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문화재를 찾아서
목차
콘텐츠주제
잃어버린 문화유산을 찾아서
해외로 반출된 문화유산을 어떻게 환수해왔는지 알고 계신가요?
기획의도
기획배경
부당하게 국외로 유출된 문화유산을 되찾는 일은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문화유산을 환수한다"는 것은 현대인이 근대적 정신을 가지고 전근대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획
국외로 불법, 부당 반출 되었던 문화유산을 국내로 환수 조치한 사례에 대하여 알아본다. 역사적 가정에 직접적인 근거가 될 수 있으므로 사료적 가치가 높은 국외 문화유산의 국내 환수는 매우 중요하다. 환수된 문서 및 회화, 공예품은 역사적 왜곡 및 과장을 방지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우리의 문화유산이 국외로 부당하게 반출되었던 사례를 살펴보고, 국외 문화유산을 환수해온 경로 및 방식을 알아본다. 추가적으로 아직 환수 하지 못한 문화유산은 무엇이 있는지 조사한다.
기획 의의
이를 통해 아직까지 환수 하지 못한 문화유산을 더 효과적으로 환수할 수 있도록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한 문화유산 환수사업을 향한 시민의 관심을 촉진시킴으로써 국외 문화유산 환수의 필요성을 알린다.
환수 주체
국가기관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국가유산청
복권위원회
민간
성 베네딕도 왜관 수도원
제이넷컴
국립경주박물관
어디서 왔는가
*독일(GERMANY)
양봉요지
조선시대문인석
혼례용단령
*미국(USA)
나한도
덕온공주 동제인장
덕종어보
백자청화정부인양주조씨묘지
앙부일구
옥천사나한상
호렵도 팔폭병풍
*영국(UK)
송광사 치성광여래도
*일본(JAPAN)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대동여지도
얼굴무늬수막새
장군석
장명등
*프랑스(FRANCE)
휘경원원소도감의궤
앞으로의 과제
일본(JAPAN)
독조도
몽유도원도
반가사유상
프랑스(FRANCE)
왕오천축국전
직지심체요절
환수 타임라인
마인드맵
네트워크 그래프
팀원
- 권지은
- 김선응
- 임은혜
- 정영서
- 최원준
분류 정보 기록
클래스(Class)
클래스 | 설명 | 노드 |
---|---|---|
반출국가 | 문화유산이 반출된 국가를 나타내는 클래스이다. |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독일 |
환수국가 | 대한민국을 반출국가와 구분하는 클래스이다. | 대한민국 |
환수 주체 | 문화유산을 환수한 주체를 나타내는 클래스이다. |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국가유산청, 국립경주박물관, 제이넷컴, 김영삼 정부, 복권기금, 사단법인 세계경제문화교류협의회 |
현 소장처 | 현재 문화유산을 소장 중인 소장처를 나타내는 클래스이다. | 한국학 중앙 연구원, 서울대학교 규장각, 우리옛돌박물관, 송광사, 옥천사, 반남박씨 죽천공파 종중, 국립고궁박물관, 서봉사, 국립민속박물관, 도쿄국립박물관, 덴리대학 중앙도서관, 프랑스 국립도서관 |
문화유산 | 환수 또는 미환수된 문화유산을 정리하는 클래스이다. | 송광사 치성광여래도, 호렵도 팔폭병풍, 나한도, 몽유도원도, 독조도, 휘경원원소도감의궤, 대동여지도, 직지심체요절, 양봉요지, 왕오천축국전, 보살 반가사유상, 얼굴무늬수막새, 조선시대문인석, 옥천사나한상, 장군석, 장명등, 백자청화정부인양주조씨묘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혼례용단령, 앙부일구, 덕온공주 동제인장, 덕종어보 |
관계성(Relation)
- 반출하였다
- 설명: -
- 영국 → 송광사 치성광여래도
- 설명: -
- 경매를 통해 환수하였다
- 설명: -
- 매입을 통해 환수하였다
- 설명: -
- 기증을 통해 환수하였다
- 설명: -
- 영구대여를 통해 환수하였다
- 설명: -
- 환수하지 못하였다
- 설명: -
- 속한다
- 설명: -
- 소장하고 있다
- 설명: -
-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 설명: -
주석
참고문헌
김정숙. 2018. 「임진․정유재란기 약탈된 출판문화재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44(5). 5-27.
박진이. 2016. 「일제강점기 문화재 반출과 조선인의 대응」.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이은화. 2019. 「한국문화재의 일본 반출과 환수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계인국. 2019. 「독일 문화재 보호법제 체계와 발전양상」. 유럽헌법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