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본풀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공본풀이.jpg
<이공본풀이> 주인공 할락궁이(한락궁이)



정의

<이공본풀이>는 굿 속에서 이공신의 내력을 노래로 풀어 서천꽃밭의 꽃을 관리하는 신인 꽃감관, 할락궁이의 좌정의 이야기이다.

줄거리

<이공본풀이>는 전통 큰 굿의 열두 거리 중 네 번째 거리인 이공맞이제에서 불렸던 신화적 내용이다. 여기에는 많은 이본이 존재하며 각각의 차이가 존재한다. 다음은 많은 이본 중 주로 회자되는 줄거리이다.

김진국과 임진국은 친구사이로, 김진국은 가난하였으며, 임진국은 천하거부였다. 그러나 이 둘은 40이 넘도록 자식이 없어 절에 공양을 드린다. 집으로 돌아와 합궁일을 받아 자식을 점지받고 임정국은 딸을 낳아 원강아미라 이름짓고, 김진국은 아들을 낳아 사라도령이라 이름 짓는다. 후에 자식들이 자라 사라도령과 원강아미는 결혼하여 살았다. 그러던 중, 옥황상제의 사자(편지)가 와서 사라도령을 꽃감관의 직책을 맡기고 부르므로 차마 헤어질 수 없었던 부부는 함께 서천꽃밭으로 가기로 한다. 길을 떠나던 도중에 임신 중이던 원강아미가 발병이 나 부인은 사라도령에게 자신을 제인장자의 집에 종으로 팔아두고 떠나라고 애원한다. 사라도령은 자식의 이름을 지어주고 나서 빗(증표)를 남긴 채 길을 재촉하여 떠난다. 한편, 제인장자는 원강아미에게 몸을 요구하나 이를 수차례 거절하고 아들 할락궁이를 낳아 길렀다. 자라면서 할락궁이와 부인은 제인장자에게 갖은 시련을 당하다가 할락궁이가 열다섯이 되고 어머니에게 아버지를 물으니 제인장자라 하는데, 나중서야 어머니께 바른 말을 듣고 빗(증표) 한 쪽을 받는다. 어느 날, 할락궁이는 어머니께 메밀범벅 세 덩이를 부탁해서 아버지를 찾아 서천꽃밭으로 도망을 치게 된다. 장자 집 개 천리둥이와 만리둥이를 메밀범벅으로 따돌리고 잔등에 차는 물, 목까지 차는 물을 건너니 서천꽃밭이다. 한편 제인장자는 할락궁이가 도망한 것을 알고 그 벌로 할락궁이의 어머니를 죽인다. 할락궁이는 서천꽃밭에서 아버지를 만나고 환생꽃을 얻어 그것으로 어머니를 회생시키고 수레멜망악심꽃으로 제인장자네 일족을 모두 죽인다. 그리고 어머니를 살려내고 모자가 함께 서천꽃밭으로 돌아가 할락궁이는 꽃감관이 되고 사라도령은 꽃밭대왕이 되고, 원강아미는 저승어멍이 된다.

분석

'김진국과 임진국의 오래도록 자식이 없는 설정': <이공본풀이>가 불려지던 과거에는 사오십이면 노인 취급을 했고 10대 중반이면 성인으로 간주했었다. 사십 넘도록 자식 없음과 같은 설정은 자식을 얻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고 다른 신화처럼 주인공의 신기한 탄생이라고 보여진다.

'가난한 김진국과 천하거부인 임진국의 대비': <이공본풀이>에서의 신화적 내용을 제외한 현실적 요소이다. 김진국과 임진국의 빈부격차는 가난과 부의 극복으로써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설정이고 이것은 민중의 위상과 동질성을 부여해 사람들에게 희망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사라도령이 사천꽃감관 직책을 맡은 이유': <이공본풀이>에서 영웅적이고 신이한 능력을 가진 할락궁이와 대비해서 사라도령은 가난하고 신이한 능력마저 없어 보이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것은 민중들의 고된 삶을 해당 신화로 하여금 해소하려고 보여진다. 이런 관점에서 가난한 김진국의 아들인 사라도령이 사천꽃감관이라는 직책까지 맡게 되며 신분상승하는 것은 대부분 가난하게 살았던 민중들의 민중적 희망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모티프

<이공본풀이>는 '서천꽃밭 모티프'를 포함한다.

<이공본풀이>에서의 '서천꽃밭'은 죽은 생명을 다시 살려내는 생명의 꽃이 피어 있는 공간인 동시에 악인을 벌할 수 있는 죽음의 꽃도 피어있는 곳이고, 성스러운 공간이며, 이승이나, 저승, 또는 천상계와도 구분되는 특수한 공간이다. 이는 삶과 죽음을 연결시켜 주는 신이한 공간으로 죽음에 대해 초연하고 위로를 받으려는 민중들의 의식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의의

<이공본풀이>는 서사무가로서 무당들이 굿을 하면서 부른다는 점에서 무가의 형태이면서 이야기를 서사의 형태로 들려준다는 점에서 구비서사시의 성격을 가진 한국 고유의 전통 문학이다. 현대에서 <이공본풀이>는 무가의 종교적인 관점과 의례적인 측면에서, 문학적인 면에서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연구할 가치가 매우 높다.

발원지

창작물

웹툰 신과함께.jpg 웹툰 ‘신과함께 에서 <이공본풀이>가 등장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이공본풀이'
김창일, '무속신화에 나타난 꽃밭의 의미 연구', 2006, 한국무속학 제11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