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21867998.35964834!2d66.9045435!3d48.005336250000006!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8a91007ecfca947%3A0x5f7b842fe4b30e1b!2z7Lm07J6Q7Z2Q7Iqk7YOE!5e0!3m2!1sko!2skr!4v1701933981425!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br>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21867998.35964834!2d66.9045435!3d48.005336250000006!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8a91007ecfca947%3A0x5f7b842fe4b30e1b!2z7Lm07J6Q7Z2Q7Iqk7YOE!5e0!3m2!1sko!2skr!4v1701933981425!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br> | ||
* 고려인: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 | * 고려인: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 | ||
− | * 고려말: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 + | * <span style="background:#CEECF5">고려말</span>: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
− | ** 한국어의 지역 방언에서 기원했다고 볼 수 | + | ** 한국어의 지역 방언에서 기원했다고 볼 수 있음 -> <span style="background:#CEECF5">구소련 영역에 거주하던 한인들의 이주 역사</span>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
− | ** 1863년부터 재해를 피해 함경북도 주민들이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하기 | + | ** 1863년부터 재해를 피해 함경북도 주민들이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하기 시작 + 1973년에는 강제 이주 단행 |
− | ** 지금까지 한국어와 교류가 단절된 상황 속에서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 + | ** 지금까지 한국어와 교류가 단절된 상황 속에서 <span style="background:#CEECF5">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span>을 지니게 되었다. |
− | ** 이주 초기에는 대체로 육진 | + | ** 이주 초기에는 대체로 '''육진 방언'''과 '''함경 방언'''의 특징이 많이 보였다. |
==방언 특징== | ==방언 특징== | ||
+ | ===대표적인 고려말===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 | |+ <대표적인 고려말> | ||
+ | ! 고려말 || 의미 || 사진 | ||
+ | |- | ||
+ | | 북탸이 (Пуктяй) || 된장국(볶다 + 러시아어로 된장을 의미하닌 '탸이' || [[파일:된장국.jpg|100픽셀]] | ||
+ | |- | ||
+ | | 침치 (Чимчи) || 김치 || [[파일:김치.jpg|100픽셀]] | ||
+ | |- | ||
+ | | 감자떡이 (Камди ттоги) || 감자떡 || [[파일:감자떡.jpg|100픽셀]] | ||
+ | |- | ||
+ | | 아디바이 (Адибай) || 작은 아버지 || | ||
+ | |- | ||
+ | | 간자이 (ганджай) || 간장 || | ||
+ | |- | ||
+ | | 마르코프챠 (Марковча) || 당근반찬 || [[파일:당근반찬.jpg|100픽셀]] | ||
+ | |- | ||
+ | | 국시 (Кукси) || 잔치국수 || [[파일:잔치국수.jpg|100픽셀]] | ||
+ | |- | ||
+ | | 찰떠기 (Чимпени 또는 чартоги) || 러시아식 떡 || [[파일:떡.jpg|100픽셀]] | ||
+ | |} | ||
+ | ===러시아어와의 접촉=== | ||
+ | * 기존 함북방언과 고려말에 존재하던 3등급의 상대경어법(하압소, 하오, 해라) 중에서 '하오체'가 줄어들고 있다. | ||
+ | * 일상적으로 러시아어를 구사하던 젊은 사람들이 친족명칭만은 고려말을 사용했었는데 -> 부모 호칭어는 러시아어 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 ||
+ | * '과찌라(아파트)'와 같이 대체할 고려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러시아어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 ||
− | == | + | ==유래== |
− | * 대부분의 노년층이 사용하는 고려말은 함북의 육진방언을 | + | * 대부분의 노년층이 사용하는 고려말은 <span style="background:#CEECF5">함북의 육진방언을 바탕</span>으로 한다. |
* 따라서 육진방언과 기타 함북의 지역 방언들이 결합된 성격을 보인다. | * 따라서 육진방언과 기타 함북의 지역 방언들이 결합된 성격을 보인다. | ||
− | + | *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던 화자들이 중앙아시아에 모여살게 된 후 고려말은 <span style="background:#CEECF5">'수평화'</span>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 |
+ | ** 육진방언이 수적으로 우세했기 때문에 비육진방언 화자들이 육진방언을 따라가려는 경향이 있었다. | ||
+ | ** 수평화 과정에서 수적으로 열세에 있던 방언들이 소멸한 것이다. | ||
+ | ** 이후 우월 관계가 변화하더라도 고착화된 언어는 변하지 않았다. | ||
아디바이: 육진방언을 닮아가고자 하는 비육진방언 화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어 | 아디바이: 육진방언을 닮아가고자 하는 비육진방언 화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어 | ||
녀자 -> 여자: 치음 뒤 활음 탈락 현상 | 녀자 -> 여자: 치음 뒤 활음 탈락 현상 | ||
− | + | * 친족명칭의 대부분은 육진방언과 일치 (음운적 특징은 함북 남부의 방언과 유사) | |
백부/외숙 | 백부/외숙 | ||
- 육진방언: 맏(몯)아바니 | - 육진방언: 맏(몯)아바니 | ||
- 맏아배 | - 맏아배 | ||
- 맏아바이 | - 맏아바이 | ||
− | + | * 육진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읍꾸마/-습꾸마', '-음둥/-슴둥' 등의 종결어미가 나타난다. | |
− | + | * 그러나 노년층 아래 세대는 비육진방언의 특징이 강한 고려말을 사용하고 있다. | |
==사례== | ==사례== | ||
+ | * 실제 고려인 할머니와의 대화 | ||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6KhoWjhaYBc?si=ZuZBX3JIc8x_60Xc"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고려말'로 듣는 고려인의 삶 | ||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0_B4ZOiRxbA?si=jLGeV8pwp9qK7Nh3"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참고문헌== | ||
+ | 고려말 (高麗말) . (n.d.).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192. </br> | ||
+ | 곽충구. (n.d.).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역사와 그 언어적 성격. 冠嶽語文研究, 29, pp. 127-168. </br> | ||
+ | 곽충구. (n.d.).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자료와 연구. 인문논총, 58, pp. 231-272. </br> | ||
[[분류: 매체속의방언]] | [[분류: 매체속의방언]] | ||
[[분류: 혜가지니]] | [[분류: 혜가지니]] |
2023년 12월 11일 (월) 16:37 기준 최신판
지역
- 고려인: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
- 고려말: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 한국어의 지역 방언에서 기원했다고 볼 수 있음 -> 구소련 영역에 거주하던 한인들의 이주 역사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 1863년부터 재해를 피해 함경북도 주민들이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하기 시작 + 1973년에는 강제 이주 단행
- 지금까지 한국어와 교류가 단절된 상황 속에서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 이주 초기에는 대체로 육진 방언과 함경 방언의 특징이 많이 보였다.
방언 특징
대표적인 고려말
러시아어와의 접촉
- 기존 함북방언과 고려말에 존재하던 3등급의 상대경어법(하압소, 하오, 해라) 중에서 '하오체'가 줄어들고 있다.
- 일상적으로 러시아어를 구사하던 젊은 사람들이 친족명칭만은 고려말을 사용했었는데 -> 부모 호칭어는 러시아어 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 '과찌라(아파트)'와 같이 대체할 고려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러시아어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유래
- 대부분의 노년층이 사용하는 고려말은 함북의 육진방언을 바탕으로 한다.
- 따라서 육진방언과 기타 함북의 지역 방언들이 결합된 성격을 보인다.
-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던 화자들이 중앙아시아에 모여살게 된 후 고려말은 '수평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 육진방언이 수적으로 우세했기 때문에 비육진방언 화자들이 육진방언을 따라가려는 경향이 있었다.
- 수평화 과정에서 수적으로 열세에 있던 방언들이 소멸한 것이다.
- 이후 우월 관계가 변화하더라도 고착화된 언어는 변하지 않았다.
아디바이: 육진방언을 닮아가고자 하는 비육진방언 화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어 녀자 -> 여자: 치음 뒤 활음 탈락 현상
- 친족명칭의 대부분은 육진방언과 일치 (음운적 특징은 함북 남부의 방언과 유사)
백부/외숙 - 육진방언: 맏(몯)아바니 - 맏아배 - 맏아바이
- 육진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읍꾸마/-습꾸마', '-음둥/-슴둥' 등의 종결어미가 나타난다.
- 그러나 노년층 아래 세대는 비육진방언의 특징이 강한 고려말을 사용하고 있다.
사례
- 실제 고려인 할머니와의 대화
- '고려말'로 듣는 고려인의 삶
참고문헌
고려말 (高麗말) . (n.d.).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192.
곽충구. (n.d.).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역사와 그 언어적 성격. 冠嶽語文研究, 29, pp. 127-168.
곽충구. (n.d.).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자료와 연구. 인문논총, 58, pp. 23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