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음보살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복련좌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복련좌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 ||
</br> </br> | </br> </br> | ||
− |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으며 보관 위로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있다. 왼손에는 큼직한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로 추정된다. 이러한 보관의 화불과 [[계인]]은 [[관세음보살]]의 도상적(圖像的) 특징이다. | + |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으며 보관 위로 육계(肉髻)<ref>불교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ref>가 높이 솟아 있다. 왼손에는 큼직한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로 추정된다. 이러한 보관의 화불과 [[계인]]은 [[관세음보살]]의 도상적(圖像的) 특징이다. |
</br> </br> | </br> </br> | ||
얼굴은 몸에 비해 다소 큰 편으로 네모반듯한 모양에 가깝다. 두 눈을 꼭 감고 입을 다물었지만 미소가 없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귀 옆으로 흘러내리는 머리칼은 어깨 아래에서 몇 가닥으로 갈라져 팔 위로 길게 늘어졌다. | 얼굴은 몸에 비해 다소 큰 편으로 네모반듯한 모양에 가깝다. 두 눈을 꼭 감고 입을 다물었지만 미소가 없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귀 옆으로 흘러내리는 머리칼은 어깨 아래에서 몇 가닥으로 갈라져 팔 위로 길게 늘어졌다. | ||
</br> </br> | </br> </br> | ||
− | 목은 약간 짧은 듯한데 삼도(三道)는 표현되지 않았다. 몸은 가늘고 세장(細長)한 편으로 어깨가 좁아 약간 위축된 느낌을 준다. 천의는 얇고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난다. 천의의 한 자락은 왼손에 걸쳐 다리 옆을 따라 흘러내리고, 다른 한 자락은 오른손을 내려 잡고 있다. 다리 위로 흘러내린 옷자락은 무릎 위에서 굵은 주름을 이루었고 무릎 아래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고 있다. 영락(瓔珞) 장식은 어깨에 넓게 걸쳐 있으며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다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어 다리 위에 장식되었다. | + | 목은 약간 짧은 듯한데 삼도(三道)<ref>삼도(三道)란 불상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으로, 생사(生死)을 윤회하는 인과(因果)를 나타내며 혹도(惑道)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를 의미한다.</ref>는 표현되지 않았다. 몸은 가늘고 세장(細長)한 편으로 어깨가 좁아 약간 위축된 느낌을 준다. 천의는 얇고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난다. 천의의 한 자락은 왼손에 걸쳐 다리 옆을 따라 흘러내리고, 다른 한 자락은 오른손을 내려 잡고 있다. 다리 위로 흘러내린 옷자락은 무릎 위에서 굵은 주름을 이루었고 무릎 아래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고 있다. 영락(瓔珞) 장식은 어깨에 넓게 걸쳐 있으며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다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어 다리 위에 장식되었다. |
</br> </br> | </br> </br> | ||
대좌는 안상(眼象)이 투각(透刻: 뚫새김)된 육각형의 복련좌(覆蓮座) 위에 앙련좌(仰蓮座)를 올려놓은 형태이다. 잎이 넓고 부드러운 연꽃의 모습은 백제시대 특유의 연화문 양식을 잘 보여 준다. 현재 광배는 남아 있지 않지만, 불상의 뒷면에는 광배를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 대좌는 안상(眼象)이 투각(透刻: 뚫새김)된 육각형의 복련좌(覆蓮座) 위에 앙련좌(仰蓮座)를 올려놓은 형태이다. 잎이 넓고 부드러운 연꽃의 모습은 백제시대 특유의 연화문 양식을 잘 보여 준다. 현재 광배는 남아 있지 않지만, 불상의 뒷면에는 광배를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a%b8%88%eb%8f%99%ea%b4%80%ec%9d%8c%eb%b3%b4%ec%82%b4%ec%9e%85%ec%83%81&searchCondition2=&s_kdcdArr=&s_ctcdArr=&ccbaPcd1Arr=&ccbaKdcd=11&ccbaAsno=01280000&ccbaCtcd=11&ccbaCpno=111310128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a%b8%88%eb%8f%99%ea%b4%80%ec%9d%8c%eb%b3%b4%ec%82%b4%ec%9e%85%ec%83%81&searchCondition2=&s_kdcdArr=&s_ctcdArr=&ccbaPcd1Arr=&ccbaKdcd=11&ccbaAsno=01280000&ccbaCtcd=11&ccbaCpno=111310128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7670]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7670] | ||
+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d8868bb6e944cd68a981a8fcc9e3038] | ||
+ | [http://sculpture.co.kr/daesung/culture/buda/bud.html] | ||
[[분류:불교유물]] | [[분류:불교유물]] | ||
[[분류:에그타르트]] | [[분류:에그타르트]] |
2023년 12월 11일 (월) 17:59 기준 최신판
정의
국보 제 128호[1]로, 삼국시대(백제)에 제작된 관세음보살상이다.
조성
조성 시기는 7세기 초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그 중 백제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불상은 구리로 주조하여 금으로 도금하였다.[2] 높이는 15.2cm이다.
발견
삼성 이병철 전 회장의 소유였던 문화재로,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설명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복련좌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으며 보관 위로 육계(肉髻)[3]가 높이 솟아 있다. 왼손에는 큼직한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로 추정된다. 이러한 보관의 화불과 계인은 관세음보살의 도상적(圖像的) 특징이다.
얼굴은 몸에 비해 다소 큰 편으로 네모반듯한 모양에 가깝다. 두 눈을 꼭 감고 입을 다물었지만 미소가 없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귀 옆으로 흘러내리는 머리칼은 어깨 아래에서 몇 가닥으로 갈라져 팔 위로 길게 늘어졌다.
목은 약간 짧은 듯한데 삼도(三道)[4]는 표현되지 않았다. 몸은 가늘고 세장(細長)한 편으로 어깨가 좁아 약간 위축된 느낌을 준다. 천의는 얇고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난다. 천의의 한 자락은 왼손에 걸쳐 다리 옆을 따라 흘러내리고, 다른 한 자락은 오른손을 내려 잡고 있다. 다리 위로 흘러내린 옷자락은 무릎 위에서 굵은 주름을 이루었고 무릎 아래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고 있다. 영락(瓔珞) 장식은 어깨에 넓게 걸쳐 있으며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다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어 다리 위에 장식되었다.
대좌는 안상(眼象)이 투각(透刻: 뚫새김)된 육각형의 복련좌(覆蓮座) 위에 앙련좌(仰蓮座)를 올려놓은 형태이다. 잎이 넓고 부드러운 연꽃의 모습은 백제시대 특유의 연화문 양식을 잘 보여 준다. 현재 광배는 남아 있지 않지만, 불상의 뒷면에는 광배를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세장한 몸의 형태를 비롯하여 삼면보관,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된 영락 장식 등의 양식적 특색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발견된 금동관세음보살입상과 많은 공통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 불상에 비해 몸의 형태가 다소 경직되었으며 얼굴에 미소가 사라져 좀 더 근엄해 보인다. 불상 전체에 녹이 많이 슬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금색이 찬연하며 백제 불상 특유의 유연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