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유물조각상 김은성

dh_edu
김개구리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28일 (화) 20:46 판 (기타)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아미타불

정의

아미타불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로서 서방 극락정토[1]를 관장하는 부처이다.

요약

아미타불은 서방 극락정토의 주인이 되는 부처를 가리키는 신앙 대상이다. 중국 인도의 범어[2]내용을 따라 무량수불 또는 무량광불이라고도 한다. 살아 있는 모든 자를 구제하고자 48원[3]을 세우고 오랜 수행을 거쳐 본원[4]을 성취하고 10겁[5] 전에 부처가 되었는데 지금도 서방의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설법하고 있다. 뭇 생명 있는 자들은 ‘나무아미타불’이라는 염불을 통해 극락세계에 왕생하여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앙에서 정토교[6]가 성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미타 신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대부분의 사찰에서 극락 전에 아미타불을 봉안하고 있다.

이름

의미

아미타불이란 명칭은 범어로, 아미타바붓다에서 나온 말이다. 여기서 아미타란 아미타유스라는 말에서 온 것으로 한문으로 음역[7]한 것이고, 무량수, 무령관 등이라고 의역하였다. 즉, 헤아릴 수 없는 수명과 광명을 가졌다는 두 가지 뜻의 음사[8]이며, 따라서 아미타불은 이 두 개의 덕성을 갖춘 부처라는 뜻이 된다.

유래

  1. 끝 없는 삶을 가진 이: 범어 "아미따유스(amitāyus)"에서 나왔고, 한자로는 무량수(無量壽)라고 표기한다. 그래서 무량수불로도 불리고, 아미타불이 있는 전각이름을 무량수전이라고도 한다.
  2. 끝 없는 빛을 가진 이: 범어 "아미따바(amitābha)"에서 나왔고, 한자로는 무량광(無量光)이라고 표기한다. 그래서 무량광불로도 불린다.

등장

국가 영향

한국

  • 미타신앙의 한국적 수용의 한 특성은 선(禪)과 극락정토의 회통(會通)적인 노력이다. 아미타불을 찾는 염불과 선이 둘이 아니라는 선정불이(禪淨不二)의 전통은 원효가 “오직 마음이 정토요, 성품은 아미타불과 같다(唯心淨土同性彌陀).”를 천명한 이래, 지눌(知訥)ㆍ보우(普愚)ㆍ혜근(惠勤)ㆍ기화(己和)ㆍ휴정(休靜) 등으로 이어져 지금까지도 그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한국 아미타 승려>
이름 원효(元曉) 지눌(知訥) 보우(普愚) 혜근(惠勤) 기화(己和) 휴정(休靜)
사진
원효.jpg
지눌.jpg
보우.jpg
혜근.jpg
기화.jpg
휴정.jpg
소개 원효는 『대혜도경종요』, 『금강반야경소』, 『화엄경소』 등을 저술한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로, 많은 저술을 남긴 학승만이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부처의 가르침을 설파한 민중교화승으로도 중요하다. 종파주의적 풍조를 혁파하는 화쟁사상을 주장했다. 지눌은 고려시대 『권수정혜결사문』, 『수심결』, 『원돈성불론』 등을 저술한 승려로, 선종(禪宗)의 중흥조로서,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제창하여 선과 교에 집착하지 않고 깨달음의 본질을 모색하였다. 보우는 고려후기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조로서 불교계의 통합을 도모한 승려로, 1368년에는 신돈의 참언으로 속리산에 금고되었다가 풀려나기도 했고, 정치와 불교의 혁신, 선문구산 통합 등에 대해서도 건의했으나 수용되지 않았다. 혜근은 고려후기 원나라 연경의 광제선사 주지, 회암사 주지 등을 역임한 승려로, 중국의 지공(指空)·평산처림(平山處林)에게 인가를 받고 무학(無學)에게 법을 전하여,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웠다. 기화는 조선전기 『원각경소』 · 『금강경오가해설의』 · 『함허화상어록』 등을 저술한 승려로, 조선 초기의 배불정책이 극에 이르렀을 때, 불교의 정법(正法)과 그 이치를 밝힘으로써 유학의 불교 비판의 오류를 시정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휴정은 조선시대 『청허당집』, 『선교결』, 『심법요초』 등을 저술한 승려로, “선은 부처님의 마음이고 교는 부처님의 말씀이다(禪是佛心 敎是佛語).”라고 주장하며 선교관을 펼쳤다.
  •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 아미타불을 봉안하고 있는 법당은 극락전(極樂殿), 미타전(彌陀殿), 무량수전(無量壽殿), 무량광전(無量光殿)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 아미타불은 불교 타력신앙의 중심부처로 인정되고 있다.

외국

‘극락정토’와 ‘서방’이라는 관념이 어디에서 왔는가 하는 점은 학자들에 따라 다르다. 인도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사후의 천계가 불교적으로 순화돼 불국토로 변하는데 극락정토도 여기서 왔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서쪽에 있는 사막 가운데 존재하는 오아시스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학설도 있다. 이런 저런 주장에도 극락신앙과 아미타신앙이 1~2세기 경 북서인도를 주름잡았던 쿠샨왕조 문화권[9]에서 성립됐다는 점에는 대부분 동의한다. 초기의 아미타불상이 파키스탄 간다라지역이나 아프가니스탄 잘랄라바드 근방에서 출토된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관련 유적

기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은 진언(眞言)[10]으로 아미타불에 귀의한다는 의미이다. 나무(南無)는 범어로 ‘Namas(Namo)’의 음역으로서, 나모(南謨)ㆍ납막(納莫)ㆍ낭모(囊謨)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귀명(歸命)ㆍ귀경(歸敬)ㆍ귀의(歸依)ㆍ경례(敬禮)ㆍ구아(求我)ㆍ도아(度我)라고 한다. 뜻은 두 가지로 표현된다. Namas는 돌아가 의지한다는 뜻이다. 즉, 무한광명(無限光明=無量光)에 귀의하고, 무한생명(無限生命=無量壽)에 귀의한다고 하는 말이며, 다르마(dharma=法)에 귀의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진리 그 자체와 하나가 되어 왕생극락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중생이 아미타불에게 진심으로 귀의하여 공경하며 따른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여섯 글자로 되어 있기에 육자명호(六字名號), 또는 줄여서 명호라고도 불리운다.

신화(전생 이야기)

기본적으로 아미타불은 석가모니가 대승불교 보살의 이상상으로 모셔지고 대승불교에 의해서 구원불로서 존숭되었던 때에 출현된 부처로 보고 있다.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11] 중 하나인 『관무량수경』[12]에서는 위제희 부인이 세상에 환멸을 느끼고 사바세계와 같은 악하고 혼탁한 세상이 아닌 청정한 업으로 된 안락한 세계를 보여 달라고 청했을 때, 석가모니는 시방세(十方世)[13] 모든 부처님의 미묘한 불국토를 보여 주었다. 이에 위제희 부인은 “세존이시여, 이러한 여러 불국토는 모두 다 청정하고 광명이 충만합니다. 그러나 저는 그중에서도 아미타불이 계시는 극락세계에 태어나기를 원하옵니다.” 하였다.『무량수경』(4)에서는 아미타불이 과거에 어떤 수행을 거쳐 성불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성불인연 설화[14]를 상세히 설하고 있다. 『비화경(悲華經)』[15]

에 의하면 법장비구는 출가하기 전에 무쟁념왕(無諍念王)이라는 국왕이었으며, 세자재왕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오랜 세월 수행한 결과 아미타불이 되었다고 한다.

  1. d
  2. d
  3. d
  4. d
  5. d
  6. d
  7. d
  8. d
  9. d
  10. d
  11. d
  12. d
  13. 성불인연설화는 석가모니부처님이 기사굴산에서 만이천 명의 대중들을 모아 놓고 아미타불의 전신(前身)인 법장비구가 출가하게 된 인연을 설한 것이다.
  14.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