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유물조각상
목차
[숨기기]콘텐츠 주제
팀원
기획의도
- <종교 예술의 의의>
종교는 역사 속에서 인류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종교 예술을 통해 해당 종교의 교리나 지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데, 종교 예술 속 다양한 도상의 활용은 불교 유물의 특징을 다각화해 결과적으로 역사를 알 수 있는 주요한 사료가 된다.
- <왜 종교 중에서도 불교인가?>
우리나라에서 불교의 역사는 삼국시대에서 시작하여 남북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의 왕즉불 사상을 비롯한 다양한 불교 장려 정책을 바탕으로 그 역사가 깊다. 이 발달 과정 속에서 불교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하물며 불교는 수많은 종교 예술품의 기반이 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교 예술품을 해석할 기회가 많다고 판단하였다.
- <콘텐츠 기획 목적>
따라서 우리 조는 다양한 불교 예술품 중에서도 우리 삶에서 가장 밀접하게 찾아볼 수 있는 불교유물조각상을 선정하였다. 불교유물조각상마다 특정 부처를 표상하여 형성되었다는 것에서 창안해 주제를 분류하였고, 특정 조각상에 쓰이는 수인, 자세, 재료, 시대, 위치, 문화 유산 등재 여부 등을 면밀히 조사하여 해당 조각상에 대한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기대하는 바>
불교유물조각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해당 조각상의 지리적 입지, 상업적 교류, 다른 나라와의 문화 교류까지 파악할 수 있어 해당 분야에서 파생되는 연구의 범위가 넓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간학문적인 탐구의 바탕으로서 우리 조의 콘텐츠 제작이 상당한 가치를 지닐 것이라고 예상된다.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
김은성 | 기획의도 작성 |
온톨로지
온톨로지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
에그타르트 | 자료조사 및 온톨로지 작성 |
권민서 | 자료조사 및 초기 온톨로지 작성 |
채미소 | 자료조사 및 초기 온톨로지 작성 |
지도
지도(Map)
- 빨간색 관세음보살
-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 금동관음보살입상
-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 주황색 아미타불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 안국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 초록색 약사여래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 금동약사여래입상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 파란색 미륵불
-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보라색 비로자나불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상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
채미소 | 지도 제작 및 비로자나불상 위치 조사 |
에그타르트 | 관세음보살상 위치 조사 |
권민서 | 약사여래상 위치 조사 |
고은비 | 미륵보살상 위치 조사 |
김은성 | 아미타불상 위치 조사 |
콘텐츠 구조
클래스(Class)
- 자신이 설계한 클래스(Class)를 나열하고, 각각의 클래스의 의미를 설명하고, 클래스에 해당되는 노드를 작성합니다.
- 표, 목록(*, #) 등 자유로운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
- 예:
클래스 | 설명 | 노드 |
---|---|---|
인물 | 부처는 산스크리트어로 '깨달은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석가모니불을 가리키지만 석가모니는 누구나 깨달음을 얻어서 해탈에 이르게 되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말하였다. 불교 이론에 등장하는 여러 부처와 여래, 보살 중 일부를 설정하여서 인물 클래스로 분류하였다. | 관세음보살, 아미타불, 약사여래, 미륵불, 비로자나불 |
문화유산 | 불교 문화유산은 한국의 민족정신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불교의 발전 양상에 따라 다양한 조각품들이 생겨났는데 그 중 인물 클래스에서 설정한 부처, 여래, 그리고 보살을 표상하여 만들어진 불상들을 문화유산 클래스로 분류하였다. | 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 금동관음보살입상, 부여규암리금동관음보살입상,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안국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청양장곡사금동약사여래좌상,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논산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서산여미리석불입상, 경주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철원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합천해인사법보전목조비로자나불좌상 |
수인 | 수인은 수행자가 손가락으로 나타내는 모양을 의미한다. 불상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손 모양이 나타나는데 이를 수인 클래스로 분류하였다. | 계인, 약기인, 여원인, 시무외인, 지권인, 구품인, 하품중생인, 상품하생인, 중품중생인, 항마촉지인 |
자세 | 설명 | 좌상, 입상, 결가부좌 |
위치 |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여미리, 관촉사, 국립경주박물관, 장곡사, 불국사, 안국사, 해인사, 도피안사 |
시대 | 설명 |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
재료 | 불상은 다양한 재료로 조성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소재들을 재료 클래스로 분류하였다. | 나무, 돌, 금동, 철 |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
에그타르트 | 클래스 표 최초 작성 |
권민서 |
관계성(Relation)
- 불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불상 자체의 도상과 실제 불상의 위치와 특징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 이를 위해 불상이 나타내는 인물을 설명하는 관계성, 불상의 손모양에 해당하는 수인을 설명하는 관계성, 자세를 설명하는 관계성을 설정하였다.
- 불상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문화유산에 해당하는 불상의 예시를 온톨로지에 포함시켰다. 따라서 이 불상이 언제 제작되었고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설명하는 관계성을 포함시켰고 추가적으로 불상이 제작된 재료를 설명하는 관계성을 추가해 온톨로지를 완성했다.
- ~의 형상이다
- 설명: 해당 불상이 어떤 인물(부처,여래,보살)을 표상하여 만들어진 불상인지 설명하는 관계성이다.
- 해당노드:
-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 약사여래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아미타불
- 경주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부여규암리금동관음보살입상 → 관세음보살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 미륵불
- 금동약사여래입상 → 약사여래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약사여래
-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 아미타불
- 안국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 아미타불
- 철원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합천해인사법보전목조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 → 관세음보살
- 금동관음보살입상 → 관세음보살
- 논산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 미륵불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미륵불
- ~의 형상이다
- ~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 설명: 해당 불상의 손모양(수인)이 어떤 수인으로 분류되는지를 나타내는 관계성이다.
- 해당노드:
- 금동약사여래입상 → 약기인
-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 상품하생인
- 철원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지권인
- 금동관음보살입상 → 계인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항마촉지인
- 청양장곡사약사여래좌상 → 약기인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약기인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지권인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하품중생인
- 안국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 구품인
- 경주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 지권인
- 합천해인사법보전목조비로자나불좌상 → 지권인
- 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 → 계인
- 부여규암리금동관음보살입상 → 계인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 여원인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 시무외인
- 논산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 중품중생인
- ~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 ~의 자세를 하고 있다
- 설명: 불상의 자세에 따른 분류를 나타내는 관계성이다.
- 해당노드: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입상
- 청양장곡사금동약사여래좌상 → 좌상
- 안국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 결가부좌
- 청양장곡사금동약사여래좌상 → 좌상
- 금동약사여래입상 → 입상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좌상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결가부좌
-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 입상
- 경주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 결가부좌
- 철원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결가부좌
- 합천해인사법보전목조비로자나불좌상 → 결가부좌
- 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 → 입상
- 금동관음보살입상 → 입상
- 부여규암리금동관음보살입상 → 입상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 입상
- 논산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 입상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결가부좌
- ~의 자세를 하고 있다
- ~시대에 제작되었다
- 설명: 불상이 제작된 시기를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나누어 관계성을 설정하였다.
- 해당노드:
- 서울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 → 삼국시대
- 금동약사여래입상 → 통일신라
- 서산여미리석불입상 → 고려
- 안국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 조선
- 청양장곡사금동약사여래좌상 → 고려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통일신라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통일신라
-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 통일신라
- 경주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 통일신라
- 철원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통일신라
- 합천해인사법보전목조비로자나불좌상 → 통일신라
- 금동관음보살입상 → 삼국시대
- 부여규암리금동관음보살입상 → 삼국시대
- 논산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 고려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 ~시대에 제작되었다
- ~에 위치해있다
- 설명: 불상이 봉안되어 있는 절 또는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성이다.
- 해당노드:
- 청양장곡사약사여래좌상 → 국립중앙박물관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국립경주박물관
- 경주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상 → 불국사
- 합천해인사법보전목조비로자나불좌상 → 해인사
- ~에 위치해있다
- ~의 재료로 제작되었다
- 설명: 불상의 재료를 설명하는 관계성으로 돌, 철, 금동, 나무로 나뉜다.
- 해당노드:
- 경주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금동
- 경주감산사석조아미타여래입상 → 돌
- 안국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 나무
- 철원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철
- ~의 재료로 제작되었다
마인드맵
주제 마인드맵
사진 첨부 ※ 수업에 했던 포스트잇 사진 가능
노드 마인드맵
참고문헌
자세한 출처는 각각의 위키 페이지 하단에 작성함.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