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
1987 | |
---|---|
감독 | 장준환 |
출연 |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강동원 등 |
제작사 | ㈜우정필름, 영화사 연두 |
배급사 | CJ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2017년 12월 27일 |
개요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시작으로 6월 항쟁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된 1987년의 사건들을 담고 있다.
평점
IMDs사이트 기준 7.8/10
줄거리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한다. 증거인멸을 위해 박처장(김윤석)의 주도 하에 경찰은 시신 화장을 요청하지만, 사망 당일 당직이었던 최검사(하정우)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인다.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를 이어가는 경찰. 그러나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가리키고, 사건을 취재하던 윤기자(이희준)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를 보도한다. 이에 박처장은 조반장(박희순)등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 한다.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김태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되는데… 한 사람이 죽고,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모두가 뜨거웠던 1987년의 이야기. [1]
등장인물
김윤석(박처원 역) 하정우(최환 역) 유해진(한병용 역) 김태리(연희 역) 박희순(조한경 역) 이희준(윤상삼 역)
배경사건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이 사건은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사건이다. 경찰은 박종철에게 폭행과 전기고문, 물고문 등을 가했다. 박종철은 1987년 1월 14일 치안본부 대공수사단 남영동 분실 509호 조사실에서 사망했다. 같은 달 15일강민창 치안본부장은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발표했다. “냉수를 몇 컵 마신 후 심문을 시작, 박종철군의 친구의 소재를 묻던 중 갑자기 ‘억’ 소리를 지르면서 쓰러져, 중앙대 부속 병원으로 옮겼으나, 12시경 사망하였다”고 공식 발표했다. 부검의(剖檢醫)의 증언과 언론 보도 등으로 의혹이 제기되자 사건발생 5일 만인 19일에 물고문 사실을 공식 시인했다. 수사경관 조한경과 강진규 등 2명을 구속했다. 1987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 7주기 추모미사에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김승훈 신부는 박종철 고문치사와 관련된 경찰의 은폐 조작을 폭로했다. 치안본부 5차장 박처원 등 대공간부 3명이 이 사건을 축소 조작하였고, 고문가담 경관이 2명이 아니라 5명이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안기부, 법무부, 내무부, 검찰, 청와대 비서실 및 이들 기관의 기관장이 참여하는 관계기관대책회의가 은폐 조작에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박종철 고문치사와 은폐 조작사건은 전두환정권의 정당성에 큰 타격을 주었고 정권 규탄 시위를 촉발했다. 이 사건은 1987년 6월항쟁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여 민주화운동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2]
배경사건과의 차이점
실체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영화라서 조금은 감독, 또는 제작진이 스토리를 만드는 점도 있지만 주로 되는 사건 박종철고문치사사건은 그대로 반영되어있다. 등장인물도 실재 인물이 모델입니다. 여진구가 박종철 역을 맡았고, 강동원가 이한열 역을 맡았고, 또 박종철의 사인을 전했던 의사도 실체로 존재하는 인물을 모델로 하였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학생,의사, 기사까지 많은 인물들이 실체 인물을 모델로 연출되었다.
흥행
누적 관객수 7,232,452명으로 상영을 종료하였다. 또한 누적매출액은 58,170,216,145원에 달했다. [3]
가격
80000원. 실체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이거 그 사건이 한명의 대학생을 주인공으로 되는 것이라서 현재 대학생인 저는 보면서 더 느끼는 것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로 더 집중이 되었고, 영화제작중에 배우들이 실체로 사건에 관여하는 사람들과 만나면서 이야기를 나눴다는 것도 영화의 질에 큰 영향을 줬던 포인트이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