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로 각색된 파리의 노트르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프랑스 뮤지컬이다. 1998년에 초연되었으며, 이후 20년동안 전 세계 20개국에서 총4000회 이상 공연되었으며 1500먼 이상 누적 관객을 기록하였다.

국내에서는 2005년 내한공연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시놉시스

1482년, 파리를 뒤흔든 욕망과 사랑의 이야기!

이 이야기는 파리의 음유시인 그랭구와르의 새로운 시대에 대한 서곡으로 시작한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프롤로 주교는 꼽추 종지기 콰지모도를 충직한 종으로 삼고 있다.

한편 성당 앞 광장에 모여 사는 집시들. 그 곳에 클로팽과 아름다운 여인 에스메랄다가 산다.

에스메랄다의 춤추는 모습을 우연히 본 후 프롤로 주교는 그녀를 향한 욕망에 휩싸이고,

근위대장 페뷔스는 약혼녀인 플뢰르 드 리스를 두고 에스메랄다와 사랑에 빠진다.

그 후 에스메랄다를 향한 안타까운 세남자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한 여인에 대한 이들의 엇갈린 감정은 숙명적인 비극으로 치닫게 되는데..

줄거리

  • ACT1"때는 1482년 파리, 욕망과 사랑의 이야기"

이야기는 파리의 음유시인 그랭구와르의 새로운 시대에 대한 서곡으로 시작한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주교 프롤로는 어릴 적 버려진 꼽추 콰지모도를 성당의 종지기로 키워 충직한 종으로 삼는다. 성당 앞 광장에 모여 사는 집시들. 그곳에 클로팽과 아름다운 여인 에스메랄다가 산다. 프롤로 주교는 에스메랄다의 춤추는 모습을 우연히 본 후 점점 그녀에게 빠져들어 가는 자신의 모습에 당황하고 갈등한다. 욕망에 흔들리던 프롤로는 콰지모도에게 에스메랄다의 납치를 명한다. 콰지모도가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려는 순간, 근위대장 페뷔스가 나타나 그녀를 구하고 콰지모도를 체포한다. 페뷔스는 플뢰르 드 리스와 이미 약혼한 사이지만 에스메랄다에게 첫 눈에 반해 사랑에 빠진다. 체포된 콰지모도는 바퀴형틀에 묶여 애타게 물을 찾지만, 모든 군중과 그의 주인 프롤로 마저 외면한다. 이 때 에스메랄다가 나타나 콰지모도에게 물을 건네고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의 따스한 손길에 갈등한다. 에스메랄다를 향한 안타까운 사랑의 콰지모도, 집착의 프롤로, 욕망의 페뷔스, 이들이 부르는 삼색의 노래. 아름답다(Belle)! 이루어질 수 없는 욕망과 질투심에 눈 먼 프롤로 주교는 에스메랄다를 만나러 가는 페뷔스를 미행하여 그를 칼로 찌르고, 그랭구와르는 누구도 벗어날 수 없는 숙명을 노래한다.

  • ACT2"함께 갈 수 있다면 죽음도 두렵지 않아"

프롤로는 자신의 죄를 에스메랄다에게 누명을 씌워 감옥에 가둔다. 이를 모르는 콰지모도는 종 치는 일도 잊은 채 슬픔에 잠겨 헤맨다. 클로팽과 집시들도 도시의 질서를 어지럽힌다는 이유로 체포한다. 칼에 찔렸으나 목숨을 건진 페뷔스는 약혼녀 플뢰르 드 리스에게 돌아가고 플뢰르 드 리스는 그에게 에스메랄다를 교수형 시킬 것을 요구한다. 프롤로는 감옥에 갇힌 에스메랄다를 찾아가 목숨을 담보로 사랑을 강요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에스메랄다는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라도 끝까지 페뷔스와의 사랑을 지키려고 한다. 한편,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구출하기 위해 클로팽과 집시 무리를 탈옥시키고 에스메랄다는 콰지모도의 도움을 받아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피신한다. 하지만 프롤로의 명을 받은 페뷔스와 병사들이 탈옥한 집시들을 공격해 클로팽은 죽음을 맞고, 집시들은 추방되며, 에스메랄다는 다시 체포된다. 콰지모도는 교수형 당하는 에스메랄다를 보며, 배신감을 못 이긴 나머지 결국 프롤로를 계단 밑으로 밀어버린다. 콰지모도는 싸늘해진 에스메랄다의 주검을 부둥켜 안고 절규한다. 파리를 배경으로 펼쳐진 안타까운 사랑 이야기는 그의 애절한 노래로 막을 내린다.

등장인물

(1998년 초연 당시 등장인물을 기준으로 소개함)

  • 에스메랄다 : 엘렌 세가라(Helene Segara)
  • 콰지모도 : 가루(Garou)
  • 프롤로 : 다니엘 라부아(Daniel Lavoie)
  • 페뷔스: 파트릭 피오리(Patrick Fiori)
  • 플뢰르 드 리스 : 쥘리 제나티 (Julie Zenatti)
  • 그랭구아르 : 브루노 펠티에(Bruno Pelletier) / 마테오 세티(Matteo Setti)
  • 클로팽 : 뤼크 메르빌(Luck Mervil)

특징

뮤지컬 넘버에 팝적인 소스를 활용하며, 프랑스 뮤지컬인 만큼 오케스트라 반주 대신 MR반주를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뮤지컬에 사용되는 이마나 뺨에 붙이는 핀 마이크 대신 팝 가수들이 즐겨 사용하는 핀 마이크를 사용한다.

실제적 묘사보다는 소품과 안무의 상징성에 집중한다.

수록곡

1막

  • Ouverture 서곡
  • Le temps des cathédrales 대성당들의 시대
  • Les sans-papiers 거리의 방랑자들
  • Intervention de Frollo 프롤로의 명령
  • Danse d'Esmeralda 에스메랄다의 춤
  • Bohèmienne 보헤미안
  • Esmeralda tu sais 에스메랄다 알아둬 / 에스메랄다, 너도
  • Ces diamants-là 다이아몬드
  • La fête des fous 미치광이들의 축제
  • Le Pape des fous 광인들의 교황 / 미치광이들의 교황
  • La sorcière 마녀
  • L'enfant trouvé 버려진 아이
  • Les portes de Paris 파리의 문 / 파리의 문들
  • Tentative d'enlèvement 납치 시도
  • La cour des miracles 기적궁 / 기적의 궁전
  • Le mot Phœbus 페뷔스란 이름
  • Beau comme le soleil 태양처럼 눈부신
  • Déchiré 괴롭구나 / 괴로워
  • Anarkia 숙명
  • A boire 물 좀 주오 / 물을 주오
  • Belle 아름답다
  • Ma maison c'est ta maison 내 집은 너의 집 / 내 집은 그대의 집
  • Ave Maria païen 이방인의 아베 마리아
  • Je sens ma vie qui bascule 내 인생이 흔들리는 것을 느끼네
  • Tu vas me détruire 파멸의 길로 나를
  • L'ombre 그림자
  • Le val d'amour 사랑의 계곡 / 발다무르 카바레
  • La volupté 쾌락 / 사랑의 기쁨
  • Fatalité 숙명 / 숙명이여

2막

  • Florence 피렌체
  • Les Cloches 종 / 성당의 종들
  • Où est-elle? 그녀는 어딨는가? / 그녀는 어디에
  • Les oiseaux qu'on met en cage 새장 속에 갇힌 새
  • Condamnés 죄수 / 죄인들
  • Le procès 재판
  • La torture 고문
  • Phœbus 페뷔스
  • Être prêtre et aimer une femme 신부가 되어 한 여자를 사랑한다는 것
  • La monture 말 탄 그대 모습
  • Je reviens vers toi 그대 곁으로 돌아가겠어
  • Visite de Frollo à Esmeralda 에스메랄다를 방문하는 프롤로 / 에스메랄다를 찾아간 프롤로
  • Un matin tu dansais 어느 날 아침 춤추던 너 / 네가 춤추던 그 날 아침
  • Libérés 자유 / 해방
  • Lune 달
  • Je te laisse un sifflet 호각을 주겠어요 / 그대에게 호각을 줄게요
  • Dieu que le monde est injuste 세상은 왜 이리 불공평한지 / 불공평한 이 세상
  • Vivre 살리라
  • L'attaque de Notre-Dame 노트르담 공격 / 노트르담 습격
  • Déportés 유배 / 추방
  • Mon maître, mon sauveur 나의 주인, 나의 구세주 / 나의 주인, 나의 구원자
  • Donnez-la moi 그녀를 내게 주오
  • Danse mon Esmeralda 춤을 춰요, 나의 에스메랄다
  • Danse mon Esmeralda(Salut) 춤추어요 나의 에스메랄다(커튼콜)
  • Le Temps des Cathédrales(Finale) 대성당의 시대(피날레 앙코르)

원작과의 차이점

콰지모도는 원작에서 종소리 때문에 어린 시절에 귀머거리가 되었지만, 뮤지컬 특성상 이 설정을 표현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