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양정
목차
일양정
일양정
- 벽수산장 본채의 중심건물인 일양정은 윤덕영이 청휘각을 계승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새로 지은 건물로 양관 뒤쪽에 위치하여 본채 역할을 하는 한옥이였다. 본채 중에서 사랑채에 해당하는 ‘일양정’은 윤덕영이 손님 접대 등 공적인 장소로 활용한 중요 공간이다. 벽수산장의 주인인 윤덕영이 쓴 4편은 모두 일양정에 관한 글이다. 「일양정십팔영」은 일양정에서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풍광 18가지를 시로 읊은 것이다.
년도별
- 1875년에 지어졌다는 주장도 있고 벽수산장과 함께 1910년에 지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1915년 지형도를 토대로 옥인동 47-269·161번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일양정은 1969년에 철거되었다.
특징
- 일양정은 정면 5칸의 장대석과 벽돌 조적으로 혼합 구성된 1.5m정도 높이의 단 위에 축조된 건물이다. 지붕의 처마끝의 빗물받이와 기단 형태로 보아 전통적인 한옥의 형태가 아니라 과도기적 양식을 보인다. 그러나 건물의 격은 각 기둥에 주련이 걸려있을 정도로 높다.
일양정십팔영
개요
「일양정십팔영」은 일양정이 입지한 공간에서 향유할 수 있는 경관을 서술하고 있다. 일양정의 위치는 역사적 유래를 지닌 장소 였으면 윤덕영은 이 장소에서 즐길수있는 요소 자연물, 정원건축물, 정원구조물, 기상현상등을 향유대상으로서 구분하여 일양정십팔영을 작성하였다.정원 구조물로는 우물, 연못, 홍교, 뜰이 해당되며 각 구조물은 부연적 설명을 포함하였대. 항유대상에서 자연물의 비중이 높으면 주변의 기암절벽, 노송과 바위, 이끼, 단풍나무 계곡, 폭포, 시냇물, 숲이다. 또한 일양정에서의 향유 요소는 단지 경관뿐만 아니라 일시적 기상상황, 상쾌한 기운, 그늘, 눈, 달맞이가 포함된 공감각적인 요소까지 향유할려고 하였다.
일양정 향유대상 온톨로지
- 일양정에서 향유할 수 있는 대상을 구분하였다.
클래스(Class)
- 자신이 설계한 클래스(Class)를 나열하고, 각각의 클래스의 의미를 설명하고, 클래스에 해당되는 노드를 작성합니다.
- 표, 목록(*, #) 등 자유로운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
- 예:
클래스 | 설명 | 노드 |
---|---|---|
주제 |
대표 키워드인 일양정을 주제로서 나타내었다 |
일양정 |
내용 |
일양정십팔영따르면 윤덕영은 면 일양정의 장소에서 항유 할수 있는 것들을 자연물이나 기상현상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이 내용을 작성하였다. |
백악한운 옥류창벽 가재감천 일양정좌 백미원도 고송청뢰 수석노태 화원소작 풍계만음 층암비폭 첩장제설 북각관등 동루요월 구지유어 홍교장수 고류음정 장림호경 |
공간구분 |
항유 대상의 위치를 구분하였다. |
외원 내원 |
향유대상 |
일양정십팔영 '내용'에 따른 향유대상 |
자연물 기상현상 |
공감각적요소 |
오감을 이용해서 향유대상을 느끼려고 하였음 |
촉각 청각 |
관계성(Relation)
- 자신이 설계한 관계성(Relation)을 나열하고, 각각의 관계의 의미를 설명하고, 관계성에 해당되는 두 노드(source, target)를 작성합니다.
- 표, 목록(*, #) 등 자유로운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
- 예:
- 에_해당하다
- 설명: 내용에 실려있는 것을 의미하다.
- 해당노드:
- 인왕상기 → 일양정십팔영
- 백악한운 → 일양정십팔영
- 옥류창벽 → 일양정십팔영
- 가재감천 → 일양정십팔영
- 일양정좌 → 일양정십팔영
- 백미원도 → 일양정십팔영
- 고송청뢰 → 일양정십팔영
- 수석노태 → 일양정십팔영
- 화원소작 → 일양정십팔영
- 풍계만음 → 일양정십팔영
- 층암비폭 → 일양정십팔영
- 첩장제설 → 일양정십팔영
- 북각관등 → 일양정십팔영
- 동루요월 → 일양정십팔영
- 구지유어 → 일양정십팔영
- 홍교장수 → 일양정십팔영
- 고류음정 → 일양정십팔영
- 장림호경 → 일양정십팔영
- 에_위치이다
- 설명: 향유할 수 있는 대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었다.
- 해당노드:
- 인왕상기 → 외원
- 백악한운 → 외원
- 백미원도 → 외원
- 옥류창벽 → 내원
- 일양정좌 → 내원
- 고송청뢰 → 내원
- 수석노태 → 내원
- 화원소작 → 내원
- 풍계만음 → 내원
- 층암비폭 → 내원
- 첩장제설 → 내원
- 북각관등 → 내원
- 동루요월 → 내원
- 구지유어 → 내원
- 홍교장수 → 내원
- 고류음정 → 내원
- 장림호경 → 내원
- 에_해당하다
내용
- 인왕상기(仁王爽氣) 인왕산의 상쾌한 기운
- 백악한운(白嶽閒雲) 백악산의 한가로운 구름
- 옥류창벽(玉流蒼壁) 옥류동의 푸르른 절벽
- 가재감천(稼齋藥泉) 가재우물의 효능 좋은 우물
- 일양정좌(一陽靜坐) 일양정의 고요한 자리
- 백미원도(百美遠桃) 만발한 저 멀리 복숭아꽃
- 고송청뢰(古松淸籟) 늙은 소나무와 청아한 울림소리
- 수석노태(壽石老苔) 아름다운 바위와 오래된 이끼
- 화원소작(花園小酌) 꽃밭의 간단한 술자리
- 풍계만음(楓溪晩吟) 단풍나무 계곡의 느린 노래
- 층암비폭(層巖飛瀑) 켜켜히 바위와 날아갈듯한 폭포
- 첩장제설(疊嶂霽雪) 켜켜히 싸인 산에 개인 눈
- 북각관등(北閣觀燈) 북쪽 건물에서 바라본 등
- 동루요월(東樓邀月) 동쪽 루정에서의 달맞이
- 구지유어(龜池遊漁) 거북바위 연못에서 노니는 물고기
- 홍교장수(虹橋漲水) 무지개 다리의 넘치는 물
- 고류음정(高柳陰庭) 키큰 버드나무가 있는 그늘진 뜰
- 장림호경(長林護境) 긴 숲의 그윽한 경치
참고문헌
김해경 . “벽수산장으로 본 근대정원의 조영기법 해석” (PDF).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각주
- ↑ 김해경 . “벽수산장으로 본 근대정원의 조영기법 해석” (PDF).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