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양식) |
(→건축 특징)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전통건축기법이 깃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전통건축기법이 깃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성당의 평면 유형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인 라틴크로스<ref>Latin Cross. 긴 십자형 평면을 의미한다.</ref>이다. | 성당의 평면 유형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인 라틴크로스<ref>Latin Cross. 긴 십자형 평면을 의미한다.</ref>이다. | ||
− | 건축물은 전반적으로 서양식 기와지붕 건물이나 돌출부와 첨탑부분에는 한식 기와를 덮었다 | + | 건축물은 전반적으로 서양식 기와지붕 건물이나 돌출부와 첨탑부분에는 한식 기와를 덮었다. |
− | 또한 성당 신랑<ref>身廊, 네이브. 교회당 건축에서, 좌우의 측랑 사이에 끼인 중심부를 이르는 말. 건물 내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예배를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 [출처:https://ko.dict.naver.com/#/entry/koko/a10d60279e6b4242999fdd9e6e7cb37d] | + | 또한 성당 신랑<ref>身廊, 네이브. 교회당 건축에서, 좌우의 측랑 사이에 끼인 중심부를 이르는 말. 건물 내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예배를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10d60279e6b4242999fdd9e6e7cb37d] </ref>의 창호에는 한국식 격자무늬창이 쓰였다. 보통 영국의 성공회성당에서 장미 문양이 있는 로즈 윈도우를 시공한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지붕의 추녀 밑에는 돌로 만들어진 서까래가 있도록 했다. 이는 현지 토착 문화를 중시하는 성공회의 선교방침과 큰 관련이 있다. |
<html><iframe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3dm/ModelView2.py?url=dh.aks.ac.kr/hanyang2/glb/%EA%B1%B4%EB%AC%BC/3D-%EB%8C%80%ED%95%9C%EC%84%B1%EA%B3%B5%ED%9A%8C_%EC%84%9C%EC%9A%B8%EC%A3%BC%EA%B5%90%EC%A2%8C%EC%84%B1%EB%8B%B9.glb" width="640" height="335"></iframe></html> | <html><iframe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3dm/ModelView2.py?url=dh.aks.ac.kr/hanyang2/glb/%EA%B1%B4%EB%AC%BC/3D-%EB%8C%80%ED%95%9C%EC%84%B1%EA%B3%B5%ED%9A%8C_%EC%84%9C%EC%9A%B8%EC%A3%BC%EA%B5%90%EC%A2%8C%EC%84%B1%EB%8B%B9.glb" width="640" height="335"></iframe></html> |
2024년 6월 9일 (일) 19:02 판
개요
-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
- 설계: 아서 딕슨(Arthur Dixon)
- 규모: 지하 3층 지상 3층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에 위치한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연혁
연도 | 내용 |
---|---|
1920 | 트롤로프 주교의 '주교좌성당 건축안' 작성 |
1922.09.24 | 착공 |
1926.05.02 | 재정난과 건축자재 부족으로 임시 준공 |
1938 | 선교 100주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증축 추진 |
1994.07.14 | 복원공사 착공 |
1996.04.30 | 아서 딕슨의 원 설계를 최대한 반영하여 완공 |
특징
건축 특징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전통건축기법이 깃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당의 평면 유형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인 라틴크로스[1]이다. 건축물은 전반적으로 서양식 기와지붕 건물이나 돌출부와 첨탑부분에는 한식 기와를 덮었다. 또한 성당 신랑[2]의 창호에는 한국식 격자무늬창이 쓰였다. 보통 영국의 성공회성당에서 장미 문양이 있는 로즈 윈도우를 시공한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지붕의 추녀 밑에는 돌로 만들어진 서까래가 있도록 했다. 이는 현지 토착 문화를 중시하는 성공회의 선교방침과 큰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08-153.
각주
- ↑ Latin Cross. 긴 십자형 평면을 의미한다.
- ↑ 身廊, 네이브. 교회당 건축에서, 좌우의 측랑 사이에 끼인 중심부를 이르는 말. 건물 내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일반적으로 예배를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10d60279e6b4242999fdd9e6e7cb37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