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작가회의
기본 정보
이름 | 광주전남작가회의 |
---|---|
한자명 | 光州全南作家會議 |
위도(latitude) | 35.1780556 |
경도(longitude) | 126.8813889 |
유형 | 문학 |
출범/해체시기 | 1987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 광주문화예술회관 별관 1층 |
정의 및 개요
- 한국작가회의 산하의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지회.
출범 배경(계기)
- 표현의 자유와 사회 민주화, 참다운 민족 문학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활동 및 사건
지역문화적 영향력
- 특히 오월문학제는 광주의 오월 정신을 계승하고 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5월 광주에서 열리고 있다.
관련 인물/문헌/장소 등
- 2019년 6월에는 통일문학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같은 해 5월부터 11월까지 조진태, 고재종, 백애송, 채희윤, 이송희, 이동순, 전용호, 정범종, 김현주 작가를 초청해 문학작품으로 읽는 민주인권 시민대학 등을 운영했다.
- 2020년 기관지 《광주전남 작가》는 연간에서 반년간으로 발간 형태가 바뀌었다.
- 광주전남작가회의의 사무실은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 광주문화예술회관 별관 1층에 위치한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지도
참고자료
Type | Resource | Title/Index | URL |
---|---|---|---|
웹리소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광주전남작가회의 | http://aks.ai/GC60004815 |
웹리소스 | 국민뉴스 | 광주전남작가회의, 광주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대학’ 진행 (2023-10-21, 조현옥 기자) | http://www.kookminnews.com/74078 |
웹리소스 | 광주일보 | 정양주 시인 “5월문학제·여름섬진강학교 내실있게 진행" (2023-01-31, 박성천 기자) | 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675094400748185007 |
웹리소스 | 광주 in | 광주전남작가회의, '미얀마 연대시' 연재 (2021-03-16, 조현옥 편집위원) | https://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797 |
이미지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전남작가회의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전남작가회의/광주전남작가회의.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광주전남작가회의 | 오월문학제 | 광주전남작가회의는 오월문학제를 개최한다 | ||
오월문학제 | 5.18민주화운동 | 오월문학제는 5.18민주화운동과 관련이 있다 | ||
광주전남작가회의 | 통일문학심포지엄 | 광주전남작가회의는 통일 문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 ||
광주전남작가회의 | 섬진강여름문학학교 | 광주전남작가회의는 섬진강여름문학학교를 개최한다 | ||
광주전남작가회의 | 문학작품으로 읽는 민주인권 시민대학 | 광주전남작가회의는 문학작품으로 읽는 민주인권 시민대학를 주관한다 | ||
광주전남작가회의 | 광주전남 작가 | 광주전남작가회의는 《광주전남 작가》를 출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