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부처 가운데 하나로 현재는 보살이지만 미래에 사바세계에 나타나서 석가모니의 뒤를 이어 중생을 구제한다는 부처 | + |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부처 가운데 하나로 현재는 보살이지만 미래에 사바세계에 나타나서 석가모니의 뒤를 이어 중생을 구제한다는 부처. |
===이름=== | ===이름===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등장== | ==등장== | ||
===유래=== | ===유래=== | ||
− | + | 불교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 중 하나인 ‘숫타니파타’에 멧떼이야(Metteyya)라는 이름의 제자가 등장하는데 멧떼이야의 이야기가 미륵 신앙의 유래로 보인다. | |
===등장 배경=== | ===등장 배경===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서신 여미리 석불입상 || [[파일:미륵불상1.jpg]]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15-17 | | 서신 여미리 석불입상 || [[파일:미륵불상1.jpg]]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15-17 | ||
|- | |- | ||
− |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파일:미륵불상2.jpg]]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 + |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파일:미륵불상2.jpg]]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
|- | |- |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파일:미륵불상3.jpg]]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파일:미륵불상3.jpg]]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
|} | |} | ||
+ | |||
+ | ==관련영상== | ||
+ | <html> | ||
+ | <iframe width="790" height="444" src="https://www.youtube.com/embed/ACCKyBgXt6M" title="지상에 내려온 미륵보살 이야기 - 자현스님의 붓다로드 46회"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참고자료== | ||
+ | *이수창, 미륵사상의 기원과 전개-초기경전과 미륵경전을 중심으로, 정토학연구, 제37권, 한국정토학회, 2022, p.45-77 | ||
[[분류:불교유물]] | [[분류:불교유물]] | ||
[[분류:고은비]] | [[분류:고은비]] |
2023년 12월 12일 (화) 00:15 기준 최신판
정의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부처 가운데 하나로 현재는 보살이지만 미래에 사바세계에 나타나서 석가모니의 뒤를 이어 중생을 구제한다는 부처.
이름
미륵은 산스크리트어로 마이트레야(Maitreya)이고, 미륵은 성씨이고 이름은 아지타(Ajita)이다. 이름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는 'loving-kindness'라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慈(사랑 자)'를 사용해서 자씨(慈氏)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등장
유래
불교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 중 하나인 ‘숫타니파타’에 멧떼이야(Metteyya)라는 이름의 제자가 등장하는데 멧떼이야의 이야기가 미륵 신앙의 유래로 보인다.
등장 배경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게 되는 괴로움이 있는데 현실이 고통스러울수록 괴로움이 없는 이상세계를 찾게 된다. 불교에서는 미륵신앙을 통해 미륵불의 이상세계를 설정하고 있다.
특징
자세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만들어진 미륵불상들은 대체로 두 다리를 내린 채 의자에 앉은 의좌세(倚坐勢)로 나타나며 이런 자세를 취한 의좌상은 미륵불상의 도상으로 확립되었다.
수인
미륵불상의 수인은 용화수 아래에서 펼쳐진 세 번의 설법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용화수인(龍華手印)이다. 용화수의 꽃을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받쳐서 들고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크기
미륵불상은 다른 불상에 비해서 크게 제작되었다. 현존하는 미륵불상은 대부분 10m 이상 크기의 대형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러가지 미륵불상
이름 | 사진 | 위치 |
---|---|---|
서신 여미리 석불입상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15-17 |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관련영상
참고자료
- 이수창, 미륵사상의 기원과 전개-초기경전과 미륵경전을 중심으로, 정토학연구, 제37권, 한국정토학회, 2022, p.4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