부대이다.
  • 1905년 4월, 러일전쟁에 승리한 일제는 전국 18개 대대의 진위대를 8개 대대(수원, 청주, 대구, 광주, 원주, 황주, 평양, 북청)로 감축하였는데, 중대 규모였던 광주_진위대는 확대되어 ‘진위대 보병 제4대대’로 개편되었다.
  • 일제는 1907년 한일신협약을 맺고, 1907년 8월 1일 서울 시위대 해산 및 지방의 진위대를 해산하는 등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였다. 대다수의 해산 군인들은 각 지역의 의병부대에 합류하여 대일항쟁이 일어났는데 이를 정미의병이라 한다.
  • 일제는 광주_진위대가 주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06년 6월 거류민 보호와 의병 진압의 명목으로 1개 중대 규모의 육군 병력을 광주에 배치하여 광주_사직단 인근에 주둔하였다.[1] 이들을 통상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라 불렀다.
  • 1908년 1월 창평현 무동촌(茂洞村) 전투에서 일본군 광주수비대장 요시다카 츠사부로[吉田勝三郞] 소좌를 김원범이 사살하였다. [2]
  • 광주 진위대는 옛 전남도청 맞은편인 지금의 금남로1가 일대(현, 민주의 종각)에 주둔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1917년에 제작된 『광주지방사정광주시가도에서 확인된다.
  • 한편, 광주 지방대는 1898년(고종 35년) 12월에 설치되었는데, 이들은 구식 군대로 참령(參領) 우기정(禹冀鼎)이 지휘관이였다. 당시 대한제국 군부의 군제 개편으로 전주(全州)와 평양(平壤)에 진위대대를 설치하고 각 도(道)·부(府) 등 중요한 지방에 지방대대 11개소를 설치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_진위대 Actor 단체-정치행정 군사 광주 진위대(光州鎭衛隊) 광주 진위대 光州鎭衛隊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진위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_진위대.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전주진위대 대한제국 전주 진위대는 대한제국의 군대이다.
광주_진위대 전주진위대 광주 진위대는 전주진위대 소속이었다.
대한제국 지방대 대한제국은 지방대를 설치했다.
지방대 광주_지방대 광주 지방대는 지방대 소속이다.
광주_지방대 우기정 광주 지방대 지휘관은 우기정이다.
광주_진위대 한일신협약 광주 진위대는 한일신협약에 의거 해산되었다.
한일신협약 정미의병 한일신협약 이후 정미의병이 봉기했다.
광주_진위대 광주수비대 광주 진위대와 광주수비대가 동시에 주둔하였다.
광주수비대 광주_사직단 광주수비대는 광주 사직단에 주둔했다.
광주_진위대 광주시가도 광주 진위대는 광주시가도에서 확인된다.
광주시가도 광주지방사정 광주 시가도는 광주지방사정에 수록되어 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광주_진위대 35.14790 126.91949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안길 12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진위대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4827
참고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광주지방사정 광주시가도 http://aks.ai/GC600P05646
참고 광주광역시청 시청각자료실 광주시가도 http://gjarchive.kr/c_show01/771
참고 광주드림 ‘옛 지도로 본 광주’전, (2014-10-28, 김우리 기자)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60405
참고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실록 40권, 고종 37년 7월 20일 https://sillok.history.go.kr/id/wza_13707020_001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 진위대 일러스트 : 이미지투데이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박선홍, 『광주 1백년』1-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문화재단, 2012. 광주문화재단 https://www.gjcf.or.kr/cf/Board/7616/detailView.do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