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08-153.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08-153. | ||
+ | 편집부.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 - 동서양 건축기법의 조화." 새가정, 1995. | ||
==각주== | ==각주== | ||
[[분류:지붕 없는 근대 박물관 정동으로의 건축 기행]][[분류:크림슨]] | [[분류:지붕 없는 근대 박물관 정동으로의 건축 기행]][[분류:크림슨]] |
2024년 6월 9일 (일) 20:19 판
개요
-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
- 설계: 아서 딕슨(Arthur Dixon)
- 규모: 지하 3층 지상 3층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에 위치한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연혁
연도 | 내용 |
---|---|
1920 | 트롤로프 주교의 '주교좌성당 건축안' 작성 |
1922.09.24 | 착공 |
1926.05.02 | 재정난과 건축자재 부족으로 임시 준공 |
1938 | 선교 100주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증축 추진 |
1994.07.14 | 복원공사 착공 |
1996.04.30 | 아서 딕슨의 원 설계를 최대한 반영하여 완공 |
특징
임시 준공과 완공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재정의 어려움과 건축자재 부족으로 인하여 원래 설계의 일부만 지어졌다. 원 설계는 하나의 성가대석과 7개의 기둥으로 된 주간[1]을 가진 긴 홀과 그 양쪽에 2개의 복도 부분이었다. 하지만 완공 당시에는 3개의 주간을 갖추고 복도 부분도 원 설계의 일부만 완성시켜 넓이는 전체 계획의 약 50% 정도 완성된 상태였다. 이후 1990년, 선교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성당의 증축을 추진하게 되었다. 증축 설계를 담당한 건축가 김원은 본래 철과 유리를 활용한 현대 건축을 계획했으나, 1993년 렉싱턴 지역의 버밍햄 도서관에서 아서 딕슨의 성당 원 설계도를 발견한 이후 이를 근거로 설계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1994년 7월 14일 복원공사를 착공했다. 원 설계를 최대한 반영한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1996년 4월 30일 완공되었다. 증축 과정에서 외부와 내부의 형태가 달라졌다. 건물의 경우에는 원래 도면 그대로 익랑과 신랑을 완성하였고, 양쪽 익랑에는 한식 기와를 얹은 종탑을 설치하였다. 내부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 1층을 연결해 지하 2층과 지하 3층을 새롭게 증축하였다. 아서 딕슨의 원설계대로 주교좌성당을 완성하면서 지하 공간 증축을 통해 공간 수요를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공사가 이루어졌다.
건축 특징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전통건축기법이 깃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당의 평면 유형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인 라틴크로스[2]이다. 건축물은 전반적으로 서양식 기와지붕 건물이나 돌출부와 첨탑부분에는 한식 기와를 덮었다. 또한 성당 신랑[3]의 창호에는 한국식 격자무늬창이 쓰였다. 보통 영국의 성공회성당에서 장미 문양이 있는 로즈 윈도우를 시공한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지붕의 추녀 밑에는 돌로 만들어진 서까래가 있도록 했다. 이는 현지 토착 문화를 중시하는 성공회의 선교방침과 큰 관련이 있다.
3D 모델
참고문헌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08-153. 편집부.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 - 동서양 건축기법의 조화." 새가정, 1995.
각주
- ↑ 柱間, bay.
- ↑ Latin Cross. 긴 십자형 평면을 의미한다.
- ↑ 身廊, 네이브. 교회당 건축에서, 좌우의 측랑 사이에 끼인 중심부를 이르는 말. 건물 내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예배를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10d60279e6b4242999fdd9e6e7cb37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