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권번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1917년 광주 지역에서 설립되어 운영된 기생들의 조합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단체이다.
  • 광주권번의 전신은 1917년 기생 50명으로 출발한 ‘광주예기조합’이다. 이후 광산권번광주권번으로 분화되었다가 일제에 의해 1928년 광주권번으로 통합되어 정식화되었다.
  • 광주권번에서 활동한 강사로는 거문고 강사 박석기가 있으며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던 강사 정광수, 박동실, 공대일등이 있다.
  • 광주권번에서 교육을 받았던 국악인으로는 김소희, 박초월, 안채봉, 한애순, 박송희, 이매방 등이 있다
  • 광주권번은 1932년에 주식회사로 운영방식의 전환을 시도했으나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1938년 폐업하게 되었다.
  • 해방 이후 1951년에는 광주권번을 계승하여 광주국악원이 창립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권번 Actor 단체-문화예술 예술 광주권번(光州券番) 광주권번 光州券番 Gwangju Gwonbeon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권번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권번.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광주권번 서편제 광주권번에서는 서편제 판소리를 가르쳤다.
광주권번 광주예기조합 광주권번의 다른 이름은 광주예기조합이다.
박동실 광주권번 박동실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공대일 광주권번 공대일은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정광수 광주권번 정광수는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박석기 광주권번 박석기는 광주권번에서 활동하였다.
이매방 광주권번 이매방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김소희 광주권번 김소희는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박초월 광주권번 박초월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한애순 광주권번 한애순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박송희 광주권번 박송희는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안채봉 광주권번 안채봉은 광주권번의 교육생이었다
광주국악원 광주권번 광주국악원은 광주권번을 계승하였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광주권번 http://aks.ai/GC60000768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권번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권번/광주권번.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정경운, 「근대기 광주권번 운영의 변화과정 연구」, 『국학연구론총론』, Vol.0, No.18, 택민국학연구원, 2016. kiss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488650
논문 공진희, 「광주지역 교방과 권번, 광주시립국악원의 한국전통춤 교육 연구」, 제11권 제1호,영남춤학회지, 2023.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602242
논문 이명진, 「광주권번을 통해 본 광주지역 판소리의 전승양상」,『공연문화연구』 36,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80996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