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한국학 교육 현황과 과제: 중부 지역 다낭외국어대학교를 중심으로

cef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박성수
Sungsu park.JPG
Name in Latin Alphabet: Sungsu Park
Nationality: Korea
Affiliation: Inha University
베트남에서의 한국학 교육 현황과 과제 - 중부 지역 다낭외국어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성수
베트남 다낭외국어대학교

1. 연구 배경

한국과 베트남은 1956년 5월 구월남 정부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었지만, 1975년 베트남이 사회주의로 통합되면서 양국 관계는 단절되었다. 베트남은 통일 이후의 악화 되는 경제 상황 극복을 위해 1986년 12월 당 대회에서 ‘도이 머이’를 채택했다. ‘새롭게 바꾸자’는 뜻을 가진 ‘도이 머이’는 배급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바꾸자는 것으로 경제 개방과 외국인 투자 유치[1]가 주요 핵심이었다. 그 후 1992년 12월, 한국과 베트남은 외교관계를 정상화했다.

베트남 내 한국학[2] 교육의 발전은 ‘도이 머이’ 정책 전개에 의한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과 연관[3]이 깊다. 2014년 1분기 기준[4]으로 총 3,546여 개의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해 있고, 일본(346억불, 15.2%), 싱가포르(293억불, 12.8%)에 이어 한국(290억불, 12.7%)이 베트남 내 투자 진출 3위를 차지한다. 한국 기업들의 투자 금액으로 보면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 지역에 약 49.5%(전년대비 5.5%p↓),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지역에 약 41.5%(전년대비 4.5%p↑)의 투자가 분포해 있다. 지난 2014년 12월 11일 체결된 한-베 FTA의 영향으로 한국과 베트남의 경제 협력 관계는 더욱 발전적인 방향을 보일 것이다. 또한 베트남 내 TV 해외 방송프로그램 중 70% 이상이 한국 콘텐츠일 만큼, 베트남에서 한국은 인기가 있다. 한국의 TV예능프로그램 ‘KBS 뮤직뱅크’, ‘MBC K-Pop Festival’, ‘SBS 런닝맨’이 하노이에서 개최 되는 등 한류 영향 확대로 K-POP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국 문화 인기 사승세가 지속 되면서 한국 기업에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지역별 투자 현황도를 인용[5]해 보면 <그림 1> 같은데, 중부 지역은 북부와 남부에 비하면 그 투자가 많이 못 미치는 실정이다.

<그림> 한국기업의 對 베트남 지역별 투자 현황(2014년 1/4분기)

1993년 9월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교 베트남어문과에서 처음으로 한국어 강좌가 시작되었다. 대학교 내 한국학 과정이 제일 먼저 개설된 곳은 하노이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베트남어문과이나,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을 공식적으로 제일 먼저 개설한 곳은 호치민시 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동방학부이다. Ly kinh Hien(2007: 43) 이후 1994년에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한국학과, 1995년에 호치민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어과와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교 한국학과, 1997년에 하노이 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가 정식 학과로 설치 됐다.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동방학부 소속 한국학과(1994년), 호치민 외국어정보대학교 동방학부 소속 한국어과(1995),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교에 동방학부 소속 한국학과(1995년), 하노이 외국어대학교 러시아학부 소속 한국어과(1997년)로 각각 개설 됐다.

베트남에서는 대부분 제2외국어 한국어 강좌가 먼저 개설되고, 강좌 진행 상황에 따라 관련학부 소속의 한국학 전공으로 정식 설치된다. 그 후에 발전 여하에 따라 단일 한국학과로 독립하거나 학부로 승격 된다.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동방학부의 한국학과는 2010년에 한국학과로 독립을 했고 이어 2015년 1월 한국학부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한국학부는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회, 한국경제·정치·외교 등 3개 전공 학과를 운영한다. 로 승격됐다. 하노이 외국어대학교의 러시아학부 한국어과는 2007년 동방학부 한국어과로, 이어 2012년 한국어문학부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교 한국어문학부는 한국어 통·번역, 한국어학, 한국학 등 3개 전공 학과를 운영한다. 로 승격되었다.

베트남 내 대학들의 한국학 전공은 1993년 이후 꾸준히 개설되어 왔다. Bui Kim Luan·이길원(2014), 양지선(2014), 웅웬 티 레나(2014)에 의하면 2015년 현재 총 14개 대학교(북부 3개, 중부 2개, 남부 9개)에서 3천 명 이상의 학생들이 한국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한국학 교원 수는 150명 이상이다. 대학 전공 외에 7개의 세종학당, 5개의 한국학연구소, 2개의 한국연구학회를 통해 한국학 교육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표 1>, <표 2>는 양지선(2014), 응웬 티 레나(2014), 남미혜(2012), 외교부(2013)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 정리하였다.

<표 1> 지역별 베트남 한국학 관련 기관
지역 세종학당 한국학연구소 한국연구학회
북부 하노이 한국문화원 세종학당(2010) 인문사회과학원(현 사회과학원:VASS) 한국연구센터(1998) 베트남 한국어교육 및 연구 학회(2006)
하노이1 세종학당
(하노이 인문사회대 2011)
하노이 국립인문사회대
동방학부 한국연구센터(2006)
베트남 한국 연구학회(2011)
하노이2 세종학당
(하노이 외대 2011)
외상대학교(FTU) 한국연구센터
(2008) - 한국어강좌 운영
타이응우옌 세종학당(2013) 국민경제대학교(NEU) 한국센터(2010)
중부 후에 세종학당
남부 호치민2 세종학당
(호치민 사범교육대학교 2014)
호치민 국립 사범대학교
한국학센터(2014) -한국어강좌 운영
달랏 세종학당 (2012) 호치민 국립인문사회대
한국학 센터(2009)
<표 2>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학 관련 학과 설치 현황
지역 대학교 강좌시작연도 학과설치연도 소속학부/학과명
(개설 당시)
소속 학부 면동 사항
(편입. 독립, 승격)
북부
3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교
1993 1995 동방학부/
한국학과
하노이
외국어대학교
1994 1997 러시아학부/
한국어과
2007년 동방학부/한국어과
2012년 한국어문학부 승격
하노이대학교 1997 2002 한국어과
중부
2
다낭외국어대학교 2004 2005 중국-일본어학부/
한국어과
2007년
일본-한국-태국어학부 편입
후에외국어대학교 2008 2008 한국어문화학과
남부
9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1994 1994 동방학부/
한국학과
2010년 한국학과 독립
2015년 한국학부 승격
호지민
외국어정보대학교
1994 1995 동방학부/
한국학과
홍방대학교 1993 2003 아시아태평양학부
한국학과
락홍대학교 2005 2005 동방학부/
한국학과
달랏대학교 2004 2004 동방학부/
한국학과
2014년
국제학부/한국학과
반히엔대학교 2007 2013 동방학부/
한국학과
투득기술전문대학교
(3년제)
2004 2011 언어학부/
한국어과
사이공ACT
관광예술대학교
(3년제)
2006 2006 언어학부/
한국어통번역학과
응웬떳따잉대(3년제) 2012 2012 외국어학부/
한국어과

<표 1>과 <표 2>를 통해 베트남의 한국학 관련 기관을 지역별로 구분해 보았다. 베트남의 한국학은 1993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호치민과 하노이에 편중 되어 왔으며, 중부 지역은 현황이나 도입 시기 면에서 후발 주자이다. 이는 한국과 베트남의 경제 협력 관계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각각 호치민과 하노이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중부 지역은 한국학 교육의 관심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베트남 중부 지역 다낭외국어대학교의 한국학 교육 현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중부의 다낭은 북부의 하노이나 남부의 호치민에 비해 개발이 늦어진 지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세계 여러 나라의 관심을 받으며 발전 다낭은 2년 연속으로 베트남의 지역 경쟁력 지수(PCI) 1위를 차지할 만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지역 경쟁력 지수란 베트남 58개 성과 5개 직할시의 행정 개혁, 비즈니스 접근 개선 및 결제 발전 정도를 지수화 해서 발표하는 것으로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다낭 투자진흥센터는 다낭이 305건의 해외직접투자(FDI:Foreign Direct Investment) 프로젝트를 유치, 총 33억 7천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 중 한국의 대 다낭 투자는 37건 프로젝트에서 총 7억 1천만 달러 규모에 달해, 다낭 총 해외직접투자에서 21% 비중을 차지한다고 전했다.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 해외시장정보 2015년 5월, 인터넷 사이트 (http://www.kita.net) 하고 있고, 한국도 여기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다.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이 한국 기업의 진출과 그에 따른 한국어 구사자에 대한 수요 증가에서 시작했다면, 똑같이 중부 지역의 한국학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앞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다낭외국어대학교는 중부 지역의 한국학 중심으로서 그에 걸맞은 내실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베트남 내 한국학은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해 왔지만 북부와 남부에만 따로따로 편중되어 있고, 서로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문제 베트남에서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이 활성화되고 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지 대학 연구자들 간 인 적, 학문적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양지선(2014: 84) 각 기관 사이에 서로 지속적으로 연결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없다. 보통 연구자와 교직원들은 과학세미 나에서만 만나고 그 후에 학술과 강의 경험을 교환하는 기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하민탄(2006; 131) 를 안고 있다. 앞으로의 베트남 내 한국학의 과제는 북부, 중부, 남부의 고른 발전과 지역 간의 소통을 통한 시너지 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낭외국어대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다낭외국어대학교는 스스로 역량을 키워가면서 베트남 내 다른 한국학 기관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중부 지역에 한국학 관련 학과가 생긴 것은 2000년 중반 이후로 북부나 남부에 비하면 10년 이상 늦다. 시기적으로 늦다고 해서 반드시 뒤쳐진다고 볼 수는 없지만, 여러 방면의 인프라 구축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시기적 불균형이 질적 불균형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는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중부 지역의 한국학 교육은 북부나 남부의 교육과 연구 역량에 하루속히 근접해 가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의 한국학 교육에 관해 교육 과정, 교수자, 학생, 외부 협력 현황을 살피고, 개선해야 할 점들을 찾아 한국학 발전을 위한 과제로 제시한다. 중부 지역 한국학의 발전은 베트남 전체의 한국학 발전의 균형을 이루며 북부와 남부를 잇는 교량 역할로써 그 의미가 크다. 본 연구는 중부 지역 한국학 발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베트남 전역의 균형 잡힌 한국학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3.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현황

3.1. 다낭외국어대학교 개요

다낭외국어대학교 다낭외국어대학교는 다낭대학교에 직속된 대학으로 국립대학이다. 다낭대학교 소속의 단과 대학 형태지만 행정 처리나 학사, 회계 업무에 관해 독립적인 성격이 강해 영어의 University를 학교 명칭에 사용한다. 베트남어 표기로는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 Đại Học Đà Nẵng (외국어대학교-다낭대학교)’를, 영어 표기로는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Studies-The University of Danang’을 사용한다. 때문에 한국어 표기도 ‘다낭외국어대학’보다는 ‘다낭외국어대학교’가 적합하다. 는 1985년에 설립되었던 다낭외국어사범대학교가 그 전신이 된다. 당시 다낭외국어사범대학교에는 러시아학과와 영어학과가 있었다. 1994년 4월에 지금의 다낭대학교가 설립되었고, 다낭외국어사범대학교는 이 다낭대학교 직속으로 편입된다. 그 후 2002년 8월 26일, 베트남 정부는 다낭외국어사범대학교의 여러 외국어 학과를 지금의 다낭대학교 소속 다낭외국어대학교로 분리 독립시켰다. 다낭외국어대학교는 2005년 1월에 한국어 학사 학위 과정을 개설하도록 베트남 교육부의 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9월에 제1회 한국어과 학생이 입학했다.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는 개설 당시부터 2007년 3월까지 ‘중국-일본어학과’에 속해 있다가 2007년 4월에 ‘일본-한국-태국어학과’로 소속이 바뀌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 1월 23일,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는 개설 10주년 기념 행사를 열었다. 이 날 행사에는 다낭 중부 한인회, 한국국제교류재단(KF) 베트남 사무소, 한국국제협력단(KOICA) 베트남 사무소,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낭외대 한국어과 한국학 씨앗형 사업, 대한항공 다낭 지사, 아시아나항공 다낭 지사, 두산 비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표 3> 다낭외국어대학교 개황
명칭 국문명: 다낭외국어대학교
영문명: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Studies-The University of Danang
설립일 2002년 8월 26일
학생 수 약 2100명
교직원 수 약 260명
학과 비즈니스 영어학과, 러시아어학과, 프랑스어학과, 중국어학과, 일본-한국-태국어학과,
국제학과, 영어영문학과
캠퍼스 제1캠퍼스 (르엉 느 홉 길) 131 Lương Nhũ Hộc, Q.Cẩm Lệ, Tp. Đà Nẵng
제2캠퍼스 (레 주언 길) 41 Lê Duẩn, Q. Hải Châu, Tp. Đà Nẵng
한국어과 2004년 12월 제2외국어 한국어 강좌 개설 (일본-중국어학과 소속)

2005년 1월 베트남 교육부 한국어과 설립 인가

2005년 9월 한국어과 제1회 신입생 입학 (일본-중국어학과 소속)

2007년 4월 ‘일본-한국-태국어학과’ 개편 편입

2015년 1월 한국어과 개설 10주년 기념식

비고 한국어과는 르엉 느 홉 길에 있는 제1캠퍼스에 있다. 2002년 설립 당시 다낭외국어대학교의 주소지는 ‘100 Ngô Thì Nhậm’이었으나,

2009년에 지금의 르엉 느 홉 캠퍼스를 신축하면서 옮겨왔다. 다낭외대 제2캠퍼스인 레 주언 캠퍼스는 다낭대학교 본부가 위치해 있는 곳으로

다낭외국어대학교는 장소 문제로 영어와 중국어 관련 강의와 업무를 이곳 다낭대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다.

3.2. 수업 환경

학기는 8월에 시작한다[6]. 12월에 1학기 과정과 기말 시험이 끝나면 겨울 방학 없이 곧바로 2학기가 시작된다. 대신 설 연휴 2주 동안 학교를 쉰다. 2학기는 5월에서 6월 사이에 끝나고, 여름방학이 시작된다. 수업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진행된다. 1교시는 아침 7시에 시작하며, 각 수업은 50분씩이다.

<표 4> 다낭외국어대학교 일과 시간표
교시 시간 비고
1 07시 00분 ~07시 50분
2 07시 55분 ~ 08시 45분
3 08시 50분 ~ 09시 40분
4 09시 55분 ~ 10시 45분
5 10시 50분 ~ 11시 40분 *5, 6교시 사이
50분 휴식
6 12시 30분 ~ 13시 20분
7 13시 25분 ~ 14시 15분
8 14시 20분 ~ 15시 10분
9 15시 25분 ~ 16시 15분
10 16시 20분 ~ 17시 10분
야간
수업
17시 30분 ~ 20시 30분 *제2외국어 수업(3시간)

전공 수업은 반별로 이루어지는데, 한 반은 보통 35명에서 40명이다. ‘반별’이란 입학할 때 정해진 반을 말하는데, 계획된 교과과정표에 따라 반별로 4년 동안 함께 수업을 듣는다. 한국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수업이 학년 초반 과정의 주를 이룬다. 수업 시설은 좋지 못하다. 강의실 기자재는 관리 부족으로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다. 또한 무더운 날씨에 비해 냉방 시설이 많이 부족하여 쾌적한 환경에서의 수업 진행이 어렵다. 특히 4월 말부터 6월 사이에는 기온이 40℃를 육박한다. 한국어과의 경우 전용 강의실 1개와 자료실을 갖추고 있다. 30여 명을 수용하는 전용 강의실에는 화이트보드, 에어컨, 빔프로젝터와 42인치 TV-DVD 시스템이 있다. 자료실에는 냉방 시설과 함께 한국 관련 서적, 컴퓨터 시스템, 열람 좌석(18석)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전용 강의실과 자료실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지원으로 마련되었다.

<그림 2> 한국어과 전용 강의실과 자료실

한국어과 자료실과 전용 강의실에는 한국의 문화, 예술, 문학, 아동문학, 역사, 철학 관련 서적이 약 2000권, 한국의 영화, 역사, 문화, 풍속 관련 영상 자료가 약 150여 개 소장 되어 있다.

3.3. 강사 및 학생 현황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는 2005년 개설 이래 규모 면에서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다. 2015년 현재 한국어과에는 15명의 강사와 약 320여 명의 학생이 있다. 학위 상태와 전공을 중심으로 강사 현황을 정리한 표 교수자의 전문성을 파악하기 위해 학위 상태와 전공을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민속학 전공 박사 학위자는 2015년 5월에 다낭에 귀국하였으며 8월 새 학기부터 강의할 예정이다. 2015년 8월부터 강의할 한국국제교류재단(KF) 파견 한국인 객원교수 1명이 현재 선발 심사 중에 있다. 는 다음과 같다.

<표 5>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교수자 현황

한국인 강사는 3명으로 KOICA 파견, 한국학중앙연구원 파견, 그리고 다낭 현지 채용 강사이다. 코이카 파견[7] 은 2004년부터였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파견은 2014년 9월이 처음이다. 부족한 한국인 강사는 현지에서 채용한다. 한국학에 관한 학위와 베트남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노동허가서[8]를 모두 갖추어야 학교 측에서 채용하여 강의를 맡길 수 있다. 하지만 다낭 현지에서 이 조건을 충족하는 강사를 찾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채용이 되더라도 학교가 요구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한 학기 이상 강의를 할 수 없다. 베트남인 강사 12명 중 5명(박사 과정 2명, 석사 과정 3명)은 현재 한국에서 유학 중이다. 학교에서 강의를 하는 인원은 7명이며 이 중 4명은 학사 학위자, 2명은 석사 학위자, 1명은 박사 학위자이다. 이 인원 중에서도 한국 유학을 준비하거나 개인적인 이유로 휴직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강사의 수는 부족한 편이다.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의 신입생 정원은 2005년 1개 반 35명에서 2014년 입학 기준으로 3개 반 90명으로 늘었다. 입학 정원은 매년 한국어과 지원자 수에 따라 학교 측과 한국어과가 상의하여 정한다. 선 지원 후 시험 방식이며 ‘한국어과’로 모집한다. 시험 과목은 수학, 영어, 어문 3과목[9]이다. 연도별 학생 현황은 다음의 표[10] 와 같다.

<표 7> 연도별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학생 현황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다. 1개 반당 학생 수는 30명 이상인데, 전공 수업이 반별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반별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반당 인원은 곧 강사 1명이 한 수업에서 담당해야 하는 학생 수가 되는데, 교사 1명당 학생 30명 이상인 한국어 수업은 운영상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3.4. 교육 과정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의 교육 과정은 크게 정규 과정, 제2외국어 과정, 외부 기관 협력 과정으로 나눠볼 수 있다.

1) 정규 과정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학생들은 4년 동안 8학기의 과정을 이수한다. 정규 교육 과정은 한국어과 개설 이래로 2013년과 2015년 총 2회에 걸쳐 개정이 되었으나, 초기의 교육 과정과 큰 차이가 없다. 2015년 5월 기준으로 전공 과목의 이수 학점은 전체 졸업 학점인 144학점 중 107학점이다. 1, 2학년에는 4개 학기에 걸쳐 47학점의 한국어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데 개정된 연도별 교과목 10년 간 한국어과 전공 과목 교육 과정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자 연도별로 비교해 보았으나, 개설 당시부터 지금까지 차이가 없었다. 은 다음과 같다.

<표 8> 한국어과 1, 2학년 정규 과목(개정 연도별)


한국어과 1, 2학년 학생은 전공 과목으로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배우는데 모두 필수 과목이다. 한국어과 입학생들은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경우 2010년 북부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어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입학 전 한국어를 배운 적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175명 중 144명에 달하는 93.5%가 배운 적이 없다는 답변을 했다. 배운 적이 있다는 답변은 10명으로 6.5%였다. 남미혜(2010: 19) 위 설문 조사는 5년 전 북부 하노이의 상황이지만, 2015년 현재 중부 지역의 상황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가 대부분이어서 한국어과 저학년의 교육 과정은 초급 한국어 학습 과정 국립국어원 온라인 소식지 “쉼표 마침표” 2013년 2월 자에 실린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황‘에 따르면 베트남 13개 대학의 전공 교과 과정 중 1, 2학년의 교과목은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한국어 수업이다. (http://www.urimal365.kr/?p=11092) 이다.

3학년 학생들은 2개 학기에 걸쳐 29학점의 전공 과목을 수강한다. 한국어과 입학생들은 3학년 1학기까지 총 5개 학기에 걸쳐 한국어 듣기(11학점), 말하기(14학점), 읽기(11학점), 쓰기(18학점) 수업을 모두 54학점 이수한다. 시간으로 따지면 810시간 한 학기 수업은 보통 중간 시험과 기말 시험을 빼고 15주이다. 때문에 한국어과 학생들이 1학년부터 3학년 1학기까지 5개 학기에 걸쳐서 배우는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수업 54학점을 시간 수로 계산하면 810시간(54학점*15차시)이다. ‘2년 6개월 동안 810시간’이라는 수업 시간은 숫자만 놓고 볼 때, 한국에서의 대학교 한국어학당의 수업 시간에 비해 꽤나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 된다. 이 수업이 한국어 능력의 기초를 배우는 수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많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3학년에는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어휘론’, ‘한국 문학’, ‘한국의 문명과 문화’ 등 어학 연습을 벗어난 과목이 개설 되어 있고, 동시에 ‘번역 이론’과 ‘통역 연습’, ‘번역 연습’ 등 보다 실용적이고 전문적인 한국학 관련 과목도 개설되어 있다. 선택 과목으로 ‘관광 한국어’와 ‘비서 실무 한국어’가 개설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수업은 학기 상황에 따라 담당 강사의 부족으로 한 과목만 개설되어 학생들의 선택의 여지가 줄어드는 경우도 있다.

<표 9> 한국어과 3학년 정규 과목(개정 연도별)

4학년 학생들은 2개 학기에 걸쳐 31학점의 전공 과목을 수강한다. 1학기에 ‘문법론’, ‘통사론’, ‘통역’, ‘번역’, ‘한자’ 등을 필수 과목으로 수강한다. 그리고, 선택 과목으로 ‘과학기술 한국어’와 ‘비즈니스 한국어’가 개설되는데, 역시 개설 학기 사정에 따라 수업을 담당할 강사의 부족으로 둘 중 한 과목만 개설 되는 경우가 있다.

<표 10> 한국어과 4학년 정규 과목(개정 연도별)

4학년 2학기에는 전공 필수인 ‘졸업 실습’으로 5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3월 초부터 5월 초 사이에 약 2개월 동안 한국 회사에서 인턴 사원으로 근무한다. 인턴 근무 시 학생들이 맡는 업무는 한국어 통역과 번역이다. 그리고 선택 과목인 ‘한국어 전공1, 2’와 ‘졸업 논문’ 중에 선택하여 1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2006년 한국어과 개설 이후에 지금까지 논문을 제출한 학생은 아직 없다. 이러한 상황은 4학년 학생들의 논문을 지도해 줄 교수자의 부재가 가장 큰 이유이다. 때문에 학생들은 모두 ‘한국어 전공1, 2’를 수강하는데 ‘한국어 전공1’은 주로 번역에 관한 내용으로, ‘한국어 전공2’는 주로 한국어 문법이나 음운론에 관한 내용으로 진행된다.

이상 한국어과 정규 개설 과목을 살펴 보았다. 1학년 입학부터 3학년 1학기까지는 초·중급 한국어 학습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학생들은 5개 학기 동안 810시간의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수강한다. 그리고 3학년 2학기부터 4학년 1학기까지 2개 학기에 걸쳐서 전공 선택 과목과 함께 ‘한국어 음운론’, ‘어휘론’, ‘문법론’, ‘통사론’, ‘한국 문학’, ‘한국의 문명과 문화’를 수강한다. 입학 후 처음 2년 반을 차후의 한국학 수업을 위한 한국어 학습 과정이라고 볼 때 한국학 수업을 한국어 학습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 이 기간이 한국학 수업을 감당할 만큼 한국어 실력을 키워 주는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한국어 수업을 위한 주교재로 2005년부터 2012년까지는 서울대학교 한국어 교재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1-4, 문진미디어, 2000, 개정판. 를 사용했고, 2013년부터 현재까지는 연세대학교 한국어 교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편찬위원회, 연세 한국어1-6,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둘 다 현재의 한국어과 교육과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교재들은 모두 한국의 한국어학당에서 사용하는 교재인데, 주 20시간씩 10주 과정에 맞춰져 있다. 또한 이 교재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수업으로 나눠져 있는 교육 과정에 사용하는 것도 적합하지 못하다. 때문에 한국어 학습 과정과 시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2) 제2외국어 한국어 과정

다낭외국어대학교 학생들은 제2외국어 다낭외국어대학교에는 일본-한국-태국어학과를 비롯해서 비즈니스 영어학과, 러시아어학과, 프랑스어학과, 중국어학과, 국제학과, 영어영문학과 등 총 7개의 학과가 있다. 제2외국어로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 불어, 러시아를 개설하고 있다. 제2외국어는 1, 2로 나누어져 있다. 2006년 교육 과정에서는 2학년 2학기와 3학년 1학기에 개설 되어 있고, 2013년과 2015년 교육 과정부터는 1학년 2학기와 2학년 1학기에 개설이 되어 있다. 선택한 제2외국어는 중간에 변경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과목을 2개 학기에 걸쳐서 각 3학점씩 6학점을 수강한다. 이를 시간 수로 계산해 보면 90시간(6학점*15주)이 된다. 수업은 10교시 이후에 시작하는 야간 수업 형태이다. 제2외국어 한국어 과정은 2004년 정원 35명 1개 반으로 시작되었으며, 연도별 수강 학생 현황 제2외국어 한국어 수강 학생 현황은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10주년 기념 자료집” 16쪽의 ‘한국어과 학생 현황 표’에서 일부를 발췌함. 은 다음과 같다.

<표 11> 제2외국어 한국어 수강 학생 현황


수업 교재는 서울대학교 한국어를 교재로 사용하다가 2013년부터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조항록 외,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1, 다락원, 2008. ”를 사용한다. 이 책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국제교류재단(KF)과 국민은행의 지원으로 제작된 한국어 교재로 총 6권 구성이다. 제2외국어 한국어 수업에서는 2개 학기를 통해 제1권과 제2권의 내용을 강의한다.

<그림 3> 제2외국어 한국어 교재

3) 외부 기관 교류 및 협력 과정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학생들은 정규 학사 과정 이외에 다낭외국어대학교와 외부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진행되는 한국학 과정에 참가한다. 프로그램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2> 외부 기관 협약 교육 프로그램

KF E-School ‘한국의 문명과 문화’는 2011년에 시작된 인터넷 강의다. 시작 당시에는 한국 문화와 한국 사회, 한국 경제에 관한 3과목이 개설되었는데 경제 과목은 국제학과 학생들이, 문화와 사회 두 과목은 한국어과 학생들이 수강했다. 2014-15학년도 2학기에는 ‘한국의 문명과 문화’ 한 과목만 개설이 되어 있다. 인터넷을 통해 한국어로 진행되는 수업이다. 학교 컴퓨터실에서 수강하며, 베트남인 한국어 강사가 조교 역할을 맡는다. ‘베한경’ 프로그램은 한국의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학생들이 베트남 다낭을 방문하여 한국어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영학원론 강의를 한국어로 제공하는 활동이다. 동시에 베트남 학생들은 베트남의 문화와 역사, 다낭 주변의 유적지 등을 안내해 주며 교류의 시간을 갖는다. 해외한국학 씨앗형 사업을 통해 다낭외국어대학교는 2014년 7월부터 3년 간 한국어과 학생들에게 한국학을 가르치고 한국문화를 체험토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1월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10주년 기념 행사를 즈음하여 ‘한국 문화 주간’을 설정하고 한국 문화 관련 전시와 한국학자와 베트남학자의 초청 학술 강연, 한국어과 학생들의 베트남 지역문화 학술 발표회 등을 개최하였다. 한국어 여행 안내원 양성 과정은 베트남 다낭시 문화체육관광과와 다낭외국어대학교 간의 협약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인데, 한국어과와 직접적인 업무 관계는 없다. 2015년 5월 22일 다낭외국어대학교에서 개교식을 가졌다. 다낭외국어대학교는 한국 경주대학교와 관광한국어 과정 설치에 대한 협약을 맺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3학년 2학기 선택 과목인 관광한국어가 확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4.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학 교육의 과제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는 베트남 중부의 중심 도시 다낭의 빠른 발전 속도와 그에 따른 한국 문화 유입의 교차점에 서 있다. 그 지점에서 한국어과의 자체적인 발전 노력과 한국 기관들과의 대외 협력 성과를 통해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어과는, 개설 10주년이 지난 지금, 북부와 남부에 견주어 봤을 때의 지역적 한계성을 극복하고, 중부 지역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더 크게 성장해야 할 때이다. 이를 위해 현재의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현황을 바탕으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입학생들의 한국어 교육이 강화 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어과 입학생들은 5학기에 걸쳐 810시간의 한국어 수업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수업으로 나눠서 배우고 있다. 듣기 2시간, 말하기 3시간, 읽기 2시간, 쓰기 3시간의 수업을 일주일 동안 나눠서 각각 다른 교수자에게 수강한다. 한 수업에서 교수자가 담당하는 학생의 수는 30명 이상이다. 대부분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점을 감안하면 학생과 교사의 준비와 노력들이 더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1, 2학년의 주 10시간 한국어 수업에 추가 시간을 더하는 방안, 각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수업이 더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방안, 교수자의 교재 연구 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다낭외국어대학교는 단일 한국어과 체제를 통해 전문적인 세부 전공을 나눠서 운영해한국학 수요에 대비해야 한다. 다낭외대 한국어과는 현재 ‘일본-한국-태국어과’ 소속으로 되어 있다. 한국어과 3, 4학년의 전공 과목은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어휘론’, ‘한국 문학’, ‘한국의 문명과 문화’, ‘문법론’, ‘통사론’, ‘통역’, ‘번역’, ‘한자’ 등이다. 이는 외국어대학교의 특성답게 통·번역자 양성을 위한 학과의 목적에 의해 개설된 과목들이다. 선택 과목으로 ‘관광, 비서실무, 과학기술, 비즈니스 한국어’ 등이 있는데 한국 기업 취업과 관련해서 세분화 된 과목들이다. 이러한 과정들이 효과적으로 교육 되려면 우선은 처음 말한 1, 2학년의 ‘한국어 수업’이 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들은 보다 전문적으로 많은 시간을 들여 가르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어과가 단일 학과로 출범하여 세부 전공(예를 들면, 통·번역과, 관광 한국어과, 비즈니스 한국어과 등)을 운영함으로써 한국학 전문가를 양성해 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학과 단일 체제 등에 관한 관련 법규를 확인하고 한국어과의 현황에 맞춰서 단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셋째,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가 주축이 되어 중부 지역의 초·중·고교 학생들을 위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어과 입학생들은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장 큰 이유는 한국어를 배울 곳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에 대한 인식을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미리 알림과 동시에 이들을 위한 제2외국어 한국어 교육 방안 베트남 교육부 홈페이지 제시된 다낭시 소재 고등학교는 총 48개이다. 모두 영어를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으며, 제2외국어를 가르치는 학교는 일본어 1개 고등학교, 불어 3개 고등학교에 불과하다. 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다낭외국어대학교의 대입 시험 과목에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는 방안을 찾는 것도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넷째,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는 베트남 한국학의 북부와 남부를 잇는 교량 역할을 위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베트남의 한국학 교육은 북부와 남부를 중심으로 각각 성장하고 있다. 다낭외대 한국어과는 중부 지역 한국학 교육의 중심으로 한국의 많은 기관, 대학,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지만, 베트남 타 지역의 한국학과와 연계된 활동은 없다. 북부와 남부 그리고 중부의 균형적인 발전과 함께 지역 간의 소통을 통한 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발전이 계속 요구 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때에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가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그 역할을 해 내려면 교육 및 연구에 관한 능력을 키우고 나아가 이를 타 지역들과 교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과 교수자들을 주축으로 하는 연구 모임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5. 나가며

다낭외국어대학교의 한국어과는 현재 교수진이 넉넉하지 못하다. 다낭에 있는 7명의 강사 중 4명은 학사 학위 소지자로 석사 학위를 위해 한국 유학의 기회를 준비하고 있다. 파견 교수의 지속적인 지원이 더욱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학생들은 대외적으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전국의 한국어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대회, 쓰기 대회 등이 개최되는데, 다낭외대 한국어과 학생들은 여러 대회에서 많은 수상 2015년 4월 하노이에서 열린 ‘동남아 성균한글백일장’에서 금상과 장려상, 2014년 ‘제7회 전국 한-베 말하기 대회’에서 금상, 2012년 ‘Quiz on Korea in Vietnam’ 대회에서 대상, 2012년 한-베 수교 20주년 기념으로 열린 ‘한국어 Golden Bell’ 대회에서 대상, ‘전국 한-베 말하기 대회’ 2012년 은상, 2011년 은상, 2010년 동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을 했다. 어려운 여건 속의 값진 결과이다. 이것은 학생과 교사 모두의 노력의 결과이며 다낭외대 한국어과의 잠재성을 보여준다. 유능한 학생들을 키우고 한국어과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학과의 자체적인 노력과 외부 협력 관계의 실효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해외한국학 씨앗형 사업이나 강의교수파견 지원 사업도 다낭외대 한국어학과의 운영과 잘 맞물려야 하겠다. 다낭외대 한국어과는 앞으로 많은 발전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시기를 앞당기려면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10년, 새로운 ‘도이 머이’가 필요한 때이다.

참고 문헌

  • 논문

남미혜, ‘베트남 북부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연구 19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163-191.

(), ‘베트남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한국학 교육’, 사학연구, 제105호, 한국사학회, 2012, 365-391

박번순, ‘베트남 경제의 현재와 위기’, 황해문화, 제20호, 새얼문화재단, 2008, 240-261.

백재파,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한국어문화교육, 제6권, 2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45-64.

송정남, ‘베트남의 한국학, 한국국제지역학회보’, 제2권, 한국국제지역학회, 2002, 195-220.

양지선, ‘베트남 내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 모색’, 한국언어문화학 제11권 1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63-68.

양지선·박동희,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제언’, 한국어교육, 제23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133-157.

응웬 티 레나,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이강우, ‘베트남 도이머이와 오토바이’, 베트남연구, 제10호, 한국베트남학회, 2010, 101-118.

이안나, ‘동아시아 한국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 한국학연구’, 제17권,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57-88.

조명숙,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이중언어학’, 제19권 1호, 이중언어학회, 2001, 77-93.

하 민 탄, ‘베트남에서의 한국학 현황 및 전망’, 한국학연구, 제15권,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119-133.

하인숙, ‘베트남 남부지역의 한국어 교육현황’, 동나아시아연구, 제19권 3호, 한국동남아학회, 2009, 101-135.

하채현, ‘베트남 달랏대학교와 다낭대학교이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 제25집, 영주어문학회, 2013, 164-192.

Bui Kim Luan·이기원, ‘베트남의 한국 언어 문화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제11권 2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79-106.

Ly Kinh Hien, ‘베트남에서의 인문 한국학’, 한국학연구, 제16권,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41-61.

  • 보고서

기업인권네트워크, “2014 해외 한국기업 인권실태 조사 - 베트남 조사 보고서”, 2014.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10주년 기념 행사 자료집”, 201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2014년 베트남 진출전략 보고서”, 2014.

외교부, 베트남 개황, 2013.


  •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쉼표,마침표” http://www.urimal365.kr

다낭외국어대학교 http://www.cfl.udn.vn/

베트남 교육부 http://thi.moet.edu.vn

하노이 외국어대학교 http://ulis.vnu.edu.vn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교 http://www.ussh.vnu.edu.vn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http://hcmussh.edu.vn

발표문 목록

구분 제목
1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Trends in India
2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 in New Zealand Growth, Some Peculiarities, and the Transnational Connections
3 Korean Studies in Indonesia: Present State and What The Future Holds
4 Korean Studies in the Philippines: Incubation, Institutionalization and Indigenization
5 Korean Studies and its Formative Role in Higher Education in Singapore: New Possibilities and Existing Constraints
6 Korean Studies in Thailand: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7 베트남의 한국학 교육 현황과 과제: 중부 지역 다낭외국어대학교를 중심으로

각주

  1. 도이모이 정책은 7차(1991), 8차(1996), 9차(2001), 10차(2006) 당 대회를 통해 강화되었다. 정책의 핵심 내용은 중공업 노선에서 농업과 소비재 생산의 발전, 수출과 외국인 투자의 장려, 정부 개입 축소 등이다. 박번순(2008: 242)
  2. 본고는 ‘한국학’에 ‘한국어 교육’을 포함하며 ‘한국학’ 용어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는 제외한다.
  3.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에서의 인문 한국학 사업은 베트남 정부의 ‘Doi moi'정책(개혁정책)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와 협력하려는 베트남의 시대적 상황과 맞아 떨어져 크게 발전했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교육의 질이 아직 그리 좋지 않다. 그래서 앞으로의 임무는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교수법을 바꿔야 하는 데 있다. Ly Kinh Hien(2007: 58)
  4. Kotra, “2014년 베트남 진출전략 보고서”, 2014.
  5. 기업인권네트워크, “2014 해외 한국기업 인권실태 조사 - 베트남 조사 보고서”, 2014.
  6. 신입생의 수업은 9월에 시작되어 학사 일정이 다른 학년들보다 늦다.
  7. 연도별 코이카 파견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도(년)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파견 인원 1 2 3 2 3 3 3 2 2 2 2 2

    2013년~15년 파견 인원은 자료실 사서 단원 1명이 포함된 숫자임.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10주년 기념 자료집” 한국인 강사 현황을 참고하여 작성함.

  8. 베트남에서 일을 하려는 외국인은 노동허가서를 갖추어야 하는데, 발급 절차가 복잡하고 기간이 3개월에서 6개월까지 꽤 오래 걸리는 편이다. 특히 2015년 1월부터 베트남의 비자법이 변경되어 더욱 복잡해 진 경향이 있다.
  9. 다낭외국어대학교의 입학 시험 과목은 수학, 외국어, 어문 3과목이다. 일본어과의 경우 외국어 시험은 영어와 일본어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지만, 한국어과의 경우는 영어 시험만 있다.
  10. <표 6>은 “다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10주년 기념 자료집” 학생 현황을 옮겨 온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