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의 노트르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줄거리

1482년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주교 프롤로는 어릴적 집시에게서 버려진 꼽추 콰지모도를 성당의 종지기로 삼는다. 프롤로 주교는 성당 앞 광장에서 집시여인 에스메랄다가 춤추는 모습을 우연히 본 후 첫눈에 반해 종교적 신념과 인간적인 감정 사이에서 갈등하게 된다. 욕망에 흔들리던 프롤로는 결국 콰지모도에게 에스메랄다를 납치해 올 것을 명령하였다. 콰지모도가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려는 순간, 파리의 근위대장 페뷔스가 나타나 그녀를 구하고 콰지모도를 체포한다. 페뷔스는 플뢰르 드 리스와 이미 약혼한 사이지만 에스메랄다에게 첫눈에 반해 사랑에 빠지게 된다. 바퀴형들에 묶여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콰지모도에게 에스메랄다가 물을 건네고,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의 따스한 손길에 사랑을 느끼게 된다. 이루어질 수 없는 욕망과 질투심에 눈 먼 프롤로 주교는 에스메랄다를 만나러 가는 근위대장 페뷔스를 미행하여 그를 칼로 찌르고 만다. 프롤로는 오히려 자신의 죄를 에스메랄다에게 누명을 씌워 감옥에 가두고, 이 사실을 모르는 콰지모도는 종 치는 일도 잊은 채 슬픔에 잠긴다. 칼에 찔렸으나 목숨을 건진 페뷔스는 약혼녀 플뢰르에게 돌아가고, 질투에 눈이 먼 플뢰르 드 리스는 그에게 에스메랄다를 교수형 시킬 것을 요구한다. 프롤로는 감옥에 갇힌 에스메랄다를 찾아가 목숨을 담보로 사랑을 강요하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에스메랄다는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라도 끝까지 페뷔스와의 사랑을 지키려고 한다.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구출하기 위해 클로팽과 집시 무리를 탈옥시키고, 에스메랄다는 콰지모도의 도움을 받아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피산한다. 하지만 프롤로의 명을 받은 페뷔스와 병사들이 탈옥한 집시들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클로팽은 죽음을 맞고, 집시들은 추방되며 에스메랄다는 다시 체포된다. 콰지모도는 교수형 당하는 에스메랄다를 보며 배신감을 못 이긴 나머지 결국 프롤로를 계단 밑으로 밀어버리고, 싸늘해진 에스메랄다의 주검을 부둥켜안고 절규한다.

인물

  • 콰지모도

맑은 영혼을 가진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치기이다. 추악한 얼굴의 꼽추이지만 에스메랄다를 진심으로 사랑한다.

  • 에스메랄다

아름답고 순진한 집시여인으로 콰지모도에게 여러 번의 도움을 받고 서로 소중한 친구가 된다. 콰지모도와 페뷔스, 프롤로 세 남자에게 사랑을 받게 된다.

  • 클로팽 트루유푸

파리의 거지와 집시 등이 숨어 사는 기적궁의 왕이다. 집시들의 두목으로, 평등하고 개방적인 이상적 사회를 꿈꾸는 카리스마 강한 인물이다.

  • 클로드 프롤로

노트르담 대성당의 신부이다. 평소 금욕적으로 살아왔지만 춤추는 에스메랄다를 보고 첫눈에 반해 광기에 가까운 집착을 보인다.

  • 페뷔스 드 샤토페르

파리의 근위대장으로 에스메랄다를 곤경에서 구해주면서 사랑에 빠지지만 이미 약혼녀가 있는 상태이다. 자신의 약혼녀 플뢰르와 에스메랄다 사이에서 갈등한다.

  • 피에르 그랭구아르

파리 거리의 음유시인으로 극의 서사를 담당하고 있다.

  • 플뢰르 드 리스 드 공들로리에

페뷔스의 약혼녀로 질투심에 불타 에스메랄다를 죽음에 이르도록 일조한다.

특징

프랑스 낭만주의 초기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15세기 프랑스 왕국을 배경으로, 어렸을 때 버려진 뒤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가 된 꼽추 콰지모도와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 콰지모도의 보호자 주교 클로드 프롤로가 벌이는 일을 다룬 비극, 프랑스어 원제대로 노트르담 대성당이 주무대가 된다.

보통 콰지모도가 소설의 주인공인 걸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콰지모도의 이야기는 초반 잠깐과 마지막 잠깐만 서술되어 있을뿐, 소설의 초점은 오히려 클로드 프롤로 개인의 고뇌와 에스메랄다의 인생에 집중되어 있다.

인물 관계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건축양식에 대한 설명도 잘 묘사되어 있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