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음보살입상

dh_edu
사용자이름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7일 (목) 18:2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동관음보살입상.jpg

정의

국보 제 128호[1]로, 삼국시대(백제)에 제작된 관세음보살상이다.

조성

조성 시기는 7세기 초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그 중 백제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불상은 구리로 주조하여 금으로 도금하였다.[2] 높이는 15.2cm이다.

발견

삼성 이병철 전 회장의 소유였던 문화재로,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설명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으며 보관 위로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있다. 얼굴은 몸에 비해 다소 큰 편으로 네모반듯한 모양에 가깝다. 두 눈을 꼭 감고 입을 다물었지만 미소가 없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귀 옆으로 흘러내리는 머리칼은 어깨 아래에서 몇 가닥으로 갈라져 팔 위로 길게 늘어졌다. 목은 약간 짧은 듯한데 삼도(三道)는 표현되지 않았다. 몸은 가늘고 세장(細長)한 편으로 어깨가 좁아 약간 위축된 느낌을 준다.

천의는 얇고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난다. 천의의 한 자락은 왼손에 걸쳐 다리 옆을 따라 흘러내리고, 다른 한 자락은 오른손을 내려 잡고 있다. 다리 위로 흘러내린 옷자락은 무릎 위에서 굵은 주름을 이루었고 무릎 아래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고 있다.

영락(瓔珞) 장식은 어깨에 넓게 걸쳐 있으며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다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어 다리 위에 장식되었다. 왼손에는 큼직한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로 추정된다.

대좌는 안상(眼象)이 투각(透刻: 뚫새김)된 육각형의 복련좌(覆蓮座) 위에 앙련좌(仰蓮座)를 올려놓은 형태이다. 잎이 넓고 부드러운 연꽃의 모습은 백제시대 특유의 연화문 양식을 잘 보여 준다. 현재 광배는 남아 있지 않지만, 불상의 뒷면에는 광배를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세장한 몸의 형태를 비롯하여 삼면보관,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된 영락 장식 등의 양식적 특색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발견된 금동관세음보살입상과 많은 공통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 불상에 비해 몸의 형태가 다소 경직되었으며 얼굴에 미소가 사라져 좀 더 근엄해 보인다. 불상 전체에 녹이 많이 슬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금색이 찬연하며 백제 불상 특유의 유연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석

  1. 1968.12.19 국보로 지정(등록) 되었다.
  2. 일명 금동.

참고자료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