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 신앙

dh_edu
김개구리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6일 (수) 20:30 판 (발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요약

정토신앙(淨土信仰) 또는 아미타불신앙이라고도 하며,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계의 서쪽에 위치하는 청정불국토(淸淨佛國土)의 극락에 태어나기를 원하는 신앙이다.


등장 배경

삼국시대

『무량수경』이 중국의 위나라주2 때 번역되고 『아미타경』과 『관무량수경』이 남북조시대주3 초기에 번역되었으므로, 고구려와 백제에도 일찍부터 이들 경전이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미타정토신앙이 행해진 구체적인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신라시대의 미타신앙에 관하여는 많은 자료가 전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선덕여왕 때의 고승 자장(慈藏)이 『아미타경의기(阿彌陀經義記)』 1권과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1권을 저술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일찍부터 미타신앙이 들어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저서는 현존하지 않고 또 다른 자료들도 남아 있지 않으므로 삼국통일 이전의 미타신앙은 알 수 없다.

통일신라

신라 중대의 가장 보편적인 신앙은 미타 신앙(彌陀信仰)이었다. 미타 신앙은 아미타불이 중생을 구제하겠다고 한 원력에 의해 사람들이 아미타불을 지성으로 염송하면 사후 극락세계에 왕생하게 된다는 내세 신앙이다. 신라의 미타 신앙은 국가를 위한 전쟁에 동원되었지만 절을 짓거나 탑을 세우는 것과 같은 공덕을 쌓을 수 없었던 일반민에게 강한 호소력을 지녔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와 더불어 일반민과 직접 어울리며 포교하던 교화승의 활동에 따라 미타 신앙은 7세기에 점차 기반을 다져 나갔다.


신라 중대의 미타 신앙은 염세적인 데서 오는 내세적 기원보다 현실 긍정적인 경향이 강하였다. 신앙 내용이 사후의 극락왕생보다 현실에 극락정토를 구현하겠다는 내용이 많이 나타난다. 극락세계의 현실화에 대한 소망은 경덕왕대에는 미타가 신라 땅에서 현신 성불하였다는 신앙 내용으로 이어졌다. 경덕왕대에 수십 년에 해당하는 만일(萬日)을 기약하여 시행된 염불 결사는 본격적인 신앙 결사의 면모를 알려 준다. 귀족이 주도한 이 염불 결사에 직접 참여하지 못했던 노비 욱면(郁面)은 그 정성이 인정되어 나중에야 참가가 허락되고, 귀족이나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현신 그대로 염불하던 법당 천장을 뚫고 왕생하였다는 설화를 낳았다.


이처럼 계층을 가리지 않고 전 사회에 고루 수용된 미타 신앙은 국민의 일체감 조성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통일기의 신라 사회는 전쟁을 치르고 난 뒤 그 과정에서 애쓰거나 희생된 사람을 위로하고 새롭게 확보한 영토에 살고 있던 고구려와 백제의 기층민도 포용해 들여야 하는 큰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 필요한 신앙으로서 미타 신앙은 더없이 적절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얻어진 일체감은 지역 간의 화해와 계층 간의 화합에 중요한 역할을 해낼 수 있었다.


발달


  1. 혜숙 & 대안

화랑의 낭도로도 활동한 혜숙(惠宿)은 기층민의 요구에 부응하여 지배층과 결합된 기존 교단을 비판하였다. 혜공(惠空)은 귀족의 집에서 고용 살던 이의 아들로, 술에 취하여 삼태기를 지고 거리를 돌아다녔다. 만년에는 항사사(오어사)에서 지냈는데, 원효가 글을 쓰다가 의심이 나면 혜공에게 가서 묻곤 하였다고 한다. 혜공은 영묘사에 화재가 날 것을 예견하고 미리 비법을 알려 주어 이를 구하기도 하였다. 대안(大安)은 시장거리에서 생활하면서 궁중의 초청도 외면하고 기층민과 어울려 지냈다. 대안은 『금강삼매경』이 처음으로 알려지자 흐트러진 내용의 차례를 혼자만이 알아낼 만큼 사상적인 깊이를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교화승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기층민에게 가까이 다가서는 불교가 점차 토대를 마련하였다.

  1. 원효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여 원효는 치밀한 교학 이론을 바탕으로 정토 신앙을 대중 신앙으로 확립하였다. 원효는 범부도 왕생할 수 있다는 교학을 마련하고 스스로 파계한 뒤, 속인의 옷을 입고 기괴한 박을 도구로 만들어 무애가(無碍歌)를 세상에 유포시키고 천촌만락(千村萬落)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사람들과 어울려 지냈다. 이에 따라 나무꾼이나 장사치도 부처의 이름을 알고 귀의한다는 뜻인 ‘나무(南無)’의 칭호를 부르게 되었다. 원효는 사람은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는 불성론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중생이 미혹하여 자신의 성불 가능성을 믿지 않으므로 불보살의 도움을 빌 어야 한다고 하였다. 정토에 왕생하기 위해서는 보리심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미타불을 믿고 아미타불의 본원력에 의해 왕생하여 성불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염불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1. 원효 이후의 신라 승려

원효 이후 신라 승려들은 미타 신앙의 기반인 『무량수경(無量壽經)』·『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아미타경(阿彌陀經)』의 미타삼부경에 많은 주석을 베풀었다. 원효에서 시작하여 법위·현일·의적으로 이어지는 신라 정토 교학은 중국 혜원의 학설을 계승 발전시킨 추세를 보였다. 이는 현장의 견해를 계승하여 이를 비판한 경흥·원측 등의 유식계 정토 교학과 대비되며 신라 정토 교학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주된 관심은 『무량수경』의 내용 조직이라든가 왕생 방법, 왕생 인연의 제한, 미타와 미륵 정토의 우열 문제 등이었다.



영향

  1. 우리나라

아미타불에 관한 신앙은 우리나라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왔다. 6, 7세기경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미타신앙이 대중의 생활 속에 자리잡아 신라 시대에는 집집마다 염불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이 미타염불을 널리 권장한 공로자는 원효(元曉)를 들 수 있다. 그는 정토교(淨土敎)를 보급하기 위해 신라의 각처를 다니면서 미타염불을 권하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각종 저서들을 남겼다. 원효 이후의 많은 신라 교학승(敎學僧)들도 미타신앙을 전파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삼국의 치열한 전투 속에서 생겨나는 수많은 전몰자들의 왕생을 비는 데서 자연히 아미타불에 귀의하게 되었고, 수많은 아미타불상의 조성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기타

신앙 일화

더 많은 정보

아미타 신앙과 관련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여기로 이동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