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

workshop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조리

  • 사전적 정의: 도리에 어긋나거나 이치에 맞지 아니함, 또는 그런 일
    • 부조리 문학: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인간 사이의 의사 소통의 불가능함, 그리고 인간 의지의 전적인 무력함을 통해 인간의 근본적인 야수성, 비생명성, 요컨대 인간의 부조리를 아이러니컬하게 나타내는 문학. 특히 부조리극은 내용만이 아니라 극 구성 자체가 부조리하다. 주로 카뮈의 작품이 그러하다.

목차

개요

  • 교과서에서 등장하는 ‘부조리’의 개념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부조리 문학 작품에 대한 설명 및 실존주의와의 연계를 찾아보려한다. 부조리 문학 작품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시대적 배경을 통해 작품을 더 깊이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용 정리

[9국05-01] 문학은 심미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소통 활동임을 알고 문학 활동을 한다.
[9국05-02] 비유와 상징의 표현 효과를 바탕으로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한다.
[9국05-05]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10국05-01] 문학 작품은 구성 요소들과 전체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한다.
[10국05-04]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12문학02-01]문학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짐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한다.
[12문학02-02]작품을 작가, 사회・문화적 배경, 상호 텍스트성 등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한다

용어 유래

  • 부조리(absurd)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이는 '실존주의'철학을 탄생시킨 카뮈이다. 카뮈는 '인간과 삶, 그리고 배우와 무대 사이의 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이방인으로서의 감정'을 두고 부조리(absurd)라고 정의하였고 이러한 실존적 소외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데에서 부조리극은 탄생되었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로서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인식 가능한 세계 속에 살고 있으며, 비록 패배할 경우에라도 영웅적 행동을 할 수 있고, 또 인간의 존엄성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이라는 생각이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사라졌으며 이는 곧 부조리 문학의 탄생을 불러일으켰다.
    • 부조리 문학:
    • 부조리극이라는 용어는 영국의 비평가 마틴 에슬린(M.Esslin)이 처음으로 언급했다. 인간의 허구적 환영을 지탱하는 도덕적,종교적,정치적,사회적, 구조의 붕괴로 의미가 소실된 세계에서 의미를 찾아내려는 연극이며 현대문명 속을 살아가는 현대 인간의 존재와 삶의 문제들이 무질서하고 부조리하다는 것을 소재로 삼은 연극장르이다.

부조리 문학 작품

실존주의와의 연계성

  • 실존주의는 개개인을 낯선 세상 속에 내던져진 고립된 존재로 보고, 무(無)에서 왔다가 무로 돌아가는 인간의 삶을 부조리한 생존으로 묘사했다. 특히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와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와 같은 문인들의 실존주의 문학이 두드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