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국과 한국의 정치 교류
초반 (외교적 관심 ~ 조미수호통상조약)
미국이 한국에 외교적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 순조 재위 시기인 1834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아시아에 특파된 로비츠 미국 특사가 본국에 "동부 아시아에 조선이라는 작은 반도 국가가 있다. 청나라와 일본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미국이 조선과 경제 교역을 맺었으면 좋겠다"는 보고를 했다. 1845년 헌종 시기, 미국 국회의원 Z. 프래트가 조선 왕조에 통상 사절 파견을 제안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1863년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 대원군이 섭정을 시작하면서, 조선은 서양 세력과의 모든 교역 및 통상을 거부하고 개방도 불허하는 강경책을 펼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1866년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평양에 입성해 통상을 요구하며 난동을 부리자, 조선 관군과 평양 주민들이 이를 화재로 전소시켰다. 이 사건으로 인해 미국은 1871년 신미양요를 일으켰다. 미국은 군사적으로 우세했으나, 조선의 개항 요구를 받아내지 못하고 철수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이 개항하자, 1882년에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어 본격적인 한미 관계가 시작되었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구 열강과 체결한 최초의 조약으로, 청나라가 러시아 견제와 조선에서의 영향력 강화를 위해 중개했다. 이후 1888년 박정양이 초대 공사로 파견되어 클리블랜드 대통령을 접견했고, 조선 최초의 재외공관인 주미공사관이 설치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한미 외교 관계는 이후 조선의 근대화와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은 서구 열강의 외교와 경제적 영향력에 대응하는 법을 배우며, 점차 국제 무대에서의 위치를 확립해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