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아디바이: 육진방언을 닮아가고자 하는 비육진방언 화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어 | 아디바이: 육진방언을 닮아가고자 하는 비육진방언 화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어 | ||
녀자 -> 여자: 치음 뒤 활음 탈락 현상 | 녀자 -> 여자: 치음 뒤 활음 탈락 현상 | ||
− | ** | + | ** 친족명칭의 대부분은 육진방언과 일치하며, 음운적 특징은 함북 남부의 방언과 유사하다. |
+ | 백부/외숙 | ||
+ | - 육진방언: 맏(몯)아바니 | ||
+ | - 맏아배 | ||
+ | - 맏아바이 | ||
+ | ** 육진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읍꾸마/-습꾸마', '-음둥/-슴둥' 등의 종결어미가 나타난다. | ||
+ | ** 그러나 노년층 아래 세대는 비육진방언의 특징이 강한 고려말을 사용하고 있다. | ||
==사례== | ==사례== |
2023년 12월 7일 (목) 16:32 판
지역
- 고려인: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
- 고려말: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 한국어의 지역 방언에서 기원했다고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구소련의 영역에 거주하던 한인들의 이주 역사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 1863년부터 재해를 피해 함경북도 주민들이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으며, 1973년에는 강제 이주가 단행되었다.
- 지금까지 한국어와 교류가 단절된 상황 속에서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 이주 초기에는 대체로 육진 방언과 함경 방언의 특징이 많이 보였다.
방언 특징
유례
- 대부분의 노년층이 사용하는 고려말은 함북의 육진방언을 바탕으로 한다.
- 따라서 육진방언과 기타 함북의 지역 방언들이 결합된 성격을 보인다.
-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던 화자들이 중앙아시아에 모여살게 된 후 고려말은 '수평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육진방언이 수적으로 우세했기 때문에 비육진방언 화자들이 육진방언을 따라가려는 경향이 있었다. 수평화 과정에서 수적으로 열세에 있던 방언들이 소멸한 것이다. 이후 우월 관계가 변화하더라도 고착화된 언어는 변하지 않았다.
아디바이: 육진방언을 닮아가고자 하는 비육진방언 화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어 녀자 -> 여자: 치음 뒤 활음 탈락 현상
- 친족명칭의 대부분은 육진방언과 일치하며, 음운적 특징은 함북 남부의 방언과 유사하다.
백부/외숙 - 육진방언: 맏(몯)아바니 - 맏아배 - 맏아바이
- 육진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읍꾸마/-습꾸마', '-음둥/-슴둥' 등의 종결어미가 나타난다.
- 그러나 노년층 아래 세대는 비육진방언의 특징이 강한 고려말을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