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가사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1:57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악장가사
한자명칭 樂章歌詞
로마자명칭 Akjanggasa
영문명칭 A Collection of music pieces of late Goryeo to early Joseon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4-6774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4.6×22.6㎝
판본 목판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고려 이후 조선 전기에 걸친 악장(樂章)과 속악(俗樂) 가사를 모아 엮은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가집(歌集)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국조사장(國朝詞章), 국조악장(國朝樂章), 속악가사(俗樂歌詞) 등으로도 불린다. 편자 및 편찬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중종에서 명종 연간의 밀양 사람 박준(朴浚)이 편찬했다는 설이 있다. 내용은 속악가사상(俗樂歌詞上), 아악가사(雅樂歌詞), 가사상(歌詞上)의 3부로 나뉘어 있다. 제 1부 속악가사상에는 영신(迎神)에서 송신(送神)까지의 궁중 제례(祭禮)에 쓰이는 28곡이 있는데, 앞에 한문구를 내세우고 그 옆에 한글음을 표기해놓았다. 또 비궁(䌙宮) 속악이 11곡, 어제(御製)가 3곡 있는데 본문은 순한문의 4언 4구 또는 4언 8구, 4언 6구로 기사되었다. 필사의 모습으로 보아 후대에 삽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제2부 아악가사에는 <풍운뇌우(風雲雷雨)>, <사직(社稷)>, <선농(先農)>, <우사전폐(雩祀奠幣)> 등 네 가지 의식이 순서에 따라 4언 8구의 순한문 시경체로 기사되어 있고, 이어서 <납씨가(納氏歌)>, <정동방곡(靖東方曲)>, <대보단악장(大報壇樂章)> 5곡이 있다. 제3부 가사상에는 <여민락(與民樂)>, <서경별곡(西京別曲)>, <어부가(漁父歌)>, <청산별곡(靑山別曲)> 등 당대의 속악가사로 향유된 24곡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 <정석가> 이하의 14곡은 이 책에만 그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현재 전하는 가집 가운데 악장과 속악가사를 엮어 모은 순수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문학사적 가치를 가진다. 특히 오랫동안 노래로만 구전되어오다가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 그 전문이 유일하게 기록된 고려가요가 <청산별곡>을 비롯하여 여러 편 실려 있어 자료적 가치를 더한다. [1]

악장(樂章) 내용에 대해서

악장은 궁중에서 나라의 공식적 행사에 쓰이는 노래 가사이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된 이후 유교적 질서에 따라, 조선 조정에서는 예악(禮樂)을 정비하게 되는데, 이때 공식적 행사인 제향(祭享), 연향(宴享) 혹은 각종 연회(宴會)에 쓰기 위하여 새로 지은 노래 가사들을 특별히 따로 묶어 시가(詩歌) 장르의 하나로 다루는데, 이것을 '악장'이라 부른다. 그리고 초반에는 한문악장만 존재했으나 훈민정음 창제 이후 현토악장이 생겨났으며, 그후 국문악장까지 등장하였다. 특히 국문악장의 경우 한자악장 보다는 수량이 적지만 한문악장의 내용과 국문시가의 형식적 전통을 함께 수용하여 변용시킴으로써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기존의 장르와는 전혀 다른 독특한 양식으로 악장을 발전시켰다. [2]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악장가사 풍운뇌우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선농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사직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납씨가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우사전폐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정동방곡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정석가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청산별곡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대보단악장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여민락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서경별곡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어부가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가사 악장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 유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악장 예악 A는 B와 관련이 있다
악장 훈민정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훈민정음 국문악장 A는 B와 관련이 있다
훈민정음 현토악장 A는 B와 관련이 있다
국문악장 악장가사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 한문악장 A는 B와 관련이 있다
악장 제향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 연향 A는 B를 포함한다
악장 연회 A는 B를 포함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악장가사 A는 B를 소장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세종시기 이후 악장가사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악장가사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38쪽.
  2. 김학성, 악장,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김명준, 「선초 악장의 정립 과정과 그 의미」, 『고전과 해석』, 제 3집, 2007, 99-132쪽.
    • 윤귀섭, 「악장(樂章) 시가(詩歌)의 형태사적(形態史的) 고찰(考察)」, 『국어국문학』, Vol 34, 35, 1967, 89-122쪽.
    • 신경숙, 「영조조 친경례와 악장」, 『우리문학연구』, 권 41, 2014, 43-71쪽.