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방언

dh_edu
공주님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5일 (화) 00:0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역

강원도 방언은 강원도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이다. 휴전선을 기준으로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 이남 지역의 방언을 주고 이른다. 태백산맥 내부 및 그 동쪽에 위치한 영동방언과 태백산맥 서쪽에 위치한 영서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영동방언은 독자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영서방언은 음운과 문법이 경기도 방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이남지역에는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춘천, 홍천, 양양, 횡성, 평창, 강릉, 원주, 영월, 정선, 삼척이 있다.   
 영동방언에 속하는 지역은  영월, 정선, 평창, 삼척, 강릉, 앙양 고성이 있다. 
 영서방언에 속하는 지역은 철원, 화천, 양구, 인제, 춘천, 홍천, 횡성, 원주가 있다.  


강원도

방언 특징

영서 방언

어간의 재구조화와 관련해서 흑(〈흙), 여덜(〈여덟), 넉(〈넋)’에서와 같이 체언 어간말 자음군이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며, ‘무릅(〈무릎), 부억(〈부엌)’에서와 같이 체언 어간말 격음이 평음으로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솣이(솥+이), 솣을(솥+을), 솣으로(솥+으로)’처럼 체언 어간말 ‘ㅌ’이 ‘ㅊ’으로 재구조화되기도 한다. 한편 이 방언은 ‘가랑비, 벙어리, 놀, 똬리, 아이, 마을’ 등에서처럼 어중 자음 ‘-ㄱ-, -ㅂ-, -ㅅ-’이 탈락한 형태가 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영서방언은 대체로 중부방언의 하위 방언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문법 형태가 달리 실현되기도 한다. 공동격조사 ‘-와/과, 하고’는 선행 명사 말음의 음운론적인 조건에 관계없이 ‘-꽈, -과, -하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철원 지역은 ‘가대기꽈 훌치꽈(가대기와 훌치와)’에서 ‘-꽈’로, 양구·홍천 지역은 ‘-과’로, 인제 지역에서는 ‘나하과’에서 ‘-하과’로 나타난다. 불규칙활용을 보면, 표준어에서 ‘흐르-’는 ‘흐르고, 흐르니, 흘러’로 활용하고, ‘다르-’는 ‘다르고, 다르니, 달라’로 활용한다. 하지만 이 방언에서는 ‘흘르구, 흘러 ; 달르구, 달라’에서처럼 규칙활용을 보여 표준어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영동 방언

체언 어간말의 자음군인 ‘ㄺ, ㄼ’은 ‘달만(닭+만), 여덜만(여덟+만)’에서처럼 후행하는 자음이 탈락하여 어간이 단순화된다. 불규칙활용을 하는 동사 ‘걷-’이 ‘걸꼬, 걸으니, 걸어’처럼 활용하여 표준어와 다른 양상을 보이며, 규칙활용을 하는 동사인 ‘씻-’이 ‘씯꼬(씻+고), 쎄라(씻+어라)’처럼 불규칙활용을 하기도 한다. 체언에서도 불규칙곡용이 나타나서 ‘갈기(가루+가), 갈그(가루+를), 가루도(가루+도)’나 ‘낭기(나무+가), 낭그(나무+를), 나무도(나무+도)’ 등의 실현을 보인다. 그리고 ‘나무래(나무+야), 책이래요(책+이에요)’에서처럼 계사 ‘이’ 뒤에 종결어미 ‘-어/아’가 결합하거나, 첨사 ‘-요’가 결합하는 경우에 종결어미 ‘-어/아’가 ‘-래’로 나타나는 것은 영동방언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영동방언에서는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 주격조사 ‘-이’가 수의적으로 결합하여 ‘코이(코+가), 오후이(오후+가)’가 나타나기도 하며, 강릉·양양·고성 지역에서는 ‘니거(네+가)’에서 ‘-거’가, 삼척 지역에서는 ‘뱀이가(뱀+이)’에서 ‘-이가’가 사용되기도 한다. 주제화 보조사 ‘-은/는’은 강릉·삼척·정선·영월 등지에서 중가되어 ‘아들으는(아들+은), 팥으는(팥+은)’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영동방언에서는 높임법의 등급이 대체로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로 4등분할 수 있다. 다만 어미의 형태에서 표준어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의문형 어미에서 해라체의 경우에는 ‘어데 가나?’, ‘이게 꽃이나?’에서처럼 어미 ‘-나’로 실현되고, 어미 ‘-지’가 평서문에서는 ‘-지’로 나타나지만 의문문에서는 ‘오늘 덥재?’에서처럼 ‘-재’로 나타난다.

체계

<강원도 방언 체계>
자음
      • 자음은 표준어와 같이 19개의 자음으로 되어있다.
<강원도 방언 체계>
모음
      • 10개의 단모음으로 되어있다. 일부 강릉, 삼척 지역에서는 반모음 'ㅣ'와 단모음 'ㅚ'가 결합한 특이한 이중모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 강원도 방언은 성조와 음장이 특징이다.
 성조방언에는 음의 높낮이에 따라 의미가 구별되는 영동방언이 있다.  
 음장방언에는 음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구별되는 영서방언이 있다.

음운 현상


<강원도 방언 음운변동>
구분 영서방언 영동방언
어미 -어/아 <반모음화 현상
이겨(이거+어) , 비벼(비비=어)
모음축약 현상
이게(이기+어) , 비베(비비+어)
자음군 단순화
자음군 중 후행하는 자음 탈락
말따(맑+다) , 발따(밟=다) , 말꼬(맑+고) , 발꼬(밟+고)

어간말 자음군 중 선행하는 자음 탈락
‘막따(맑+다), 밥따(밟+다), 막꼬(맑+고) , 밥꼬(밟+고)


문법 특징


<강원도 방언 조사>
구분 영서방언 영동방언
주격조사 이/가 이/가 코이(코+가), 오후이(오후+가), 니거(네+가), 뱀이가(뱀+이)
동사 듣- 듣- 들꼬, 들으니, 들어
동사 씻- 씻- 씯꼬(씻+고) , 쎄라 (씻+어라)


<강원도 방언 체언>
구분 영서방언 영동방언
체언 불규칙
___
잘기(자루+가), 잘게(자루+에), 자루도’
계사 ‘이’ 뒤에 종결어미 ‘-어/아’가 결합
첨사 ‘-요’가 결합하면 종결어미 ‘-어/아’가 ‘-래’로

___
칼이래(칼+이야), 강릉이래요(강릉+이에요)


<강원도 방언 접사>
구분 영서방언 영동방언
사동 접미사 -구
___
줄구다(줄이다), 알구다(알리다),
피동 접미사 -키-
___
바꾸키다(바뀌다), 뵈키다(보이다), 뉘키다(뉘다)

유래

사례

강원도 사투리에 대한 인식


미디어 속 강원도 방언

    • 사투리 퀴즈 대결

참고 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