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정종명.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정종명]]
 
=='''개요'''==
 
=='''개요'''==
1920년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 졸업생인 정종명은 근우회의 중앙집행위원장을 맡는 등 여성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그녀는 여성해방을 위해서는 여성들의 각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계몽하는 일에 앞장섰다. 평생 편하게 살 수 있는 간호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었는데도 민족의 독립과 여성 해방을 꿈꾸며 끊임없이 모험하는 삶을 산 그녀는 “근우회의 투사”라고 불리며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와 역할부터 여성 해방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까지, 여성 운동의 관심사를 대변했다.
+
'''정종명'''(1896년~?)은 일제강점기 때 여성 운동의 중심에 서있었던 독립운동가이다. 3.1운동에 도움을 주었던 그녀는 1920년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를 졸업했으며 조선여성동우회, 근우회 등을 조직하였다. 그녀는 '근우회의 투사'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정종명은 여성으로서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위해 간호부의 길을 택했다. 3‧1운동이 발생한 1919년, 그는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양성소에 재학 중이었다. 정종명은 3‧1운동 중 시위 학생들의 연락을 돕고, 운동을 주도한 세브란스 출신 독립운동가 이갑성의 서류를 맡아둔 혐의로 체포됐다. 정종명의 주체적인 활동은 3‧1운동 이후에도 그치지 않았다. 1924년에는 조선여성동우회를 창립해 여성운동을 이끌고, 1929년에는 신간회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회운동에 뛰어들었다.
 
[https://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25596]
 
 
 
출처 : 연세춘추(http://chunchu.yonsei.ac.kr)
 
 
 
=='''개요'''==
 
'''정종영'''(1896년~?)은 일제강점기 때 여성 운동의 중심에 서있었던 독립운동가이다. 1920년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를 졸업했으며 조선여성동우회, 근우회 등을 조직하였다. 그녀는 '근우회의 투사'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정보'''==
 
=='''정보'''==
17번째 줄: 10번째 줄:
 
*학력: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sub>(졸업)</sub>
 
*학력: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sub>(졸업)</sub>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
+
=='''활동'''==
 +
===3.1 운동===
 +
세브란스병원 간호부 양성소에서 재학 중이던 1919년 3월 1일, 정종명은 시위 학생들의 연락을 받고 도움을 주었다. 운동을 주도한 세브란스 출신 독립운동가 이갑성의 서류를 맡아둔 혐의로 체포됐다.[https://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25596]
 +
 
 +
==='''여성 운동 조직'''===
 +
====여자고학생상조회(女子苦學生相助會)====
 +
*날짜: 1922년 4월 1일
 +
*함께 설립한 인물들: 김영준(金永俊), 전유덕(田有德), 유현숙(劉賢淑), 이완구(李玩昫) 등 20여 명의 신여성
 +
*위치: 서울
 +
*취지: 취약한 환경에 놓여 학업을 이어갈 수 없는 불우 여성에 대한 교육을 전담
 +
*의의: 여성운동의 또다른 경향과 분야를 개척
 +
====조선여성동우회(朝鮮女性同友會)====
 +
*날짜: 1925년 5월
 +
*함께 설립한 인물들:  박원희(朴元熙), 김필애(金弼愛), 정칠성(丁七星), 허정숙(許貞淑), 주세죽(朱世竹), 오수덕(吳壽德) 등 20여명
 +
*의의: 사회주의 사상을 배경으로 한 최초의 여성단체
 +
*강령: 여성해방과 단결
 +
====근우회(槿友會)====
 +
*영향: 1927년 2월 신간회(新幹會)<ref>1927년 2월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하여 서울에서 창립한 민족협동전선</ref> 가 조직의 영향을 받아 좌우합작과 민족유일당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됨
 +
*날짜: 1927년 5월 27일
 +
*위치: 서울
 +
*함께 설립한 인물들: 김활란(金活蘭), 황신덕(黃信德), 최은희(崔恩喜) 등 50여 명의 민족, 사회주의계 여성들
 +
*정종명의 역할: 정종명은 근우회의 지명 집행위원에 선임되어 근우회를 이끌어 가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함
 +
 
 +
===광주학생항일운동===
 +
1929년 12월 20일 광주학생운동에 관련된 혐의로 근우회의 허정숙, 유덕희(劉德姬), 박차정(朴次貞), 박호진(朴昊辰) 등과 같이 붙잡혔다.[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0889]
 +
 
 +
=='''각주'''==
 +
[[분류:독립운동고연전]][[분류:근대 역사 인물]][[분류:호두]]

2023년 12월 10일 (일) 23:59 기준 최신판

정종명

개요

정종명(1896년~?)은 일제강점기 때 여성 운동의 중심에 서있었던 독립운동가이다. 3.1운동에 도움을 주었던 그녀는 1920년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를 졸업했으며 조선여성동우회, 근우회 등을 조직하였다. 그녀는 '근우회의 투사'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정보

  • 출생: 1896년, 전라남도 목포
  • 국적: 대한민국
  • 성별: 여성
  • 사망: 미상
  • 학력: 세브란스 간호부 양성소(졸업)

활동

3.1 운동

세브란스병원 간호부 양성소에서 재학 중이던 1919년 3월 1일, 정종명은 시위 학생들의 연락을 받고 도움을 주었다. 운동을 주도한 세브란스 출신 독립운동가 이갑성의 서류를 맡아둔 혐의로 체포됐다.[1]

여성 운동 조직

여자고학생상조회(女子苦學生相助會)

  • 날짜: 1922년 4월 1일
  • 함께 설립한 인물들: 김영준(金永俊), 전유덕(田有德), 유현숙(劉賢淑), 이완구(李玩昫) 등 20여 명의 신여성
  • 위치: 서울
  • 취지: 취약한 환경에 놓여 학업을 이어갈 수 없는 불우 여성에 대한 교육을 전담
  • 의의: 여성운동의 또다른 경향과 분야를 개척

조선여성동우회(朝鮮女性同友會)

  • 날짜: 1925년 5월
  • 함께 설립한 인물들: 박원희(朴元熙), 김필애(金弼愛), 정칠성(丁七星), 허정숙(許貞淑), 주세죽(朱世竹), 오수덕(吳壽德) 등 20여명
  • 의의: 사회주의 사상을 배경으로 한 최초의 여성단체
  • 강령: 여성해방과 단결

근우회(槿友會)

  • 영향: 1927년 2월 신간회(新幹會)[1] 가 조직의 영향을 받아 좌우합작과 민족유일당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됨
  • 날짜: 1927년 5월 27일
  • 위치: 서울
  • 함께 설립한 인물들: 김활란(金活蘭), 황신덕(黃信德), 최은희(崔恩喜) 등 50여 명의 민족, 사회주의계 여성들
  • 정종명의 역할: 정종명은 근우회의 지명 집행위원에 선임되어 근우회를 이끌어 가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함

광주학생항일운동

1929년 12월 20일 광주학생운동에 관련된 혐의로 근우회의 허정숙, 유덕희(劉德姬), 박차정(朴次貞), 박호진(朴昊辰) 등과 같이 붙잡혔다.[2]

각주

  1. 1927년 2월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하여 서울에서 창립한 민족협동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