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배재학당 동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개요'''== | =='''개요'''== | ||
− | + | 구 배재학당 동관은 1916년에 건립되어 옛 배재학당의 교실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1994년 배재중고등학교가 고덕동으로 이전하면서 정동에는 옛 교사 중 1916년에 준공된 동관만 남아 있다. 현재 구 배재학당 동관은 배재학당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
− | |||
+ | 배재학당은 1885년 아펜젤러에 의해 세워진 서양식 근대 교육기관이다. | ||
=='''연혁'''== | =='''연혁'''==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style="width:60px;"|연도 || 내용 | ! style="width:60px;"|연도 || 내용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1914.05 || 배재학당 동관 착공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1916.03 || 배재학당 동관 완공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2003.04 || 구 배재학당 동관 실측조사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2004.03 || 구 배재학당 동관 보수 설계 및 전시 계획 수립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2005.11 || 지붕 공사 및 내부 철거 공사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2006.08 - 2007.04 || 2차 보수공사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2007.12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전시설계 및 전시공사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2008.07.24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개관 | ||
|} | |} | ||
− | ==''' | + | =='''배재학당'''== |
+ | 배재학당은 1885년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이겸라, 고영필 두 명의 학생에게 영어를 가르친 것에서 시작되었다. 1886년, 서소문 쪽 언덕에 그는 부지를 마련하고 정식으로 학교를 설립하였다. 개교하였을 때 고종은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라는 뜻으로 '''배재학당<ref>培材學堂.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라는 의미이다.</ref>'''이라는 이름과 현판을 하사했다.</br> | ||
+ | |||
+ | 배재학당에서는 영어, 한문, 국어를 기본으로 가르쳤으며 학년에 따라 수학, 역사, 세계지리,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등을 가르쳤다. | ||
+ | 학생 수가 늘어나자 배재학당은 교사를 신축했다. 1887년 9월에 학생 수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사를 지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르네상스식 벽돌교사였다. 지상 1층, 반지하 1층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강당, 교실 등이 위치하고 있었다. 현재 남아 있는 동관은 1916년에 세워졌다. 이후 1923년에는 동관 건너편에 서관을 세웠는데, 이는 배재중고등학교와 함께 고덕동으로 이전되었다. 인쇄소를 비롯하여 1887년에 세워진 벽돌 교사는 1932년 대강당이 들어서며 철거되었다. | ||
+ | =='''특징'''== | ||
==='''3D 모델'''=== | ==='''3D 모델'''=== | ||
<html><iframe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3dm/ModelView2.py?url=dh.aks.ac.kr/hanyang2/glb/%EA%B1%B4%EB%AC%BC/3D-%EB%B0%B0%EC%9E%AC%ED%95%99%EB%8B%B9%EB%8F%99%EA%B4%80.glb" width="640" height="335"></iframe></html> | <html><iframe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3dm/ModelView2.py?url=dh.aks.ac.kr/hanyang2/glb/%EA%B1%B4%EB%AC%BC/3D-%EB%B0%B0%EC%9E%AC%ED%95%99%EB%8B%B9%EB%8F%99%EA%B4%80.glb" width="640" height="335"></iframe></html> | ||
==='''건축 특징'''=== | ==='''건축 특징'''=== | ||
− | + | 1916년에 준공된 배재학당 동관은 지상 3층, 지하 1층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적벽돌을 활용한 조적조 건물로, 지붕의 경우에는 경사가 있는 맞배지붕에 3개의 박공형태로 지붕을 높여 창호를 설치하였다.<ref>지붕창은 빛을 유도해 공간을 밝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ref> 건물 정면은 중심축에 의해 좌우가 대칭이다. 정면 출입구에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포티코<ref>portico. 대형 건물 입구에 기둥을 받쳐 만든 현관 지붕 [출처: https://en.dict.naver.com/#/entry/enko/175435f23716433fa971888753568867]</ref>가 있는데, 이는 페디먼트<ref>박공은 건물의 입구 위쪽과 지붕 사이에 위치한, 삼각형의 마감장식을 한 건물의 벽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건물과 같이 장식을 하거나 특수한 형태로 된 경우에 그것을 페디먼트라고 부른다. 페디먼트는 그리스 신전 건축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색인데, 일반적으로 조각을 하고 세 꼭지에는 장식적인 벽돌을 붙인 것이 전형적이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9084&cid=40942&categoryId=33076]</ref>와 좌우 3개의 배흘림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 + | 구 배재학당 동관의 경우에는 지표면보다 바닥의 높이가 높게 지어졌다.<ref>1900년대 초 건물 상당수의 경우 지표면보다 바닥의 높이가 높게 지어진 것이 많았다.</ref> 그래서 지하층의 경우에도 반지하층의 모습을 띠고 있다. | |
+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 ||
+ | 학교법인 배재학당은 2008년 7월 24일, 구 배재학당 동관에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을 개관했다. 구 배재학당 동관 건물 원형은 최대한 복원하고, 최소한의 변형만을 주는 방식으로 건물을 리모델링했다. | ||
+ | |||
+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지상 1층과 2층은 배재학당의 교육정신, 배재학당 설립자인 [[헨리 아펜젤러|아펜젤러]]의 가족사, 초기 선교사들의 유입과 활동, 배재학당 출신 인물 등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건물 1층의 경우에는 1930년대 배재학당 교실을 재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 ||
+ | |||
+ | 3층의 경우에는 회의실과 세미나실을 배치하였다. | ||
+ | |||
+ | 지하층의 경우에는 박물관 운영을 위한 공간을 배치했다. 관장실, 학예연구실 등이 지하층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층 사무실의 벽체는 건립 당시 사용한 벽돌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이를 강화유리로 시공해 관람객들이 볼 수 있게끔 만들었다.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54-175. | + | *[사진 출처: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0%B0%EC%9E%AC%ED%95%99%EB%8B%B9&searchCondition2=&ccbaKdcd=23&ccbaAsno=00160000&ccbaCtcd=11&ccbaCpno=233110016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br> |
− | "배재학당동관," 국가유산포털 | +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54-175.</br> |
+ | *서울문화사학회, 서울문화재 나들이 (서울: 수서원, 2002), 138-139.</br> | ||
+ | *"배재학당동관," 국가유산포털, 2024년 6월 10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0%B0%EC%9E%AC%ED%95%99%EB%8B%B9&searchCondition2=&ccbaKdcd=23&ccbaAsno=00160000&ccbaCtcd=11&ccbaCpno=233110016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br> | ||
+ | |||
==각주== | ==각주== | ||
[[분류:지붕 없는 근대 박물관 정동으로의 건축 기행]][[분류:크림슨]] | [[분류:지붕 없는 근대 박물관 정동으로의 건축 기행]][[분류:크림슨]] |
2024년 6월 22일 (토) 13:10 기준 최신판
구 배재학당 동관 | |
---|---|
지정 | 서울특별시 기념물 |
지정일 | 2001년 3월 15일 |
지정 명칭 | 배재학당동관 |
한자 명칭 | 培材學堂 東館 |
영문 명칭 |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근대교육문화 / 학교시설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4-5 |
웹사이트 | https://appenzeller.pcu.ac.kr/appenzeller |
개요
구 배재학당 동관은 1916년에 건립되어 옛 배재학당의 교실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1994년 배재중고등학교가 고덕동으로 이전하면서 정동에는 옛 교사 중 1916년에 준공된 동관만 남아 있다. 현재 구 배재학당 동관은 배재학당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재학당은 1885년 아펜젤러에 의해 세워진 서양식 근대 교육기관이다.
연혁
연도 | 내용 |
---|---|
1914.05 | 배재학당 동관 착공 |
1916.03 | 배재학당 동관 완공 |
2003.04 | 구 배재학당 동관 실측조사 |
2004.03 | 구 배재학당 동관 보수 설계 및 전시 계획 수립 |
2005.11 | 지붕 공사 및 내부 철거 공사 |
2006.08 - 2007.04 | 2차 보수공사 |
2007.12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전시설계 및 전시공사 |
2008.07.24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개관 |
배재학당
배재학당은 1885년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이겸라, 고영필 두 명의 학생에게 영어를 가르친 것에서 시작되었다. 1886년, 서소문 쪽 언덕에 그는 부지를 마련하고 정식으로 학교를 설립하였다. 개교하였을 때 고종은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라는 뜻으로 배재학당[1]이라는 이름과 현판을 하사했다.
배재학당에서는 영어, 한문, 국어를 기본으로 가르쳤으며 학년에 따라 수학, 역사, 세계지리,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등을 가르쳤다.
학생 수가 늘어나자 배재학당은 교사를 신축했다. 1887년 9월에 학생 수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사를 지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르네상스식 벽돌교사였다. 지상 1층, 반지하 1층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강당, 교실 등이 위치하고 있었다. 현재 남아 있는 동관은 1916년에 세워졌다. 이후 1923년에는 동관 건너편에 서관을 세웠는데, 이는 배재중고등학교와 함께 고덕동으로 이전되었다. 인쇄소를 비롯하여 1887년에 세워진 벽돌 교사는 1932년 대강당이 들어서며 철거되었다.
특징
3D 모델
건축 특징
1916년에 준공된 배재학당 동관은 지상 3층, 지하 1층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적벽돌을 활용한 조적조 건물로, 지붕의 경우에는 경사가 있는 맞배지붕에 3개의 박공형태로 지붕을 높여 창호를 설치하였다.[2] 건물 정면은 중심축에 의해 좌우가 대칭이다. 정면 출입구에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포티코[3]가 있는데, 이는 페디먼트[4]와 좌우 3개의 배흘림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 배재학당 동관의 경우에는 지표면보다 바닥의 높이가 높게 지어졌다.[5] 그래서 지하층의 경우에도 반지하층의 모습을 띠고 있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학교법인 배재학당은 2008년 7월 24일, 구 배재학당 동관에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을 개관했다. 구 배재학당 동관 건물 원형은 최대한 복원하고, 최소한의 변형만을 주는 방식으로 건물을 리모델링했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지상 1층과 2층은 배재학당의 교육정신, 배재학당 설립자인 아펜젤러의 가족사, 초기 선교사들의 유입과 활동, 배재학당 출신 인물 등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건물 1층의 경우에는 1930년대 배재학당 교실을 재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3층의 경우에는 회의실과 세미나실을 배치하였다.
지하층의 경우에는 박물관 운영을 위한 공간을 배치했다. 관장실, 학예연구실 등이 지하층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층 사무실의 벽체는 건립 당시 사용한 벽돌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이를 강화유리로 시공해 관람객들이 볼 수 있게끔 만들었다.
참고문헌
- [사진 출처: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0%B0%EC%9E%AC%ED%95%99%EB%8B%B9&searchCondition2=&ccbaKdcd=23&ccbaAsno=00160000&ccbaCtcd=11&ccbaCpno=233110016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 근대 건축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9), 154-175.
- 서울문화사학회, 서울문화재 나들이 (서울: 수서원, 2002), 138-139.
- "배재학당동관," 국가유산포털, 2024년 6월 10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0%B0%EC%9E%AC%ED%95%99%EB%8B%B9&searchCondition2=&ccbaKdcd=23&ccbaAsno=00160000&ccbaCtcd=11&ccbaCpno=233110016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
각주
- ↑ 培材學堂.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 ↑ 지붕창은 빛을 유도해 공간을 밝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 ↑ portico. 대형 건물 입구에 기둥을 받쳐 만든 현관 지붕 [출처: https://en.dict.naver.com/#/entry/enko/175435f23716433fa971888753568867]
- ↑ 박공은 건물의 입구 위쪽과 지붕 사이에 위치한, 삼각형의 마감장식을 한 건물의 벽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건물과 같이 장식을 하거나 특수한 형태로 된 경우에 그것을 페디먼트라고 부른다. 페디먼트는 그리스 신전 건축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색인데, 일반적으로 조각을 하고 세 꼭지에는 장식적인 벽돌을 붙인 것이 전형적이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9084&cid=40942&categoryId=33076]
- ↑ 1900년대 초 건물 상당수의 경우 지표면보다 바닥의 높이가 높게 지어진 것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