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gsajikseol - Introductio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Translation Practice) |
(→Translation Practice) |
||
146번째 줄: | 146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style="width:30%;"| Classical Chinese || style="width:30%;"| Korean (v1, v2)|| style="width:30%;" | English (v1, v2) || style="width:30%;" | Suggestion" | !style="width:30%;"| Classical Chinese || style="width:30%;"| Korean (v1, v2)|| style="width:30%;" | English (v1, v2) || style="width:30%;" | Suggestion" | ||
− | |- | + | |- |
− | | 鄕言\ | 향언(鄕言) | vernacular language | local name (or Korean local name) | + | | 鄕言\ || 향언(鄕言) || vernacular language || local name (or Korean local name) |
+ | |- | ||
|} | |} | ||
2018년 3월 14일 (수) 07:41 판
목차
Original Script
- 農事直說序文
- ○命摠制鄭招等撰農事直說
- 其序曰, 農者天下國家之大本也.
- 自古聖王,莫不以是爲務焉.
- 帝舜之命, 九官十二牧 , 首曰食哉惟時,
- 誠以粢盛之奉, 生養之資, 捨是無以爲也
- 恭惟, 太宗恭定大王, 嘗命儒臣, 掇取古農書切用之語,
- 附註鄕言, 刊板頒行, 敎民力本,
- 及我主上殿下, 繼明圖治, 尤留意於民事,
- 以五方[1]風土[2]不同, 樹藝之法[3], 各有其宜, 不可盡同古書,
- 乃命諸道監司, 逮訪州縣老農, 因地己試之驗具聞
- 又命臣招就加詮, 次臣與宗簿小尹臣卞孝文, 披閱參考,
- 袪其重複. 取其切要, 撰成一編目曰, 農事直說.
- 農事之外, 不雜他說, 務爲簡直, 使山野之民, 曉然易知.
- 旣進下鑄字所印若干本, 將以頒諸中外[4],
- 導民厚生, 以至於家給人民也.
- 臣竊觀周詩周家, 以農事爲國, 歷八百餘年之久,
- 今我殿下, 惠養斯民, 爲國長慮, 豈不與后稷成王同一規範乎,
- 是書雖小, 其爲利益, 可勝言哉.
Korean Translation
Version 1
- 농사직설서문
- 총제(摠制) 정초(鄭招) 등에게 《直說》을 책으로 만들어 올릴 것을 명하였다.
- 그 서문에 이르기를 농사는 천하 국가의 큰 근본이다.
- 옛 성왕부터 농사에 힘을 쓰지 않은 국가 통치자는 없었다.
- 순임금이 9관(官)과 12목(牧)에게 명을 내릴 때 가장 먼저 이르기를 ‘먹는 것은 농사의 때에 달렸다.’ 하였으니,
- 진실로 자성(粢盛)의 도(用度)와 생양(生養)의 자료(資料)도 이것을 떠나서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 삼가 생각하건대 태종대왕(太宗恭靖大王)께서 일찍이 유신(儒臣)에게 명하시어 옛날 농서(農書)로서 절실히 쓰이는 말들을 뽑아서
- 향언(鄕言)으로 주(註)를 달아서 판각(板刻) 반포하게 하여, 백성을 가르쳐서 농사에 힘쓰게 하셨다.
- 우리 주상 전하(세종)께서는 명군(明君)(태종)을 계승하여 정사에 힘을 써 더욱 민사(民事)에 유의하여 다스렸다.
- 오방(五方)의 풍토(風土)가 같지 아니하여 곡식을 심고 가꾸는 법이 각 지방마다 각기 마땅한 것이 있어, 옛 농서와 다 같을 수 없다 하여,
- 여러 도(道)의 감사(監司)에게 명하여 주현(州縣)의 노농(老農)들을 방문(訪問)하게 하여, 농토의 이미 시험한 증험에 따라 갖추어 아뢰게 하시고,
- 또 신(臣) 변효문(卞孝文)과 더불어 교열(披閱) 참고(參考)하여
- 그 중복(重複)된 것을 삭제하여 버리고 그 요점만을 뽑아서 편집하여 한 편(編)을 만들고 그 제목을 《농사직설(農事直說)》이라고 하였다.
- 농사 외에 원예나 잠상등 다른 설(說)을 섞지 아니하고 간략하고 누구나 알기 쉽도록 힘을 써서 산이나 들에 사는 모든 백성들이 모두 환히 쉽게 알도록 하였다.
- 미리 주자소(鑄字所)에 인쇄할 활자를 준비하여 약간의 원본(本)을 인쇄하여 장차 중외(中外)에 반포하여
- 백성을 인도하여 살림을 넉넉하게 해서,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하는데 이르도록 할 것이다.
- 신이 주(周) 나라 시(詩)를 보건대, 주가(周家)에서도 농사로써 나라를 다스려 8 백여 년의 오랜 세월에 이르렀는데,
- 지금 우리 전하께서도 이 나라 백성을 잘 기르고 나라를 위하여 길이 염려하시니, 어찌 후직(后稷)과 성왕(成王)과 규범(規範)을 같이하지 않으랴.
- 이 책이 비록 작더라도 그 이익됨은 이루 말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Version 2
- 농사직설서문
- 총제 정초 등에게 <농사직설>이란 책을 만들라고 명하였다.
- 그 서문에 이르기를 농사는 천하 국가의 큰 근본이다.
- 자고(自古)로/옛날부터 성왕/어진 왕이면 농사를 본무로 삼지 않은 이가 없었다.
- 순임금이 9관(官)과 12목(牧)에게 명을 내릴 때 이르기를 가장 먼저 “양식을 생산하는 것은 때를 놓치면 안 된다”고 하셨다.
- 진실로 제사(에 올리는 것이)든 일상생활(을 보장하는 것)이든, 이것을 떠나서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삼가 생각하건대 태종대왕(太宗恭靖大王)께서 일찍이 유신(儒臣)에게 명하시어 옛날 농서(農書)로서 절실히 쓰이는 말들을 뽑아서
- 향언(鄕言)으로 주(註)를 달아서 판각을 만들고 책을 인쇄, 반포하여 백성을 가르쳐서 농사에 힘쓰게 하셨다.
- 우리 주상 전하(세종)께서는 명군(明君)(태종)을 계승하여 정사에 힘을 써 더욱 백성의 일에 유의하여 다스렸다.
- 오방(五方)의 풍토(風土)가 같지 아니하여 곡식을 심고 가꾸는 법이 각 지방마다 각기 마땅한 것이 있어, 옛 농서와 다 같을 수 없다 하여,
- 여러 도(道)의 감사(監司)에게 명하여 주현(州縣)의 노농(老農)들을 방문(訪問)하게 하여, 각자의 농토에 따라 자기가 얻은 경험을 자세히 듣고
- 또 신에게 설명을 덧붙이게 하셨고 신이 종부소윤신 변효문과 더불어 농서를 두루 읽어 참고하여
- 그 중복(重複)된 것을 삭제하여 그 요점만을 뽑아서 편집하여 한 편(編)을 만들고 그 제목을 《농사직설(農事直說)》이라고 하였다.
- 농사 외에 원예나 잠상등 다른 설(說)을 섞지 아니하고 간략하고 누구나 알기 쉽도록 힘을 써서 산이나 들에 사는 모든 백성들이 모두 환히 쉽게 알도록 하였다.
- 주자소에 소정의 원본을 인쇄하라는 명을 이미 내렸으니 장차 이 책들을 조정과 민간에 반행할 것이다
- 백성을 인도하여 살림을 넉넉하게 해서,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하는데 이르도록 할 것이다.
- 신이 주(周) 나라 시(詩)를 보건대, 주가(周家)에서도 농사로써 나라를 다스려 8 백여 년의 오랜 세월에 이르렀는데,
- 지금 우리 전하께서도 이 나라 백성을 잘 기르고 나라를 위하여 길이 염려하시니, 어찌 후직(后稷)과 성왕(成王)과 규범(規範)을 같이하지 않으랴.
- 이 책이 비록 작더라도 그 이익됨은 어찌 말로 다 할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다.
English Translation
Version 1
- Introduction
- Regulator-General Chŏng Ch’o and others were ordered to compile Concise Farming Theory.
- The foreword reads: Farming is the great foundation of all states under Heaven.
- This has been the priority without exception since the time of the ancient sage kings.
- In the sage king Shun’s order to his nine ministers and twelve governors, he first said: “Crop yields! They depend entirely on timing.”
- Indeed, as they are used as offerings in sacrificial rites and sustenance, they must not be ignored.
- As your subject reverently recalls, the late King Taejong[5] once ordered his ministers to collect old writings on farming and select the essential content,
- attach commentary in the vernacular language, carve the woodblocks, print them out and distribute the copies, enlighten the people and have them focus on the fundamental task of farming.
- My Lord, His Majesty[6], inherited the grand design for governing from his illustrious predecessor [i.e. Taejong], devoting himself even more to the people’s affairs.
- The topography of the five directions (i.e. throughout Chosŏn) varies; therefore, each region has its own way of A and B, and they do not completely conform to the old farming texts.
- And then, the governors of the various provinces were ordered to go around the counties and districts, call on the knowledgeable farmers, and listen carefully to their tried and true experiences on the land.
- Furthermore, [His Majesty] ordered his subject [Chŏng] Ch’o to complete the job of adding explanations. Next his subject [Chong Ch’o], along with Royal Genealogist Byŏn Hyomun, revised separate accounts in reference to other sources,
- eliminated the redundancies, selected the essentials, and completed a single volume called Concise Farming Theory.
- [This text] does not cover other topics besides farming matters. The priority is on conciseness and straightforwardness, so that people from rural areas can completely understand it without effort.
- [The order] for printing has been already handed down to the Bureau of Typecasting and a few copies shall be printed for dispersal throughout the country.
- This will guide the people and enrich their livelihoods; thereby the benefits shall extend to every household and provide for all the people.
- Your subject pondered over the poetry of Zhou and [concluded that] the Zhou Ruling House based the state on farming and thus it lasted over eight hundred years.
- Now Your Majesty’s gracious nurturing of our people and long-held concern about the state, how is this standard not the same with that of Houji and King Cheng of Zhou?
- Though this book is small, its benefits cannot be expressed in words!
Version 2
- Introduction
- Regulator-General Chŏng Ch’o (?-1434) and others were ordered to compile A Concise Theory of Farming.
- The foreword reads: Farming is the great foundation of all states under Heaven.
- Since the ancient times, there has been no sage king who did not committed himself to farming.
- In the sage king Shun’s order to his nine ministers and twelve governors, he first said: “Crop yields! They depend entirely on timing.”
- Indeed, as they are used as offerings in sacrificial rites and sustenance, they must not be ignored.
- As your subject reverently recalls, the late King T’aejong(r. 1400-1418)* once ordered his ministers to collect old writings on farming and select the essence,
- attach commentary in the vernacular language, carve the woodblocks, print them out and distribute the copies, enlighten the people and have them focus on the fundamental task of farming.
- My Lord, His Majesty[7], inherited the grand design for governing from his illustrious predecessor [i.e. Taejong], devoting himself even more to the people’s affairs.
- The natural features vary across the country. Therefore, each region has its own way of sowing and cultivating, and the old farming texts should not be blindly followed.
- And then, the governors of the all provinces were ordered to go around the counties and districts, call on the seasoned farmers, and listen carefully to their tried and true experiences on the land.
- Furthermore, [His Majesty] ordered his subject [Chŏng] Ch’o to complete the job of adding explanations. Next his subject [Chŏng Ch’o], along with Royal Genealogist Byŏn Hyomun (1396-?)*, revised separate accounts in reference to other sources,
- eliminated the redundancies, selected the essentials, and completed a single volume called A Concise Theory of Farming.
- [This text] does not cover other topics, such as horticulture and sericulture. The priority is on conciseness and straightforwardness, so that people from rural areas can clearly understand it without effort.
- [The order] for printing has been already handed down to the Bureau of Typecasting and several few copies shall be printed for dispersal throughout the country.
- This will guide the people and enrich their livelihoods; thereby the benefits shall extend to every household and provide for all the people.
- Your subject pondered over the poetry of Zhou and [concluded that] the Zhou Ruling House based the state on farming and thus it lasted over eight hundred years.
- Now Your Majesty’s gracious nurturing of our people and long-held concern about the state, how is this standard not the same with that of Houji and King Cheng of Zhou[8]?
- Though this book is small, its benefits cannot be expressed in words!
Translation Practice
Student 1: 린지
Identifying terms
Line 1
- ○命摠制鄭招等撰農事直說
- 총제(摠制) 정초(鄭招) 등에게 《直說》을 책으로 만들어 올릴 것을 명하였다..
- 총제 정초 등에게 <농사직설>이란 책을 만들라고 명하였다.
- Regulator-General Chŏng Ch'o and others were ordered to compile Concise Farming Theory.
- Regulator-General Chŏng Ch'o (?-1434) and others were ordered to compile A Concise Theory of Farming.
Line 5
- ○帝舜之命, 九官十二牧[9], 首曰食哉惟時,
- 순임금이 9관(官)과 12목(牧)에게 명을 내릴 때 가장 먼저 이르기를 ‘먹는 것은 농사의 때에 달렸다.’ 하였으니,
- 순임금이 9관(官)과 12목(牧)에게 명을 내릴 때 이르기를 가장 먼저 “양식을 생산하는 것은 때를 놓치면 안 된다”고 하셨다.
- In the sage king Shun's order to his nine ministers and twelve governors, he first said: “Crop yields! They depend entirely on timing.”
- In the sage king Shun's order to his nine ministers and twelve governors, he first said: “Crop yields! They depend entirely on timing.”
Discussion
It will be important to add these terms and historical figures to the glossary We should make internal wiki links to terms and historical figures Lyndsey (토론) 2018년 3월 13일 (화) 20:27 (KST)
Translation of terms
Line 8
Classical Chinese | Korean (v1, v2) | English (v1, v2) | Suggestion" |
---|---|---|---|
鄕言\ | 향언(鄕言) | vernacular language | local name (or Korean local name) |
Discussion
鄕言 native Korean ? esilrok? 鄕名(향명)은 예전부터 민간에서 불러 오는 이름[10], 시골말[11] 이다. AKS project에는 vernacular name[12]으로 번역되었고 Joseph Needham은 wrote in the vernacular[13]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Oxford 사전은 지방명은 local name, 방언은 vernacular[14]로 번역한다. 이 용어는 표준어에 대응하는 시골말이라기보다는 한자어에 대응하는 한국어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농사직설은 1446년 훈민정음 반포 이전인 1429년에 편찬되었고 한자어와 향명만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농민들은 한자를 몰랐기 때문에 향명이라 함은 한자어에 대응한다고 봐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local name (or Korean local name)이 적절하다. Lyndsey (토론) 2018년 3월 13일 (화) 20:09 (KST)
Student 2: 에벨린
Student 3: 권지은
Student 4: 안카
Student 5: 이창섭
Student 6: 강혜원
Collaborative Translation Result
Version 3
Glossary
Type | Hanja | Hangeul | MR | RR | English |
---|---|---|---|---|---|
Title | 摠制 | 총제 | ch'ongje | chongje | Regulator-General |
Person | 鄭招 | 정초 | Chŏng Ch'o | Jeong Cho | |
Document | 農事直說 | 농사직설 | Nongsa chiksǒl | Nongsa jikseol |
|
Further Readings
References
- ↑ [발표자 주] 오방: 동·서·남·북·중앙의 총칭.http://baike.baidu.com
- ↑ [발표자 주] 풍토: "여기서 풍토라고 부르는 것은 어떤 토지의 기후, 기상, 지질, 토양, 지형, 경관 등의 총칭이다."와쓰지 데쓰로(和辻哲郎)는 그의 저작 『풍토』 본론의 서두에서 <풍토> 개념을 이와 같이 규정한다[『전집』 제8권, 7]. [네이버 지식백과] 풍토 [風土, Klima, climat] (현상학사전, 2011. 12. 24., 도서출판 b)
- ↑ [발표자주] 樹藝:“樹蓺”로 쓰기도 한다. 의미는 재배하고 종자를 뿌리는 것이다. 『孟子』 滕文公, 上. “後稷教民稼穡, 樹藝五穀.” 후직이 백성에게 농사를 짓는 방법과 오곡을 재배하는 법을 가르쳤다.耕耘樹藝에서 ‘耕’은 ‘땅을 갈기’, ‘耘’은 ‘잡초를 제거하기’, ‘樹’는 ‘심고 재배하기’, ‘藝’는 ‘씨를 뿌리기’를 각각 지칭하며 농업 생산 활동을 말한다.『荀子』 子道. “夙興夜寐, 耕耘樹藝, 手足胼胝, 以養其親” 아침에 일찍 일어나 밤에 늦게 자면서, 밭 갈고 김매고 심고 뿌리느라 손과 발에 못이 박히도록 일하며 그의 부모를 봉양하는데
- ↑ 中外: 조정(朝廷)과 민간(民間)
- ↑ King T’aejong (r. 1400-1418)
- ↑ King Sejong (r. 1418 - 1450)
- ↑ King Sejong (r. 1418 - 1450)
- ↑ [Team C’s footnote] King Cheng of Zhou 周成王 (r. 1116-1079 BCE) was the second king of the Zhou dynasty 周 (11th cent.-221 BCE). He stabilized Zhou Dynasty’s border by defeating several barbarian tribes along with his uncle, the Duke of Zhou.
- ↑ [발표자 주]十二牧:순임금이 통치하는 12개의 행정구역 및 행정 장관. -- 蔡沈(1167—1230)《書集传》“十二牧,十二州之牧也。”12목은 12개 행정구의 통치관이다.)
- ↑ 한국한자어사전(http://hanja.naver.com/search?query=%E9%84%95%E5%90%8D, 2017.12.02.)
- ↑ 김영진, 앞의 책, 46쪽; 농촌진흥청, 앞의 책, 208쪽.
- ↑ Academy of Korean Studies, op. cit., p. 62.
- ↑ Needham, Joseph, op. cit., 1984, p. 88.
- ↑ 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n Dictionary (http://endic.naver.com/search.nhn?sLn=kr&searchOption=all&query=local%20name; http://endic.naver.com/search.nhn?sLn=kr&searchOption=all&query=vernacular, 2017.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